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1/30 15:24:15
Name 라이시륜
Subject 한국은행은 공기업이 아닌가요ㅡ?

제목 그대로입니다.

한국은행은 공기업이 아닌가요ㅡ?

공기업 평균 연봉순위를 보거나, 각 부처소속 공기업 분류를 봐도 한국은행은 보이지를 않네요.

설마 한국은행 평균 연봉순위가 꼴지에 근접해서 순위권에 없는건 아니겠죠ㅡ?

.. 궁금하군요

(그러고보니.. 금감원도 못본것 같기도 하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토스사랑
09/01/30 15:51
수정 아이콘
한국은행은 무자본특수법인입니다.

공기업과는 다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엄밀히 말해서 공기업이라 말하기는 힘듭니다.

흔히 금융권공사해서 이름불리기는 하는데 이것도 어떻게 보면 잘못된 표현입니다.

금감원도 마찬가지지만 그들의 설립목적은 수익을 내는것이 목표가 아니라 정책금융을 다루고 감독하는 집단입니다.

다른 금융권공사도 정책금융을 담당하지만 그들은 수익을 내는게 목적인 조직입니다.

한국은행은 정부기관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독립기관입니다.

금감원은 금융위원회의 금융감독을 집행하는 기관으로 금융위원회가 하나의 위원회로 정부조직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연봉은 두 기관 모두 금융권공사과 비슷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두 기관에서 근무하는 분들는 연봉보다는 조직자체에 만족감이 높다고 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양대 정책금융기관이기 때문에 그 자부심이 대단하겠죠.

입사하기도 매우 어렵기도 하구요.
토스사랑
09/01/30 16:20
수정 아이콘
입행관련해서는 취업관련 사이트나 까페를 참조하세요

제가 아는 한에서 말씀드리자면 한국은행은 경영보다는 경제직렬이 메인입니다.

입행인원의 70%정도를 경제직렬로 뽑죠.

은행하는일이 경제학 관련해서 많은 일들을 하니까요.

경제직렬은 미시 거시 화폐금융 국제경제 계량경제 크게 다섯가지 부분입니다.

수준은 대학교 학부수준을 넘어선 문제들이 진위형 객관식 약술형 논술형등 다양하게 출제됩니다.

기출문제 한은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문제 보시면 충격받을 수 있습니다.

그정도로 문제수준이 난해합니다.

경영직렬은 경영학일반 재무관리 회계학으로 나눌 수 있는데 역시 문제 수준은 학부수준 이상입니다.

경영학일반은 생산 인사 마케팅 조직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오고 재무관리는 투자론 그 이상 수준일 것입니다.

회계학도 그 범위가 상당히 넓습니다. 세무회계는 안들어가는 것으로 알고있지만 재무, 원가, 중급수준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역시 문제수준이 난해하고 공부하기 까다로운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필기에서 좋은 점수를 받는다면 입행하는데 별다른 어려움 없습니다.

그 필기가 정말 힘들어서 그렇지........

서류는 많이 완화되었고 필기점수가 입행하는데 가장 결정적입니다.

면접은 거의 형식으로 이뤄집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385 카런 기능에 대해서 질문좀.. [1] 뭉실이2003 09/01/30 2003
49384 영화 28일 후 재탕질문. [1] 강수장1566 09/01/30 1566
49383 무선랜카드 타입질문.. [3] 아레스1308 09/01/30 1308
49382 한국은행은 공기업이 아닌가요ㅡ? [2] 라이시륜4678 09/01/30 4678
49380 대학교 장학금 관련.. 여쭤봅니다. [2] 해귀1946 09/01/30 1946
49379 소개팅 후 애프터 [14] 쌈팍3476 09/01/30 3476
49378 혹시 아파트 층간소음 경험해보신 분 있나요? [10] ^toto^3235 09/01/30 3235
49377 오래된 컴에 성능향상을 위해서 메모리를 꼽으려 하는데... [8] 배려1884 09/01/30 1884
49376 메카닉 상대 질문 입니다. [4] 이루펀트2128 09/01/30 2128
49375 제가 새우 알레르기가 있는걸까요? [10] Latanta3706 09/01/30 3706
49374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컴퓨터 질문입니다 [11] 이장희1811 09/01/30 1811
49373 남자 혼자 하는 여행, 조언 부탁드립니다. [6] 연애초보~2316 09/01/30 2316
49372 박지수선수의 별명이 왜 정크벅크 인가요? [10] ArtControl6744 09/01/30 6744
49371 영화 BLUE-끄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감독 종반부에서 질문입니다. 손진만1753 09/01/30 1753
49370 엔화 환율 전망. [4] 트리티5353 09/01/30 5353
49369 계단오르기와 운동효과? [12] 학교빡세!3114 09/01/30 3114
49368 유선공유기에 대해 여쭙니다. [2] 파일널푸르투1923 09/01/30 1923
49367 프로그래밍과 에디터 질문입니다. [6] phoe菲1526 09/01/30 1526
49366 돈 빌려준 친구의 물건을 제가 팔아도 되나요? [10] 무로이2383 09/01/30 2383
49365 3.5인치 외장하드 질문입니다. [2] 몽키.D.루피1852 09/01/30 1852
49364 휴대용 동영상 재생기 추천 좀 해주세요. [1] 밀로비2211 09/01/30 2211
49362 온라인게임에서 웹클라이언트?? [5] ElleNoeR2109 09/01/30 2109
49361 mp3 다운로드 하는곳좀 추천해주세요! [3] Alexandre1998 09/01/30 19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