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2/01 15:16:14
Name 김라울
Subject 컴퓨터 사려고 하는데 쌩초보입니다 도와주세요ㅜㅜ.
오랫동안 써오던 컴퓨터가 환갑도 한참 지나 골골대고 있는 관계로 컴퓨터를 사려고 하는데요!
그동안은 그냥 대기업 제품을 사서 써왔거든요. 근데 아시다시피 가격이 만만치 않은 관계로 조립식으로 장만하려고 합니다.
근데 이런쪽은 정말 문외한이라 어렵네요.
컴퓨터 잘 아시는 분들께 몇가지 질문좀 드릴게요.

1. 대충 용도는 게임+인터넷+동영상 이정도인데, 그렇게 고사양 게임을 할건 아니고 그냥 중저사양 RPG정도 무리없이 돌아갈 정도면 되거든요! 가격대는 그냥 되는대로 지르려고 생각중이고요, 대충 견적 틀이라도 잡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조립식 컴퓨터 파는 사이트는 어디가 제일 좋나요? 대충 찾아본 바로는 다나와가 대세인 거 같긴 한데..

3. A/S는 어떻게 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A/S가 불편하면 그냥 마트가서 사는게 속편할꺼 같아서요.

기계치에 세상물정에 어두운지라..-_-;;; 고수분들의 도움 기다리겠습니다(__)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unluckyboy
09/02/01 16:10
수정 아이콘
3번에서 걸리는거 같네요. 그냥 대기업 제품 추천해드립니다.
간간히 조립도와주면서 느끼는거지만 as나 관리나 별 관심이 없다면 그냥 대기업쓰는 것도 좋은거 같습니다.
바가지 쓰는 만큼 도와주니까요.
whiriana
09/02/01 16:30
수정 아이콘
a/s도 막연히 걱정하시지 마시고 필요하다면 컴퓨터에 대한 지식을 조금씩 배워나가는 편이 좋을것 같습니다.
저도 cpu쿨러때문에 난생처음 보드를 들어내기도 했고, 그래픽카드도 달아보고.
가정용 컴퓨터가 정말 큰 문제가 발생하는것도 쉬운일은 아니라고 생각하거든요.
참고로 a/s관련해서 동네컴퓨터가게에선 사기를 치지않나ㅜ a/s오신 기사분은 무작정 보드를 빼내갈려고 하고;;
이런말하긴 뭐하지만 사실 믿을만한 업체가 없는거 같아요ㅜㅜ 그래도 정 불안하시다면 대기업제품을 사시는게.. 대신 초기 가격이 압박이죠.
낭만드랍쉽
09/02/01 17:20
수정 아이콘
컴퓨터 A/s가 뭐가 있을지 생각해보면,
윈도우 밀어주는 것밖에 없지 않은가 하는 생각도-0-
그걸 위해서 몇십만만원 더 줘야하는 메이커를 사는건 후덜덜덜//
unluckyboy
09/02/01 17:37
수정 아이콘
작년에 60나오는 견적보다 구린 보드와 그래픽 카드를 110정도에 구입가능하더군요.
8400이 그래픽카드중에서 최고였으니 답이 없더군요. (x600이하는 알면서 사기는 난감하더군요.)
그렇게 보면 단순 50만원차이가 아니죠.
김라울
09/02/01 17:47
수정 아이콘
그러면 사이트 돌아다니면서 표준PC 완제품 사는게 젤 나을까요?
그리고 이쪽에대해서 뭐가 좋은지 알 정도로만 공부해보고싶은데 어디서 해야할까요-_-;;;
화이트푸
09/02/01 18:24
수정 아이콘
김라울님// 개인적으로 알정도로 공부한다라는 것이 애매모호 한거 같습니다.
꾸준한 관심을 갖고 있지 않는 이상 계속 알기는 어렵다고 생각하구요...
구입을 원할 때 하루만 발품을 해보면... 어느정도 정보를 입수할 수 있습니다.
1번째에서 얻었던 정보를 2번째 가게에서 써보고 또 얻는 정보를 3번째 가게에서 써보고...
이런식으로 돌아보면 어느정도 현제 흐름을 알수가 있는데 거기다가 스펙의 높낮이를 두면 더욱 좋습니다...

이런 말 하면 몇몇 분들한테 욕먹을지도 모르지만.. 비전공자가 알려고 막 시간쓰는거 낭비라고 생각하는 1인입니다...
whiriana
09/02/01 18:36
수정 아이콘
김라울님// pgr질게의 수많은 견적과 자게의 러브포보아님, 회전목마님이 올려주신 글 정도만 보셔도 스스로 필요한 만큼의 지식은 얻을거 같습니다.
김라울
09/02/01 18:42
수정 아이콘
whiriana님// 대충 읽어봤는데, 워낙 제가 아.무.것.도 모르는지라 이해가 잘 안되더군요..-_-;
이럴줄 알았으면 진작 관심좀 가질껄 그랬습니다.ㅠㅠ

아무튼 답변달아주신분들 모두 감사합니다(__)
이리저리 좀더 알아보고 신중하게 결정을 해야할꺼 같네요.
회전목마
09/02/01 19:54
수정 아이콘
1. 중저사양의 RPG의 기준이 애매해서 뭐라 말씀드리기 뭐하지만 듀얼코어 CPU에 8600GT을 기본으로 놓고 견적을 짜면
원하시는 만큼의 성능은 나오지 않을까 싶네요(정확하게 어떤 게임을 콕 찝어주시면 한결 수월할듯)
또한 대충 예상하시는 금액도 알려주시면 견적이 잘 나올것 같네요(지식이 있으신분들은 5만원 단위로도 끊어 짜 드립니다)

