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2/25 23:54:24
Name Trademark-G
Subject 지긋지긋한(?) 운동(헬스) 질문입니다.
'지긋지긋한'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이유는 제가 pgr에 하루에 한 번 이상은 들어와서 그날에 올라온 질문들을 보는데, 연애 관련 글만큼은 아니더라도 다이어트나 헬스와 관련된 글이 그 뒤를 이어서 많이 올라오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아서입니다.
그래서 검색해서 찾아볼까도 했지만 원하는 답변을 빠르게 얻기 위해서는 직접 쓰는 게 더 나을 것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
제가 두 달 전 몸무게가 82~83이었는데, 그때부터 웨이트 운동은 안 하고 유산소 운동만 해서 지금 76으로 만들었습니다.
사실 한참 더 뺄 수 있었는데 중간에 학교 갈 일도 갑작스레 생기고, 개강이 다가오니까 최근에는 10일 이상 운동하러 못 갔네요.
목표는 70대 초반이었으니까 사실 조금 더 빼야 됩니다.
그런데 이제는 근육 운동을 시작하려고 하거든요.
몸을 좀 만들고 싶습니다.
예전에도 헬스 하러 몇 번 간 적이 있지만, 방학 때만 갔고, 게다가 체계적으로 하지 않아서 효과는 없었죠.

1. 운동할 때 3일제로 하라고 하더군요. 예를 들면, 월요일에는 팔, 가슴, 배 운동을, 화요일에는 어깨, 등 운동을, 수요일에는 다리 운동을, 목요일에는 다시 팔, 가슴, 배 운동... 이런 식으로요. 그러면 만약에 월요일에 팔, 가슴, 배 운동을 한다고 하면 그날은 클럽 가서 팔, 가슴, 배 운동이 되는 기구는 모조리 세트 단위로 하면 됩니까?

2. 초보 수준으로 봐도 무방하죠. 그래서 그런데 각 기구당 한 세트에 몇 회씩 몇 세트를 하면 될까요?

3. 웨이트는 저런 식으로 하고, 러닝 머신으로 걷거나 뛰기는 매일 1시간씩 해도 괜찮습니까? 남은 체중을 줄이려고요.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2/26 00:07
수정 아이콘
초보 웨이트는 서킷 트레이닝이 최고죠.
그냥 모든 기구를 돌아다니면서 하는 거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그 다음에 팔굽혀펴기, 턱걸이, 스쿼트, 복근운동 등 간편한 운동을 배우면서 진도를 나가세요.
WizardMo진종
09/02/26 00:13
수정 아이콘
1. 짧게 말하면 그렇습니다. 몸을 구역별로 나누어서 운동하는것인데요, A부위를 운동하면 A부위의 근육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고 휴식을 취해야 하며 이때는 최소 24시간 최장 48시간정도를 취해주어야 합니다. 하루를 쪼개는 2분할 3분할이 있고 일별로 운동을하는 3일분할 4일분할 등등이 있습니다.

3일분할 가슴삼두 등이두 하체어깨 휴식
4일분할 가슴삼두 등이두 하체복근 어깨허리 (제가 하는패턴)
등등 자기가 원하는대로 나눠서 하면 됩니다.
팔도 앞쪽 이두는 등운동을 할때 주로 사용하고 뒤쪽 삼두는 가슴운동을 할때 주로 사용합니다.
어깨는 가슴 상부와 팔 삼두를 이용하구요

분할을 하는 이유는 적절한 휴식도 있지만 일정시간동안에 최대한의 자극을 얻기위함도 있습니다. 가슴운동하는날 가슴과 삼두만 빡시게 돌려도 최소 50세트에 한시간 반가량 하거든요.

예를 들어 제가 가슴운동하는날은
딥스 4~5 세트로 웜업을 하고
벤치,푸쉬웝 8세트 정도
플라이 5~6세트
인클라인, 디클라인 각각 5~6세트정도
이두는 바벨컬 덤벨컬 케이블컬 해머컬 각각 해서 종 열셋트 이상합니다. 그럼 50셋트가량 혹은 그이상이 되구요. 만약 하루에 팔 가슴 배를 '다' 한다면 스테로이드 맞고 하루를 3분할로 운동하지 않고는 도저히 소화가 안되는 운동범위입니다;;; 물론 그정도로 하드하게 하실 일은 없으실테구요;;;

유산소 이후에 웨이트 운동을 시작하시는 시기이니까 무게 욕심보다는 자세와 자극을 느끼는것에 중점을 두시구요. 딱히 분할운동을 하시기 보다는 아프지 않으면 해도 괜찮다. 라고 생각하시면 별 문제 없을거에요. 빈봉들고 벤치프레스 자세연습하는분이 3일이나 휴식을 취할 이유는 없거든요.

