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2/25 15:13:21
Name Rukawa
Subject 생활리듬을 맞추기 위한 수면유도제 복용 어떤가요?
독학재수생입니다. 재수에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전에

생활리듬이 새벽 늦게(3시~6시) 자서 다음날 늦게(11시~1시)에 일어나는 걸로 맞춰져

있어서 빨리 일어나고 빨리 자야하는 수험생 리듬에 맞추려 해보아도 너무 힘드네요.

억지로 빨리 자려고 잠자리에 들어도 잠이 잘 안오고 설사 잠들었다 해도 금방 깨버리구요.

수능시험도 아침에 치거니와 하루중 피로회복을 가장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시간도 밤10시~새벽2시 사이인 걸로 알고 있어서

빠르면 밤11시, 늦어도 12시 안에 자서 다음날 아침 일찍 일어나는 습관을 들이고 싶은데 며칠동안 해보니

계속 늦게 잠들고, 늦게 잠드니 똑같은 시간을 자도 빨리 잠자리에 들었을 때 보다 훨씬 피곤하고 일어나기 힘들더라구요.

이래선 안되겠다 싶어서 수면유도제를 이 습관이 들 때 까지만 복용 해보려고 하는데 수면유도제, 생활리듬에 관한

조언을 좀 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2/25 15:17
수정 아이콘
저같은경우에는 학생이지만 방학때 늦게자는편이거든요 새벽3시쯤에 그러고 한 이틀전에 정말 졸리더라도 잠을 아주 줄입니다
그러니까 새벽3시에자서 8시에 일어나는 이런케이스요.
원래는 새벽3시에서 깰때까지 잤거든요.하지만 이제 생활패턴을맞춰야하니..하루만 잠을 줄여보세요.그러면 그다음날 일찍 주무시면
그다음날 그만큼 일찍일어나겠죠.제가 지금까지 사용해온 방법입니다.유도제에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만,약이다보니 건강에 이롭지는
않을것같군요.한번 이렇게 해보시는것도 좋은방법인것 같습니다.
김슨생
09/02/25 15:31
수정 아이콘
Ggobugi님 말씀대로
일찍 자는 습관은 일찍 일어나는 습관부터 들이면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
오늘이라도 새벽3시에 주무시더라도 8시전에 일어나세요.
그리고 내일은 해진 후에 졸린다 싶으면 미련없이 바로 잠자리에 드세요.
09/02/25 15:46
수정 아이콘
모닝콜이 울렸을 때 피곤하지 않으면(11시쯤에 누워서 잠안와도 억지로 자고 7시간 정도 잔 상태) 잘 일어나는데 피곤하다 싶으면 절대 일어나지를 못하겠네요.. (원래 어릴 때 부터 잠이 아주아주 많은 편이었습니다.)
09/02/25 15:48
수정 아이콘
수면유도제라 하심은 일반의약품을 말씀하시는건가요?
잘x정? 아마 요런 종류를 말씀하시는거 같은데. 약을 팔아야 생계를 꾸리는 약사(?)의 입장이지만
저 역시 약이란 자주 먹어서 좋을건 없다 라고 생각합니다.
독살아민류등의 수면유도제류는 일반의약품이며, 비습관성이라 위험하고 뭐 그런건 없습니다.
천식이나 녹내장같은것만 없다면요 ^^ 다만 일주일안에 개선이 안되시면 전문의와 상담을 하시는게 좋구요.
거의 모든 수면유도제+수면제는 아침에 불편한 두통- 이를테면 숙취같은- 을 유발하게 됩니다.(예외도 있음)
가급적이면 약의 도움없이 스스로 잠이 드는게 제일 좋다고 생각합니다.
따뜻한 물로 샤워하시고 따뜻한 우유한잔 드셔보세요.
저글링 한마리 두마리 세는건 잠 자는데 아무 도움이 안됩니다.
09/02/25 16:04
수정 아이콘
병원에서도 정말 아파서 못자는 분께(입원환자) 어쩌다 반알만 주고 그런 식이던데요
결코 좋지 않을겁니다
수면시간은 정말 그냥 맞추면 맞춰집니다. 군대 가면 깨닫게 되는 진리지요 ;
Timeless
09/02/25 16:11
수정 아이콘
생활 습관 교정을 위해서 단기적으로 약을 사용해 보는 것도 괜찮습니다. 물론 약에만 의지하기 보다는 수면위생에도 신경을 써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구요^^;