2. 말씀하신 다나와는 조립판매 사이트가 아니라 가격비교 사이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어느 업체가 어느 부품을 얼마나 싸게 파는지를 알려주지만 컴퓨터를 직접 판매하는건 아닙니다
조립업체는 다들 비슷비슷하지만 아무래도 규모가 큰곳이 안전합니다(다시말해 업체가 망할 확률이 낮습니다)
EpHiLiS님이 말씀하신곳도 좋구요 요즘 질게에는 알파피씨도 많이 추천하십니다(저도 써본적은 없지만 자체브랜드PC는 괜찮더라구요)

3. A/S는 컴퓨터 사용하시는분이 잘만 사용하시면 몇년을 써도 A/S받을 일이 없지만 사용중에 수시로 다운이 된다거나 좀 험하게 쓰신다면
A/S도 고려를 해야겠죠 다만 대기업 A/S도 그리 만족스러운 정도는 아니라 가능하면 조립컴이 낫다고 봅니다
A/S의 절반 이상이 포멧이라고 볼때 윈도우CD 하나정도는 구하시는게 좋습니다(이왕이면 하나사셔도 좋다고 봅니다)
똥순이아빠
09/02/01 22:48
수정 아이콘
2년 전에, 글쓴님처럼 고민하다가, pc를 구입했었습니다.
보름 정도 인터넷 돌아다니며 공부해서, 직접 부품 골라서 주문했습니다..조립은 할줄 몰라서, 업체에 부탁했구요.(그 업체는 EpHiLiS님이 언급해주신 곳 중에 있네요..다나와에 나온 최저가 업체보다 가격은 높지만, 인지도 면에서 안심이 되어서요)

뭐..공부하는 방법은 다나와 표준pc 같은 거 있죠...컴퓨터 부품업체에서 내놓는 대표pc 같은 거요..
그런류의 pc에서 글쓴님이 원하는 용도의 pc를 골라내서, 그 cpu, 보드, 그래픽카드를 공부하는 겁니다. 처음엔 다 똑같은거 같고, 뭔소린지 모를 테지만.. 검색하다 보면, 감이 잡힐 거에요..cpu하나 골라서 어떤지 알아보고, 그에 맞는 메인보드 알아보고..

pc 받아서 os 설치하시고, 소프트웨어 설치하고..약간 시간이 소요되어 지루할지 모르지만. 이 과정을 다 넘기고 나면..as 기사 부를일도 거의 없게 되더라구요..(작년에 그래픽 카드가 나가서어떻게 해야 하나 고민했는데..제 pc 보드에 내장형 그래픽카드가 있더라구요. 그래서 냅다 그래픽카드는 떼 버리고 내장형으로 근근히 살아가고 있는데 영화 보는데 지장 없고..괜찮더라구요..예전 같으면 as 기사 불러서 10만원 넘게 주고 교체했었겠죠..)
평생 pc를 만지지 않고 살 수는 없을테니..이번 기회에 잘 알아보고 pc 잘 구입하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496 일본어 공부에 관련된 간단한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3] 티르2104 09/02/01 2104
49495 컴퓨터 하드디스크관련 질문입니다. [1] hysterical1705 09/02/01 1705
49494 노트북을 하나 구매하려 합니다 [3] Revere1797 09/02/01 1797
49493 류마티스에대해질문좀;; [1] 라캉~2066 09/02/01 2066
49492 컴퓨터 사려고 하는데 쌩초보입니다 도와주세요ㅜㅜ. [10] 김라울2567 09/02/01 2567
49490 카오스 허접인데... [17] VerseMan2024 09/02/01 2024
49489 스타 경기 하나 찾고있습니다. [5] FlyZerg2097 09/02/01 2097
49487 15일정도 일하고 보수를 못받은 경우에 관한 질문입니다. [2] 호텔아프리카2025 09/02/01 2025
49486 재밌는 리듬게임 아시는분?? [3] 호기심남2354 09/02/01 2354
49485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음악동영상 넣으면 걸리나요? [2] Haru2200 09/02/01 2200
49484 졸업식 선물로 어떤게 좋을까요? [1] 자마기타2088 09/02/01 2088
49482 (계산화학) Gaussian03 프로그램으로 어떤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건가요? [1] 히든고수3922 09/02/01 3922
49480 데이트에 관해서 질문드려요 ^^ [4] 낭군2181 09/02/01 2181
49479 다른 프로스포츠계 쪽도 스타팀처럼 365일 숙소단체생활을 하나요? [4] legend2263 09/02/01 2263
49478 김준영선수 소속팀이 궁굼합니다 [3] 쿠니미히로3217 09/02/01 3217
49477 이거 당뇨병의 증상인가요? [6] 개신3228 09/02/01 3228
49476 대학 장학금및 고지서 질문입니다.. [5] 삭제됨2093 09/02/01 2093
49475 재수학원에 관한 질문입니다. [4] I.A.L2170 09/02/01 2170
49474 동영상 다운로드 관련 질문이에요 [3] 이삭토스트2502 09/02/01 2502
49472 서든어택 질문입니다 [18] Xepher2254 09/02/01 2254
49471 컴퓨터 견적 짜봤습니다. 괜찮을지 봐주세요. [8] 파렌하잇1807 09/02/01 1807
49470 친구 [22] 이루펀트2260 09/02/01 2260
49469 프리미어리그 관련 질문. [5] Tchaikovsky1826 09/02/01 18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