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2/26 02:05
제가 경험한건 아니지만 군생활 당시 사단 의무대에서 침을 맞고 온 전우도 본거 같네요..
확실하지 않아서 자세한 답변은 밑에분에서 넘길께요;;
09/02/26 13:43
사단급 이상 본부의 의무대나 군병원에는 한의사가 있습니다.
의사면허 소지자가 대부분 군의관이나 공중보건의로 임용되는 것과는 달리, 한의사는 군 내 소요가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에, 한의사면허만 있다고 하여 대부분 선발되는 것은 아니고, 극히 일부만 선발절차를 거쳐서 장교로 임용합니다. 나머지는 그냥 병으로 복무하여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한의사인 군의관과 근무를 같이 하면서 들은 내용이고, 10년도 더 된 이야기여서 지금 제도와 다를 수 있습니다만, 크게 바뀌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09/02/26 14:13
한의대닷컴에 가시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겁니다.
대부분 공보의로 해결하고, 군의관으로 일부 갑니다. 대체로 6수생까지 가능한걸로 알고 있어요. 덧. 2004년 치과공보의가 30명떨어 졌었습니다. 그러나 보건복지부의 담당자와의 이야기끝에 30명모두 추가로 TO를 만들어서 공보의로 근무했습니다. 라고 한의대닷컴리플에서 보았는데, 떨어지면 TO를 만들어내거나, 정 안되면 의무병으로 해결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09/02/27 00:39
2002년부터 한방공보의제도가 신설되어
전문의 수료 안하고 졸업하고 바로 가거나 인턴수료하고 가면 100% 공보의, 전문의 수료하면 병원에서 군TO면 군의관 일반 TO면 공보의.. (올해부터는 전문의 수료자들을 뺑뺑이 돌려서 군의관 넣는다고도 하는데 자세한건 잘 모르겠네요.) 결론은 의사나 치과의사와 똑같고, 호봉 올라가는 것도 똑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