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7/23 18:35:57
Name nuzang
Subject 꾸준글 운동/식단질문입니다
1. 매스를 키우기 위해 필요한 단백질 양이 대략 몸무게에 두배 곱한 양이라고 하는데요.
사정상 당분간 단백질 위주로 먹기 힘든 상황인데 충분한 양의 단백질을 섭취하지 못하면서 웨이트를 하는건 거의 아무 쓸모 없는 정도인가요?

2. 보통 근육이 무거운 무게를 적게 들면 사이즈가 커지고 가벼운 무게를 자주 들면 데피가 생긴다고 하는데 이 데피의 정확한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근육이 더 선명해지는건가요? 그리고 데피를 추구하는거라면 단백질이 더 적게 필요한가요?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7/23 20:46
수정 아이콘
전 운동 전문가는 아니고 그냥 즐기는 정도입니다. 감안하시고 읽어주세요.

1. 단백질을 섭취 안 하시고, 그냥 삼시세끼 식사만 하셔도 일단 보충은 됩니다. 운동을 오래 하시고, 운동으로 근육의 힘을 쫙 뺄 수 있을 분이시면, 제대로 안 드시면 근육 손실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를 위해서, 필요한 것이 단백질 보충제입니다. 가루와 물만 있으면 되니까, 드셔보세요^^

2. 데피니션은 '선명도'라는 개념입니다. 근육은 일반적으로 근육을 찢고, 찢어진 부분을 매우는 과정을 통해서 커진다고 합니다. 무거운 무게를 들거나, 가벼운 무게를 들거나 찢어진다는 개념은 동일합니다. 다만 무거운 무게를 들려면 어쨌든 파워가 그만큼 필요하기 때문에, 파워를 올리는 가장 쉬운 방법은 근육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겁니다. 그래서 무거운 무게를 들면 크기가 커진다고 하고, 가벼운 무게를 고반복 해서 들면 근육의 모양이 선명해진다.. 라고 합니다.
하지만 데피를 잡으려고 하든, 벌크를 키우려고 하든 기본은 프레스이고, 어느 정도의 크기입니다. 가끔 센터에서, 자신은 데피를 잡겠다며 열심히 플라이만 하시는 분은, 어쨌든 잡히긴 하겠지만, 프레스와 병행하는 분보다 훨씬 늦게 잡힐 것입니다. 단백질 양은 잘 모르겠네요. 저 같은 경우에는 피라미드식으로 운동을 할때보다, 저중량으로 아예 들지도 못할만큼 운동을 할 때 단백질이고 탄수화물이고 더 필요하더라구요^^;;;
애플보요
09/07/23 21:13
수정 아이콘
1. 초보 단계시라면 너무 단백질 섭취량에 연연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정말 고강도 운동을 하신다면 단백질 섭취량의 중요성을 무시할순 없겠죠.

2.꼭 무거운 무게를 들어야 벌크가 생기고 가벼운 무게를 자주 들어야 데피가 선명해지진 않습니다. 어차피 데피를 잡을려고 해도 근육이 있어야 잡히는 것이므로 너무 가벼운 무게에만 연연할 필요는 없습니다.근육이 안만들어진 상태에서 데피만 잡는다고 하면 근육도 안만들어질뿐더러 생각보다 볼품이 없어집니다. 일단 어느정도 근육량을 늘려놓은후 엄격한 식단과 유산소운동으로 데피를 잡는게 더 효율적입니다. 그리고 3대운동같은 대근육 운동은 일단 자세 잡는데 익숙해지면 고중량을 다룰수록 더 효과적입니다. 다만 이두나 삼두 운동같은것은 개인적인 경험상 엄격한 자세로 치팅없이 적당한 무게로 하는것이 더 효과적이더군요. 그리고 데피는 결국엔 유산소운동과 다이어트 식단이 만들어주는것이지 가벼운 무게 무거운 무게 특별히 구분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데피 잡고 다이어트 하는 시기보다 벌크업 할때가 단백질 섭취량이 더 많이 필요한것은 사실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60251 하악, 길가다 들은 노래인데 기억이 안납니다. [14] 화이트데이2140 09/07/23 2140
60250 너무 억울하고 분합니다 (해결법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3] 펑퍼짐2090 09/07/23 2090
60248 스타크래프트 friends 기능 알림 [2] axbycz1805 09/07/23 1805
60247 미디어법에 관해 질문입니다.. [6] DeStinY....1906 09/07/23 1906
60245 김동재 야구선수에 대한 대략적인 프로필?을 알 수 있을까요. [3] 배려1998 09/07/23 1998
60244 xp 다운그레이드 질문입니다. [1] 조나단2100 09/07/23 2100
60243 데스티네이션에서 저그로 테란전 질문 [6] 엔뚜루2156 09/07/23 2156
60242 아테네 학당 그림에서 질문.. [3] 오월1606 09/07/23 1606
60241 동영상 편집프로그램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2] Nyx_soul1560 09/07/23 1560
60240 캐나다어학연수.비자카드 추천부탁드려요 ~ journey212178 09/07/23 2178
60239 영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7] 비야레알1912 09/07/23 1912
60238 쓰레기봉투(흰색,주황색) 틀리면 수거 안해가나요? [3] EsPoRTSZZang2897 09/07/23 2897
60236 무한도전관련 질문드립니다. [2] 언제나남규리2153 09/07/23 2153
60235 시디플레이어 질문입니다. [1] worcs2143 09/07/23 2143
60234 컴퓨터 견적질문입니다~ [4] Dizzy2124 09/07/23 2124
60233 유투브 동영상 질문입니다. lovewhiteyou5405 09/07/23 5405
60231 꾸준글 운동/식단질문입니다 [2] nuzang1929 09/07/23 1929
60230 도시락으로 다운받은노래파일 폰으로 전송할때 [1] 가을의전설2118 09/07/23 2118
60229 이럴땐 어떻해야 하나요? (부동산 관련... ㅜ.ㅜ) [7] 산꼭돼기2411 09/07/23 2411
60228 고양이 한마리가 제 방 창문 앞에서 계속 야옹야옹 하는데요. [8] 2309 09/07/23 2309
60225 경남 해수욕장+펜션 질문입니다 [3] 래토닝2005 09/07/23 2005
60224 여성들에게 중요한건 사랑일까요?능력일까요? [27] 날씨2514 09/07/23 2514
60223 usim 카드가 뭐에요? [1] army2114 09/07/23 21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