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8/19 13:11
첫째로 비용을 안적어 주셨네요;;;
음악도 프로그램 사용처에 따라 많이 다른데 제가 보통 큐베이스(누엔도)에 리즌, 그리고 각종 VSTi를 쓰고있는데 기본적으로 게임하고 비슷하게 사양이 높으면 높을수록 좋습니다. 이유는 프로그램 연동시 CPU점유율이 높아져서 사양이 딸리면 작업속도가 느려지고 시스템이 굉장히 불안해 집니다. 그리고 음악류 프로그램들은 한번 수틀리면 시스템을 포맷을 하지않으면 정상으로 안돌아오는 단점도 있습니다. (정품을 쓰면..... 잘 모르겠습니다; 전 아직까진 가난해서...죄송-.-) 하지만 컴퓨터 구성만갖고 질문하시는게 좀 의아한데 공부하신다는 분이 어떤장비를 원하시는지 말씀안하셨나요? 막연히 음악공부 할테니 컴퓨터 만들어내라는 좀 이해가 안가는군요. 예를들어 오디오카드의 선택도 본인취향과(물론 금전에 따라 더 많이 움직이긴 하지만..)용도에따라 종류가 꽤나 많고 아무래도 작곡하신다니까 모니터 스피커의 선택도 필요하고 아예 컴퓨터로만 작곡을 하시는건지 아니면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악기가 있으신지도 궁금하고 미디를 찍기도 해야될테니 마스터 키보드나 신디같은것도 본인의 선택에 따라서 차이가 많이 나게되는걸요;; 글을 쓰고보니;; 결론은, 어디선까지 선택을 해드려야 하는건지 자세히 적어드리면 좀더 도움을 드릴수 있을거 같네요...
08/08/19 13:18
Meanzof님// 아 그렇군요..감사합니다..
역시 제가 전혀 모르는 분야쪽이라;;; 한번 통화를 해봐야 겠네요... 가격은 한 150정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타 부대장비는 거의 살 생각은 없구요... 사운드카드 + 스피커 가 가장 중요하다고 합니다..
08/08/19 13:43
150이라... 모니터까지 사야한다면 애매하군요;;
일단 작업할때 화면이 넓어야 좋기 때문에 24정도로 치면 모니터값만 한 40~50빠질테고 110정도에서 오디오카드(일반사운드카드와는 달리 dsp구현칩이있어서 레이턴시가 짧고 음질을 플랫하게끌어낼수있는 사운드카드를 말합니다.)와 모니터 스피커(역시 hi-fi스피커와는 달리 음역대를 고루 펴줘서 작업물의 공간감과 데시벨 수치를 구별하지 좋게 나온 스피커)역시 좋은걸 쓸려면 가격이 만만치 않습니다. 저 두개를 좋게 산답시고 컴을맞추면 컴이 사양이 엉망이 될수밖에 없고 확실히 현제 수치상으로 좀 애매하군요; 참고가 되실지 모르겠지만 제 걸 말씀드리면 2.8Ghz(인텔2160->2.8로 오버) + Neo p35 fr2(p35칩셋->안정성) + 하드 750기가(각종 가상악기 용량과 작업물 용량이 크기때문에 넉넉히 잡습니다) + Mia midi(오디오 카드입니다.MIA사에서 나온 거의 저가보급형이지만 가격대 성능비가 상당히 좋습니다.) + 이고시스 nEar 05(잘 알고계신 한때 pos스폰업체 이고시스의 보급형 모니터 스피커 입니다. 지금은 아마 단종..) 을쓰고 있습니다. 하드같은 경우는 차근차근 사들인거구요 도합.....70~80정도 나오는군요. 하지만 이건 정말 소위 말하는 컴퓨터 관리가 매우 용이한 파워유저라 할만한 사람이 마지노선에서 쓰는 사양이구요; 사운드시스템도 아마추어 레벨에서나 사용가능한 한계점이라고 볼수있습니다. 돈이 모이면 쿼드시스템에 훨씬상위기종의 오디오카드와 모니터 스피커로 바꿀 계획입니다. 작업하시는 분의 성향 수준 취향 목적에 따라 선택의 폭이 굉장히 다양하기 때문에 되도록 전화하셔서 많은 정보를 알아내시면 좀더 구체적으로 확답을 드릴수있겠네요; (어째 별 도움이 안되는듯....)
08/08/19 19:59
중저음에 민감하신 분이면 보스 제품 괜찮아요.. 소리에 굉장히 민감한 편임에도 2.1 채널 보스제품 사용하면서 그럭저럭 만족하고 있습니다.
자체에 사운드카드 포함되었다고 보시면 되구요 최저가 기준으로 50만원 약간 못 미치는 정도 선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