약국에서 처방전 없이 살수 있는 수면유도제는 원래 수면유도 목적으로 나왔다기 보다는 약 부작용 중 '졸림'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다보니 효과는 떨어지고, 원치않는 부작용이 있는 편이지요. 수면 관련 전문 의약품인 zolpidem 같은 경우가 별 부작용 없이 가볍게 사용해볼 만 합니다. 효과도 상당히 좋은 편입니다.
09/02/25 16:17
수정 아이콘
보통 아침에 못일어나는 사람중에 자명종 울렸을때 "아 시바 일어나기 존나 싫네"
라고 습관적으로 속으로 중얼거리는 사람이 많습니다

아침에 자명종 듣자마자 습관적으로 "와 오늘 진짜 신나고 멋진일이 있어" 라고 중얼거리시는 습관들이시면
눈이 번쩍 떠지는게 천지차이입니다.
초딩때 소풍가는날 아침에 어머니가 김밥 싸기도 전에 일어나서 기다리던건 다들 기억하실듯

잠이 안올때는 이완유도 mp3구해서 틀어놓고 타이머 맞춰놓고 자시고요

저도 수면유도제를 사용하는건 비추입니다. 건강에 안좋아서 역효과일듯
화이트푸
09/02/25 17:22
수정 아이콘
수면유도제는 아무래도 약이니 피하시는게 좋을거라 생각이 들고요
잠이 안 올경우에는 잠자기 전(10시경) 간단한 운동(러닝)을 하고 나서 집에와서 미지근한 물로 샤워를 하세요..
이 패턴을 조금만 유지하다 보면 피곤해서 자게 되고 아침에 조금 일어나기 수월해 집니다...
나중에 습관화 되면 자연스럽게 일찍자고 일찍 일어나게 됩니다...

아무튼 약은 비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997 양질의 영어권 커뮤니티를 찾습니다!!!! [4] 란테2203 09/02/25 2203
50996 피씨 조립시 사운드 카드는 필요없나요? [5] 조영익2175 09/02/25 2175
50994 디지털 카메라 문의좀 드릴께요^^ [8] 박서날다1597 09/02/25 1597
50993 스피커에서 잡음이 심합니다. [3] EZrock1933 09/02/25 1933
50992 컴퓨터 견적 질문입니다. [2] 부신햇살1570 09/02/25 1570
50991 mt 관련 질문입니다. 김찬민1549 09/02/25 1549
50990 생활리듬을 맞추기 위한 수면유도제 복용 어떤가요? [8] Rukawa2934 09/02/25 2934
50989 영어 공부질문.! [8] Mirror [Breake]1535 09/02/25 1535
50988 화승 오즈 프로토스라인은 어떤가요? [5] 천상비요환1931 09/02/25 1931
50986 급질문입니다. 빠른 답변좀 부탁드려요 [12] 축구사랑2097 09/02/25 2097
50985 모니터가 켜지질 않아요 [1] Naproxen1651 09/02/25 1651
50983 프로리그 박정석 선수 기록이 이상?하네요. [5] TaCuro1670 09/02/25 1670
50980 공군 2차 면접가 체력검사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5] 리니시아2238 09/02/25 2238
50979 헬스에 관해 질문 드립니다. [14] 피티2053 09/02/25 2053
50978 와우하시는분들은 보통 얼마나하셧나요? [5] 하얀거탑1984 09/02/25 1984
50977 새창으로 뜨는 창이 안뜨네요.. [3] Hans1556 09/02/25 1556
50976 코원d2를 중고로 구매할까 합니다. [6] 날비2144 09/02/25 2144
50975 wow질문입니다 흑마or냥꾼 [2] Xepher2158 09/02/25 2158
50974 웹캠 추천 부탁드립니다! 大司諫1604 09/02/25 1604
50973 일본분이 청국장을 구입하고 싶어하시는데요.. [6] 트리티1804 09/02/25 1804
50972 꽃보다남자 구준표 vs 삼성그룹 장손(?) [17] 핫타이크2610 09/02/25 2610
50971 알 수 없는 인터넷 유행어의 출처. [12] 마야2899 09/02/25 2899
50970 이거 무슨 상황이죠? 혹시 판님이라면? [7] dasolblue2085 09/02/25 208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