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8/19 17:08
아무래도 윈도우 프로그래밍쪽이 낳아보일듯 한데요..콘솔창에서 실행하는것이 아니라면
visual c++ 이나 API, MFC 등이 있는데, MFC 눈깔책보고 따라하시는게 가장 무난할듯 싶습니다. 어차피 내부 알고리즘을 잘 짜는게 중요한거니깐 말이죠..
08/08/19 17:13
영어를 잘하는 법, 수학을 잘하는 법, 정치를 잘하는 법, 요리를 잘하는 법, 여자친구를 잘 사귀는 법 등등에 대한 답과 비슷하겠군요.
먼저 생각해 보셔야 할 것은 XX(영어, 수학, 정치, 요리, 여자친구, C++)를 잘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라는 거죠. XX를 잘할수 있는 비결은 자신이 XX를 통해서 무엇을 이루려고 하는가를 곰곰히 잘생각해보고, 어떻게 하면 XX에 흥미를 붙일 수 있을까를 고민해 보시면 나올겁니다. 그 다음에는 열심히 최선을 다해서 공부하는 수밖에는 없겠죠.
08/08/19 18:42
C 에 도통하고 나면, C++이나 C 나 그게 그거처럼 보입니다;;;
중요한건 개념이해와, 얼마나 많이 짜 봤느냐죠. 자신이 직접 타이핑해서 만든 소스만 수백메가가 넘어갈때 쯤 돼면 대략 고수가 되어 있을겁니다. (제 하드의 D:\Project 폴더는 이미 10기가가 넘었군요... 언제 이렇게까지 했지? -_-a)
08/08/19 19:52
C++를 이해하시려면 객체지향 개념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그게 없다면 그냥 C를 사용하는게 나아요.
컴퓨터 전공자시라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이론부터 차근차근 공부하시고, 그냥 재미삼아 코딩하시는 분이라면 남이 만들어 놓으거 따라해 보시면서 익히는 방법도 괜찮습니다. 객체지향 개념이 서면 그 언어가 무엇이든 간에 레퍼런스만 보면서 금방 하나의 언어를 마스터할 수 있거든요. 개념이 중요해요! 음 저두 80년대 학번-코볼/포트란 시절-으로 컴퓨터학과(전산과)를 나오긴 했고 대형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에 여러차례 참가했는데도 코딩을 직접할 기회는 거의 없다시피하군요. 하고 싶어도 왠만한건 다 용역이니-0-; 그간 만들어온 프로그램은 다 업무와 무관한 개인용도군요.
08/08/19 21:00
사람이 말을 하려면 말을하려는 뜻을 언어로 구성을 해야합니다.
프로그램을 만들려면 프로그램의 논리적 구성을 언어로 표현해야 합니다. 우선은 언어를 숙달해야 합니다. 사실 언어를 익히는 일은 어렵지 않습니다. 보통 처음 C언어를 배운다고 하면 C언어+α(논리,코딩스킬)를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질문 하신분이 초보 라고 하시는 것은 어느정도 문법을 익힌 상태에서 프로그램을 만드는 논리나 스킬이 부족한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프로그램을 만들려면 그 프로그램이 작동하는 논리가 필요합니다. 우선 프로그램을 사용하면서 이 프로그램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생각해 보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이런건 평소에 어느정도 습관이 되어있어야합니다. 당구 배운사람이 칠판에 당구대를 떠올리는 것처럼 컴퓨터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이 보이면 이건 어떻게 돌아가는지 항상 의문을 품고 나름대로 논리를 구성해봅니다. 논리만 구성합니다. 이 단계에서 코드는 단 한줄도 필요 없습니다. 자신의 코딩능력 내에서 논리를 구성하려고 하면 논리자체가 배우 조잡해 집니다. 코딩은 생각하지 말고 논리로만 구성해봅니다. 그리고 나서 필요한 것이 코딩능력입니다. 똑같은 논리라도 코딩하는 방법은 여러가지이며(기회가 되면 나중에 남이 작성한 과제를 보고 자기 것과 비교해 보세요.) 코딩의 스킬이 부족하면 적합한 논리라고 하더라도 코드로 표현을 할 수가 없습니다. 이부분을 단 시간에 단련하려면 남이 만든 코드를 많이 보는게 중요합니다. 잘하는 사람의 코드일 수록 좋습니다. 스타를 배울때 리플레이를 보면서 플레이를 모방하는 것처럼 코딩도 남의 코드를 보면서 코드를 모방합니다.(Copy&Paste가 아니라 코드의 흐름을 이해해야합니다.) 코드를 보는것과 직접 작성하는 것은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단기간에 많은 코드를 접하려면 우선은 직접 작성보다 reading을 많이 하세요. 많이 할수록 reading능력이 향상되고, 어떻게 write해야 할지 감이 잡히게 됩니다. ps, C나C++ 로도 계산기나 전적프로그램은 만들 수 있습니다. 단, 기본 콘솔 입출력 함수를 사용하면 볼품이 없습니다. 윈도우에서 간지나게 입출력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싶다면 API,MFC를 공부하세요.
08/08/19 21:40
C++이 뭘 말하는지 모르겠네요;; 위에분이 당구를 말씀하셔서 당구로 얘기해보겠습니다.
당구를 적당히 치게되면 우라와 시까끼와 하쿠 오마오시 네가지로 어지간하면 해결이 됩니다. 이걸로 답이 안나오면 어려운공이다 라고 말을 하는데요, 실제로 어려운공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네가지 기술로 해결이되거든요, 문제는 길이 아니라 두께와 당점입니다. 님이 알고있는 문법으로 모두 해결이 됩니다. 문제는 활용방법과 논리적 구조과 되겠네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쪽을 좀더 공부하시면 자연스레 다음 단계를 알아서 찾게 될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