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4/14 23:04
재테크는 자신이 알고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즉, 다른 사람의 아무리 좋은 재테크 방법도 스스로가 그 운용법을 모른다면 무용지물에 가까운 법입니다. 1)현재의 상태에서 안정적인 재테크를 원한다 => 아시는대로 적금. 2)다소의 리스크를 감수하더라도 보다 높은 수익을 원한다 => 주식, 펀드(ELS, ETF 등등), 경매 등을 열심히 공부한 다음에 투자한다. ps. 열심히 일한 댓가로 돈을 받으시는 것처럼 재테크도 공부하고 노력한만큼 가능한 것이지... 그냥 되는 것은 아닙니다.
09/04/14 23:09
박성준의오바로드닷님// 제가 술.담배는 안해서 글루 빠지는 돈은 없네요.^^;
yoosh6님// 역시 어느 방면이든 아는 만큼 보이고 노력한 만큼 얻을 수 있는 거군요. 신뢰할만한 재테크 정보를 어디서 부터 얻어야 할지 부터 찾아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09/04/14 23:36
저축이야 다 거기서 거기죠. 상호저축은행같은곳에 적금으로 부으시면 이자율은 꽤 될겁니다.
문제는 안전자산쪽으로의 단순한 저축과 위험자산 즉 주식이나 펀드 같은곳에의 비중을 어떻게 두느냐에 따라 다를거 같네요~ 좀 위험을 감수 하신다면 윗분 말씀대로 공부를 하고 준비를 하신후 주식이나 펀드같은곳에 관심을 가져보시는 것도 괜찮으실거 같네요
09/04/15 10:03
100만원 정도면 님의 나이를 고려했을때
70정도는 펀드 등 약간의 리스크가 있는 자산으로 30는 안전자산으로 하시는게 나을 듯 하구요.. 주식보다는 펀드를 추천해드리고 싶구요 . . 비상금이 없다는 가정하에 개인적으로는 아래와 같이 추천합니다. 50 - 펀드(인덱스유형이나 가치/배당형) 30 - 저축은행적금 20 - CMA
09/04/15 11:11
제 개인적 생각입니다만..
적금은 1년짜리가 가장 좋은듯합니다. 금리변동, 물가상승률등을 생각했을때 1년 이상보다는 1년씩으로 해서 목돈을 천천히 만드는것이 좋을듯합니다. 금리는 당연 저축은행이 높겠죠.. BIS비율 보시고 회사평을 살펴보신후 가입하시는것이 좋을듯합니다. 그리고 1년은 적금으로 모은돈으로 거치식이든 아님다시 금액을 높여서 적금을 하시는방법도 있고.. 리스크가 그나마 적은 채권도 나쁘지는 않구요. 개인적으로 주식은 반대입니다. 지금 주식하시는분들 많으신데요. 이미 큰 하락장 후 상승과 횡보를 하는 장이라 큰 손해가 없지만 만약이라도. 큰하락장이 다시온다면 대응하기가 힘듭니다. 전업도 아니고 직장인이 투자하기에는.. 주식과 펀드는 우리나라가 혹은 전세계가 어느정도 회복의 기미가 보여도 투자하는것이 나쁘지 않을것 같습니다. 물론 지금도 소액으로 한다는 과정하에 펀드나 아님 초우량주를 매달 얼마씩 하시는건 뭐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