요약하면, 분할 할 필요 없고 하더라도 날짜만 중복 안되게 하면된다. 그리고 힘들지 않으면 휴식을 꼭 챙길필요 없다.

2. 상체에서 가장 큰근육이 가슴과 등 입니다. 즉 이부분을 자극하는 운동을 가장 높은 무게로 놓고 자신의 체력의 70~80%를 사용하시면 될겁니다. 혹은 가슴에 70~80 를 사용하겠다 라면 벤치와 푸쉬업을 1:1 비율로 해줘도 무방합니다. 저는 벤치 프레스 할때 바벨놓고 바로 이어서 푸쉬업을 실패지점까지 시도합니다. 공략부위를 휴식시간없이 여러 운동으로 폭발적으로 자극하는 운동법인데요 체력 안되시면 별효과 없습니다. 시간없을땐 최강입니다.

요약하면, 세트와 횟수에 집착하지마세요. 중요한건 내가 느끼느냐 입니다. 자극을 느끼며 운동을 하다가 공략부위의 체력이 고갈되면 다른운동으로 넘어가면 됩니다.

3. 됩니다 ^^ 단 금식만 안하시면 됩니다. 적정량의 탄수화물은 오히려 근육성장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WizardMo진종
09/02/26 00:15
수정 아이콘
아 그리고 복근의 경우 자기 편한대로 하면됩니다. 매일 꾸준히 하는걸 좋아하는분도 있고 안그러고 이삼일에 한번씩 날잡고 배를 찢어버리는 분들도 있습니다. 운동은 내가 느끼는대로 하면됩니다. 큰 틀안에서 맞춰가면서 스스로 수정해가면서 한다고 보시면 될꺼에요. 더군다나 보디빌딩에 심취하게 되면 거의 수도하는 느낌을 가지시면 됩니다;; 나와의 싸움이거든요.
로랑보두앵
09/02/26 00:24
수정 아이콘
솔직히 초심자라면 분할이고 뭐고 없고, 가슴 등 하체만 매일하시는게 좋죠. 하루 휴식도 사치구요
Trademark-G
09/02/26 00:39
수정 아이콘
wook98님// WizardMo진종님// 로랑보두앵님// 답변 고맙습니다.
09/02/26 00:51
수정 아이콘
1. 3분할은 자신이 원하는 부위에 자극을 제대로 줄 수 있는 정도의 수준이 되시면 시작하시면 됩니다.
대근육과 소근육부위를 하나씩 묶어서 3일로 나누어서 하시는 게 가장 일반적입니다.
전 2사이클일때는 가슴 어깨 삼두를 하고 3사이클이면 가슴 삼두를 합니다.
3달에 한번씩 4분할이나 5분할로 바꾸기도 합니다.
2. 자신의 상태에 맞게 8~15회로 3세트정도 하시는 게 좋습니다.
원하는 부위에 자극이 느껴지지 않고 자세가 흐트러지시면 그 전 회까지를 1세트로 하시면 됩니다.
3.체중을 줄이기위한 강도의 트레드밀이나 사이클을 1시간씩 뛴다면 충분한 영양공급이 안된다면 근성장은 포기하세요.
dasolblue
09/02/26 02:18
수정 아이콘
굉장히 많은 리플들이 달렸네요, 헬스가 인기가 좋은가 봐요.

유산소 만으로 82에서 76까지 뺐다니 굉장하군요!!
아마 식사조절을 같이 하셨을거라 생각되네요.
그리고 내배엽(원래 좀 뚱뚱한 체질)이실거라는 추측을 조심스레 해 봅니다.

내배엽 체질에겐 짧은 시간동안 고된 훈련을 추천합니다.
보통 10분정도 웜업하고 몸 풀고 본게임 들어가서 유산소로 마무리 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 중에서 본 게임을 50분 이내로 빡씨게 하는 거죠.
그 이상으로 하면 오히려 근 손실이 일어날 수가 있습니다.

1. 분할 운동을 처음 하시는 거라면
하루에 두 부위 정도의 운동을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예를 들면 첫날엔 가슴(어깨,삼두)
둘째날엔 이두(등)
셋째날엔 다리와 복근, 넷째 날엔 다시 가슴.. 이런식으로
밀어내는 운동과 당기는 운동, 상체와 하체, 대근육과 소근육을 구분지어 하는 거죠.
헬스의 60%는 영양, 40%는 운동 10%는 휴식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게 바로 분할의 이유 입니다.
대근육의 회복 시간은 보통 2-3일 소근육은 1-2 정도이기 때문에 가슴근육이 회복하는 동안 등근육을 조져놓는다, 뭐 이런식이죠.

