::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8/17 21:31
1번은 아마 마지막 선수가 될거에요. 그리고 일단 불가능하신건 알고 계시니까 패스
2번은 불가능합니다. 선발투수의 승리요건이 팀이 이기고 있는 상태로 5이닝이상을 던져야하는 것이니까요. 그리고 자신 다음의 투수가 이어던질때 동점을 허용해서도 안됩니다.
09/08/17 21:33
어차피 현실성 없는 가정이라 현실적인 대답을 드릴 수는 없으나, 기록원의 재량에 따라 승리에 가장 큰 기여를 했다고 여겨지는 선수에게 '승리'를 부여하게 되겠죠. 마찬가지로 5이닝을 채우지 못하고도 승리투수가 되는 것도 가능합니다.
09/08/17 21:46
선발투수가 3회까지 던지고 부상으로 마운드를 내려옵니다.
현재 스코어가 11:0 으로 이기고 있는 상태라고 가정해보죠. 이 때부터 역전을 당한 후 재역전을 하는 일이 발생하면 그 때 마운드에 있는 투수가 승리 투수가 됩니다. 그러나 그대로 리드를 유지한 채 경기가 끝난다면, 기록원의 판단에 '가장 승리에 공헌을 한 투수'가 승리투수가 됩니다. 한마디로 기록원 재량에 달려있죠. 이런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11:0 에서 뒤로 매 이닝 10점을 먹고 10점을 내주는 경기를 했다고 가정해보죠. 투수들이 한명씩 나와서 꼭꼭 1이닝씩을 던지고 내려갔습니다. 이렇게 되면 3이닝 무실점한 선발투수가 누가 봐도 가장 승리에 공헌을 한 투수겠죠? 이 경우 선발투수가 5이닝을 채우지 못했더라도 승리투수가 될 수 있습니다.
09/08/17 22:39
제가 잘못 알고 있나 싶어서 찾아봤는데, 야구 규칙에 이렇게 나와 있네요.
10.19 (a) 선발투수는 최소한 5회 이상을 완투(完投)한 후에 물러나야 하며 그때 자기편팀이 리드 상태에 있고 그 리드가 경기 최후까지 지속되었을 경우 선발투수를 승리투수로 기록한다. (b) 선발투수가 최소한 5회의 투구가 필요하다는 규정은 6회 이상의 경기에는 전부 해당된다. 경기가 5회에서 종료되었을 경우에는 선발투수가 최소한 4회를 완투한 후 물러나야 하며 그때 자기편팀이 리드의 상태에 있고 그 리드가 경기의 최후까지 지속되었을 경우, 선발투수를 승리투수로 기록한다. (c) 선발투수가 본 조항(a)(b)항 규정에 의하여 승리투수가 되지 못하고 2명이상의 구원투수가 출장하였을 경우 다음의 기준에 의하여 승리투수를 결정한다. ① 선발투수의 임무 중에 승리팀이 리드를 하여 그 리드를 최후까지 유지하였을 경우 승리를 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투구를 하였다고 기록원이 판단한 1명의 구원투수에게 승리 투수를 기록한다. 제가 잘못이해한게 아니라면, 선발투수는 5회를 채우지 못하면 승리투수가 되지 못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 이외 투수들중, 누군가가 승리투수가 되는게 아닐까요...
09/08/17 22:52
5이닝째를 마무리짓는 투수가 승리투수 되는것이 아닌가요?
즉 15번째 투수??? 16번~26번 째 등판한 투수는 홀드를 기록하겠고 27번 째 등판한 투수가 세이브를 기록하겠네요. 그리고 2번은 아닐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