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7/21 01:12
전 해군이라서 육군은 잘모르겠지만
해군같은 경우 특수직무분담표에 항상 제2의 포지션까지 명시되어 있답니다. 보통 1명의 사상자가 일어나도 전투를 계속 수행할수 있도록 부특기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09/07/21 01:15
기총수는 기총의 임무와 대공 육안관측 정도의 임무만 수행하지않을까요?
요즘 탱크는 자체 감지 기능과 장전기능 타겟팅 기능 정도가 자동화 되어있어서 인력도 적게 들꺼같고요.. 전차의 종류에 따라 필요인력이 다를수도 있겠네요
09/07/21 01:54
전차병출신이라, 질문에 조금 도음이 될까 해서 답변 남깁니다.
일단 k1전차 기준으로 조종수, 포수, 전차병, 전차장 이렇게 4명이 탑승합니다. 전차 위쪽에 달린 기관총 쏘는 곳은 탄약수석과 전차장석입니다. 전차에 기관총이 총 3대 달려있는데 포수석에 전자동기관총, 탄약수석에 m60d, 전차장석에 m50 이렇게 달려있습니다. 권보아님 말씀데로 그 각각 위치마다 임무가 있었는데, 그 중 조종수가 전투 불능시 전차장이 조력한다 뭐 이런 게 있던거 같은데 지금은 정확히 생각나지 않네요. 아무튼 탄약수가 만약 전투불능 상태가 되면 전차장이 탄약수 임무를 맡게 될 것입니다. 그 반대도 역시 마찬가지구요. 따라서 한명이 전투불능상태가 되더라도 전차 임무수행에 별 차질이 없을 것 같습니다.
09/07/21 03:39
님굳님 설명에 보태서, 조종수는 전투기동시 해치(조종수가 드나드는 문) 안 속으로 엄폐해서 쉽사리 노출되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