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7/24 15:46
저도 삼성계열 회사에 다니고있지만 보통의 사원이라함은
신입사원이라고 하는데요. 님이 생각하는 만큼 그렇게 많이 받지는 않습니다. 다만 삼성은 PS/PI 라고 하는 3월과 9월에 나오는 보너스가 있구요 흔히들 떡값이라고 하는 보너스가 있습니다.. 연봉이 높게 책정되는이유는 월급은 적지만 그 부수적인 수입이 짤짤하다는거죠.. 가끔 저희 대리의 월급을 보게 되는데 보통 한달월급이 300정도 되더군요 최근 3개월 301 302 300 정확하게! 뒤에 천단위는 생략했습니다.. 실수령금은 세금과 연금등을 제외한 280정도 되는걸로 알구요 지난해 9월 성과금이 860인가 나오더군요.. 이건 부서별로 차이가있겟지만 유통쪽의 대리구요 참고로 대리말봉입니다 과장(진)이구요.; 신입사원은 선임이 150정도 되더군요.뭐 보너스랑 성과금 떡값등등을 하면 2300~2500 되지 않겟나 싶네요.
09/07/24 15:54
대기업이라는게 워낙 케바케라서 ..
1~2 년차에 실수령액 300 정도는 받는거 같습니다. 보통 세전기준으로 4000정도 되는거 같네요.
09/07/24 15:57
허걱 삼성SDS 다녔었는데 사원 > 선임 : 흔히 말하는 대리 > 책임 : 흔히 말하는 과장 > 수석(보) : 흔히 말하는 차장 > 수석 : 흔히 말하는 부장 으로 직제가 편성되어 있습니다. 신입사원은 사원일뿐 선임은 아니었었지요. SDS는 수석(보)까지는 연봉의 상승율이 정말 적은데(삼성전자에 비하면 안습) 수석부턴 굉장한 상승율의 연봉을 받는다고 하더군요.
뭐 같은 삼성 계열이라 해도 직제가 다 다르거든요. -_-;
09/07/24 16:01
보너스나 인센티브를 제외한 순수한 '연봉' (즉, 기본급+평균적인 성과급+각종 수당 정도 되겠지요)을 말씀하시는 거라면,
신입사원의 경우 약 3천 중반정도 됩니다. (계열사마다 좀 다릅니다만..., 저희 회사는 그룹내에서도 젤 낮죠 흑흑)
09/07/24 16:07
원래 SDS가 그룹 내에서 연봉은 조금 낮아도 분위기가 아주 좋다고 들었습니다.~
저희끼리는 꿈의 직장이라고, 물론 다니시는 분은 다르겠지만..
09/07/24 16:11
릴리러쉬님// 보너스나 인센티브가 계열사별로, 부서별로, 개인별로 워낙 상이해서 말씀드리기가 힘듭니다만,
신입사원의 경우에는 보너스가 인센이 거의 없다고 보는편이 편할듯합니다. 대리급부터는 개인별로 차이가 극명하게 벌어지죠 (몇백단위가 아니라 몇천단위까지 벌어집니다.)
09/07/24 16:59
대기업이 중요한게 아니라 업종이 중요하죠.
조선 건설쪽은 원래 연봉 높기로 유명한 쪽이고 반면 유통이나 식품쪽은 암만 대기업이라도 그저 그렇습니다. 보통 세전 기준으로 3000부터 시작한다고 보시면 적절할듯
09/07/24 17:09
릴리러쉬님//
LGD 연봉 별로 안 높습니다. 다만 총 수입이 적잖은 이유는 보통 잔업 수당(초과근무 수당)이 1000만원 안팎이 될정도로 초과 근무가 많아서 입니다. 원시제님 말씀대로 대기업이라고 무조건 많이 받는 것이 아니라 업종에 따른 차이가 큽니다. 조선, 금융, 자동차, 건설, 석유화학 쪽이 대체로 연봉이 높고 그 외의 경우 대기업 중에서도 메이저 그룹에서나 연봉이 3000만원 안팎이고, 규모가 그보다 조금 작은 곳들은 그보다 작은게 보통입니다.
09/07/24 17:23
신의 직장 한국산업은행이 있습니다.. 초봉 4200으로 시작해서 놀라운 연봉상승율과 성과급. 엄청난 복지...
말그대로 신의 직장이더군요...
09/07/24 17:33
Go_TheMarine님// 초봉이 그 정도라는 건 믿기가 힘든데요? 저는 같은 직군인 회사 (S 계열사입니다)이고 저희 회사가 연봉이 손꼽을 정도로 높은 편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신입사원의 연봉은 3,000대 초반~중반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경력사원으로 들어와서 신입사원 초봉을 자세히는 모르겠네요;).
아마 5,500~6,000이라는 게 사실이라면 PS, PI 같은 보너스에 현장 파견 보너스 같은 거까지 다 합쳐서 그런 게 아닐까 싶네요. 그런 거 아니고 본사근무에 기본 연봉이 그 정도는 불가능하다고 단언합니다. 덧붙여서... 윗분들 말씀처럼 대기업이라도 직군이나 부서에 따라서 연봉 차이가 많이 납니다. 건설 쪽에서 현장 근무를 하게 되면 위에 쓴 것처럼 신입사원급이 5,000이 넘는 경우도 있는 것 같지만 대부분의 경우 3,000대 중반이면 정말 잘 받는 거에요. 더구나 세전이다 보니 세금을 떼게 되면 실수령액은 생각보다 많지는 않죠. 다만 대기업 같은 경우는 보너스라거나 상여금 체제가 잘 되어 있으니까 그런 거 감안하면 좀 더 넉넉해지는 거죠. 제 계산으로는 PS + PI 합치면 국민연금 + 세금으로 날아간 것 복구되는 정도인 것 같더군요. 혈세라는 말이 나온 게 이해가 갑니다. -_-;;
09/07/24 17:39
중공업이 좀 세죠. 현대중공업 2008년 초봉 4600입니다.
이게 삭감 전 초봉이고요. 2008년 금융위기 이후로 대기업들이 약 10% 초봉 삭감했습니다.
09/07/24 18:10
현대 건설이 초봉(연봉)이 5400정도일껍니다 기억이 맞다면 단지 이 연봉이 건설계 전체인지 아님 연구직에 한한건지를 모르겠네요
제시되어진 연봉은 연구소(아파트,초고층 관련)입사시 연봉이었거든요
09/07/24 18:29
정작 진짜 신의 직장을 모르시는분이 많군요.
KBS,MBC,SBS 기자,PD의 초봉은 6천을 넘습니다. 가장 짜다고 알려진 국영방송 기자 초봉이 6000을 넘었죠. 이 정보는 KBS기자 선배님이 특강끝나고 뒷풀이에서 직접 말씀한 내용이므로 100%의 정확률을 자랑합니다. 거기다가 그때가 몇년전이니 지금은 더 올랐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참고로 KBS < MBC < SBS 순으로 연봉이 쎄다고 합니다. 추가로, 왜 신의 직장인가? 그것은 안짤리기때문이죠 -_- 공무원과 같은 대우~
09/07/24 20:17
지인중 세후로 연6400받는 분이 있습니다.(인센티브나 보너스,퇴직금은 없구요)
연봉기준으론 얼마나 될까요? 8천은 넘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