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5/04 10:03
스타크래프트에도 사례가 있죠. MSL 프링글스배 때 맵에 프링글스 로고를 삽입한 거라던지 ^^;
아니면 펩시나 버드와이저 등의 회사에서 홍보용으로 플래시 게임을 제작하기도 하고요. PPL이라기엔 좀 그렇군요; 위닝일레븐 7 Ps2판 같은 경우 아디다스가 공식 후원하며 자사의 다양한 축구공 브랜드를 노출시켜 고를 수 있도록 했습니다. 유니폼도 나이키 유니폼은 앰블럼이나 국기로 대체하는 대신 아디다스 유니폼은 로고를 노출시키는 등 다양한 방식을 썼죠. 대신 위닝7 인터내셔널 버전이나 PE3(프로에볼루션사커3) 같은 경우 스폰서가 나이키라서 반대의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EA스포츠의 피파 시리즈에서는 게임내 경기장의 광고판을 이용한 마케팅이 활발합니다. 광고판 안에 기업 로고를 집어넣는데 1000만 달러라니 말 다했죠. ^^; 국내 온라인 FPS 게임 서든어택에서는 비, 빅뱅 등 캐릭터를 이용한 PPL이 활발합니다. 게임내에 비, 탑, 대성 등 다양한 가수 캐릭터를 등장시켜 사람들에게 이미지를 각인시킨 바 있습니다. 이런 방식은 국내온라인 게임에서 특히 두드러지며, 프리스타일의 원더걸스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캐주얼 온라인 게임 오디션에서는 베이직하우스와 제휴, 베이직하우스 의상을 게임내에서 구매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실제 매출향상 효과를 봤다고 하는군요. 캐주얼 온라인 게임 테일즈런너도 나이키 PPL을 한 적이 있습니다. 게임내 신발 등의 아이템을 나이키 것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했죠. 도움 되실지모르겠군요 ^^;
09/05/04 10:16
온라인 게임중에 헬게이트 역시 PPL이 유명하죠.
여러업체들과 제휴를 맺어서 게임내 배경을 이용한 PPL을 하고 있었습니다. 가장 기억에 남는 PPL은 지하철역에 있는 포스터.... 다크나이트였죠 색다른 시도였던걸로 기억 합니다.
09/05/04 10:16
서든어택에서 연예인캐릭터 들어간건 PPL이 아니지않나요? 서든측에서 오히려 로열티 지불한걸로 알고있는데요
차라리 서든 맵에서 간간이 보이는 옥외광고물들이 PPL 예죠
09/05/04 10:21
율곡이이님// 제가 알고있기론 스타들 측에서 돈을 낸 걸루..^^;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090217603010 간련기사입니다. 전략적 제휴라곤 하지만 YG측에서 비용을 지불했다는 뉘앙스가 강하죠. ps.물론 윈윈이긴 하지요...
09/05/04 11:12
게임 속 PPL은 생각보다 그 역사가 깊습니다. 요즘엔 IGA (In-game advertising)이라는 용어까지도 있죠.
1. 이미 1978년에 Adventureland라는 게임에서 게임 중 차기작인 Pirate Adventure를 광고했었습니다. 2. 타사 광고로는 1992년에 Zool 시리즈가 있습니다. 이건 Chupa Chups의 후원으로 만들어진 게임인데요. 거기 Sweet world 스테이지에서는 츄파춥스가 배경에 좍 깔려있죠. 3. 전광판 형태의 광고는 이미 1994년에 EA의 피파 시리즈부터 하고 있었습니다. 이걸 차용하여 세가 역시 버추어 스트라이커 시리즈에서는 전광판에 광고를 삽입했었죠. 4. 세가 새턴판 파이팅 바이퍼즈엔 펩시맨이 보너스 캐릭터로 등장했습니다. 물론 펩시에서 광고로 후원한 겁니다. 당시 사상 최강의 버추얼 광고라고 좀 화제가 되었죠. Youtube를 가시면 관련 동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코믹 캐릭터임에도 스피드가 좋아 꽤 인기가 있었죠.
09/05/04 11:19
저희 회사에서도 게임내 ppl을 노려봤었는데. 가장 먼저 떠올렸던 것은 와우...였으나 너무 세계적인 게임이라 엄두가 안나서 포기. 그 다음으로 노린 것은 스타 리그 후원이었으나 상부의 반대. 그나마 현실적으로 접근 했던 것이 아프리카에서 게임 대회를 열어 전후 광고 및 맵을 이용한 노출 등을 노리고 있습니다만... 지지부진하네요. 꼰대들 설득하기란.. 킁.
09/05/04 13:19
음.. 아루온게임즈에서 하던 FROG 서비스도 게임 내 광고라는 측면에서는 생각해볼 수 있겠네요..
지금은 원천기술을 도난당해서 쉬고있지만 -_-;
09/05/04 17:58
유유히님//이 말씀하신 대로 EA에서 나오는 스포츠 게임에 자주 등장하는데 전 시스템적으로 동일하게 나가는 시스템인듯 한데요. NHL을 언급드린 이유는 제가 EA에서 ps3용으로 나온 하키게임(NHL 09)을 친구들이랑 가끔하는데- 게임업데이트를 할때마다 바뀌어 나오는것같아 신기해서 말씁드립니다. 기간을 정해서 광고료를 내는걸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