초보때는 너무 많은 종류의 운동을 하려고 하지 마시고, 한 부위에 두 가지 정도로 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첫째날 가슴 운동과 어깨와 삼두를 하겠다고 맘 먹으셨다면,
벤치 프레스 4셋트,덤벨 프레스 4세트, 숄더프레스 5세트, 풀다운 5세트 정도로 시작해 보세요.
차차 익숙해지고 힘이 붙으면 그때 가서 셋트수와 종류를 늘려보세요.

2.한 기구당 3-5세트 정도를 하시되, 50분 이내로 20세트 정도를 추천해 드립니다.
또, 무게 보다는 운동하는 부위에 집중할 수 있는 무게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무거운 중량을 선택했다가 부상으로 여러날 못나오시는 분들을 많이 봤거든요.
역시 초보때는 그저 여유를 같고 한걸음씩 나간다는 생각으로 하는게 가장 좋은 것 같습니다.

3.문제 없을 것 같네요.
다만 어떤 사람들에겐 1시간은 좀 긴 시간이 될 수도 있습니다.
15분 뛰고 복근 운동 하고 다시 15분 뛰고 또 좀 쉬었다가 15분 뛰는 방법도 있다는데, 이건 자기만의 방법을 찾을 때 까지 여려가지 시도해 보시는 것이 좋을 듯 하네요.

어떤 실험에서 웨이트 후에 유산소 운동이 몸에 쌓인 젖산을 지방과 함께 태워 준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습니다.
웜업으로 유산소를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그보다는, 특히 내배엽 체질의 분들 에게는 웝업으로 매일 3세트 정도의 복근 운동을 하고 유산소 운동을 제일 마지막으로 하는 방법을 추천해 드립니다.
근손실을 주의 하며 웨이트는 50분 이내로.
준비운동을 충분히 해서 부상입지 않도록 하세요~

무엇을 하든 마찬가지겠지만 헬스도 하다보면 자기에게 맞는 방법 자기만의 방법을 찾을실 수 있으실 겁니다.
너무 욕심내서 큰중량에 부상당하시는 일 없도록, 그리고 중량보다는 운동 부위에 집중할 수 있는 무게를 찾아서 하시길..
이준수
09/02/26 13:12
수정 아이콘
dasolblue님// 일주일 단위의 운동 스케쥴을 받을수 있을까요? ^^ 저도 내배엽이라 ㅜ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054 옷에 관련된 질문 두가지 [4] 키무진김2138 09/02/26 2138
51053 5월에 일본에서 지인이 오시는데 강아지를 선물로 드리려고 합니다. [8] 신병현1700 09/02/26 1700
51052 웹무비 사이트 아시는분 계신지요.. AerospaceEng.2755 09/02/26 2755
51051 다음주 월요일 군대를 갑니다~^^ [13] snut1815 09/02/26 1815
51050 이자랑 저축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2] 녹산동조싸~!1909 09/02/26 1909
51049 다음 웹툰 좀 추천해주세요! [4] 도시의미학5250 09/02/26 5250
51048 디시인사이드 관련 질문입니다.. [1] 王天君1952 09/02/26 1952
51044 컴퓨터 관련 질문입니다. [1] 칼새1580 09/02/26 1580
51043 저그대 저그전 히드라에 관해서 [18] 천재관람자2420 09/02/26 2420
51042 오늘 첫 휴가를 나왓는데 명경기 추천좀 해주세요~ [9] 유안1810 09/02/26 1810
51040 xp 설치시 파티션 나누기 질문 드립니다. [2] 자세는 300 다마2244 09/02/26 2244
51039 동해나 서해쪽 겨울바다 연인끼리 놀러가볼만한곳 없을까요? [7] 치토스3207 09/02/26 3207
51038 차량간 접촉사고에서 명함을 주고왔습니다. [9] 배려2671 09/02/26 2671
51037 넷북(nc10)에 fm돌아가나요? [8] 축구사랑3966 09/02/26 3966
51036 식상할수도 있지만.. 올해 스타경기중에서 추천좀해주세요;; [3] J1957 09/02/26 1957
51035 구글에서 리플의 내용을 검색하는 방법 질문입니다. [2] abrasax_:JW2069 09/02/26 2069
51034 한의대생들은 군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나요? [10] 라울2762 09/02/26 2762
51033 [질문 두 개] PgR21의 어원, 플래쉬 게임 하는 방법 [2] 플토만세2124 09/02/26 2124
51032 mt 관련해서인데요 [6] 김찬민3079 09/02/26 3079
51031 디지털 캠코더 질문 [6] 까탈1522 09/02/26 1522
51029 mini pmp 질문입니다!! [8] 말룡2076 09/02/26 2076
51028 조립컴퓨터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2] 성세현2135 09/02/26 2135
51027 지긋지긋한(?) 운동(헬스) 질문입니다. [8] Trademark-G2117 09/02/25 21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