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8/19 11:24:18
Name 쓸애기
Subject 탁구에 대해서 이것저것 알고싶습니다.
1. 현정화코치,유남규코치,김택수해설 ( 어제 해설을 하시더군요 ) 의 전성기시절 실력을 알고싶습니다.
그때 중국의 실력이 지금처럼 초극강수준 이었는지는 모르겠는데 정말 현정화-유남규-김택수 하면 이름은 저도 알정도로
엄청 잘쳤다고 알고있거든요.

어느정도였는지 궁금합니다.

2. 이면타법은 언제부터 사용되었으며, 왜 그렇게 좋은 이면타법을 예를들어 유승민선수나 한국몇몇 선수들이
사용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왕하오나 마린 등 중국선수들이 이면타법으로 하는걸 보니 거의 사기수준이던데요..
혹시 이면타법의 장점도있지만, 이면타법의 단점도 있는건지 아니면 그 단점을 중국은 이미 없애버린건지;;

3. 수비형선수 예를들어 김경아 선수 스타일의 약점은 어떤건지 궁금합니다.
어제 남자 단체전에서 유승민선수와 마지막에 붙었던 선수도 수비형 선수같은데 유승민선수의 드라이브에 많이 무너지더라구요.
첫번쨰 경기에 비해서, 유승민선수의 두번째 경기는 물론 컨디션도 좋아보였고 그랬지만 그 선수가 잘못한건가요?
아니면 '유승민의 드라이브'이기 때문에 수비를 해내지 못한건지도 궁금하네요.

답변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올빼미
08/08/19 11:28
수정 아이콘
다른건 패스하고..수비형탁구의 문제점은 자신도 질식상태라는 겁니다. 스타로 비유하면...저그로 태란상대하면서 공격나오는것만 어찌어찌막아내는... 상대도 질식하겟싫지만 자신도 그리 편하지만은 않습니다.
wish burn
08/08/19 11:34
수정 아이콘
현정화선수는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커리어 전종목 우승을 하고
유남규,현정화선수는 서울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긴 했지만
그래도 역시 중국선수하게 밀리긴 했습니다.

세계4강급에서 중국선수하게 무수하게 좌절하고.. 어쩌다 한번 이기는 정도?
임요환의 DVD
08/08/19 11:38
수정 아이콘
1번 유남규, 김택수 선수는 보통 세계 4강급이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정말 대단한 거죠. 하지만 우승경험을 볼 때 세계를 지배했다고까지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이에 반해 현정화 선수는 우승경력이 다른 어떤 한국선수보다 많습니다. 현정화 선수는 한국 여자탁구의 레전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2번 이면타법의 장점은 백핸드 수비가 혁명적으로 좋아진다는 겁니다. 백핸드시 손을 비틀지 않아도 되니까요. 이면타법의 단점은 익숙하지 않으면 망한다는 겁니다.(이면타법으로 자라지 못했는데 나중에 바꾼 경우) 완전히 자연스럽게 나오지 않으면 경기중에 손발이 어지러워질 수 있습니다. 유승민 선수는 펜홀더의 자존심이므로 셰이크핸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다른 선수들도 자기가 어려서부터 배운 익숙한 타법을 버리는 것은 큰 모험입니다. 중국이야 탁구인구가 워낙 많아서 이면타법을 연마한 선수들 역시 있을 뿐입니다.
3번 수비형탁구는 상대 공격시 범실로 먹고 사는데 상대가 공격시 범실을 하지 않는다면?? 앞이 깜깜해집니다. 올림픽은 워낙 세계순위권 선수들이 많으니 수비형 탁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어제 유승민선수 두번째 경기를 보면 공격시 범실을 거의 하지 않았습니다. 범실에 기대 사는 수비형 탁구는 그런 약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승민의 드라이브'에 대해서 말씀드리면, 유승민 선수는 세계 랭커중에 유일한 펜홀더 그립 선수로서(세계 최강의 펜홀더, 펜홀더의 자존심) 백핸드 수비를 포기하는 대신에 극강의 포핸드 공격력을 선택하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펜홀더라면 당연히 상대가 받을 수 없을 정도의 공격력을 가지고 있어야 세계랭킹 유지가 가능하겠습니다. 그래서 유승민의 드라이브는 강력할 수밖에 없습니다. 백핸드 수비시의 상대적 무력감에 비하면 말이죠. 반면 유승민을 제외한 거의 모든 선수는 셰이크핸드 그립으로, 포핸드 백핸드 수비시 약점이 거의 없습니다. 공격도 강력하구요. 그리고 어제 두번째 경기의 경우 유승민 선수가 드라이브를 워낙 잘 했기도 했고 '정신적으로' 이겨버려서 상대가 무너진 경우입니다. 탁구는 정신력이 좌우하는 스포츠입니다.
08/08/19 12:21
수정 아이콘
현정화, 김택수, 유남규 선수 전성시절이면 80년대 중반부터 후반 정도라고 할 수 있는대요. 그에 앞서서 김완, 김기택, 안재형(자오즈민의 남편)의 3인방도 제법 선전하고 있을 때였지만 신선한 페이스를 찾고 있는 시기에 혜성같이 등장한게 유남규입니다. 그 시절 중국이 강국이긴 했지만 잠시나마 86-89년까지 한국 탁구의 선전도 대단했습니다. 운도 따랐다면 따랐지만 중요한 대회 결승에서 곧잘 중국을 잡아냈으니까요.

잘 아시다시피 86, 88 두번의 대회에서 유남규가 우승을 차지하면서 전성기를 구가했고 88년 올림픽 결승의 희생양이 바로 김기택입니다. 몇개월 후에 김기택은 바로 은퇴했습니다.

탁구는 아시안게임이나 올림픽을 거의 동급으로 쳐 줍니다. 88년 올림픽 우승보다 더욱 멋지게 우승했던게 86년 아시안게임인데.. 아마 아시안게임 전체에서 가장 멋진 경기장면 중 하나가 아니었나 합니다. 10점 가량 지고 있는 매치포인트 상황에서 말도 안되는 수비 능력으로 당시 세계챔피언으로 군림하면 장지아량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거든요. 엄밀히 말하면 장지아량도 하락세이긴 했습니다.

현정화라면 아직까지도 그의 실력이나 커리어를 능가하는 어떤 선수도 찾을 수 없을만큼 독보적인 존재였습니다. 현정화도 대단하지만 그를 잘 이끌어준 한국여자탁구의 거목 양영자 선수도 잊혀지지가 않습니다. 현정화는 교회에서 좀 알고 지내던 귀여운 동생이라... 어렸을땐 정말 귀여웠어요. 하하
쓸애기
08/08/19 12:57
수정 아이콘
모든분들 답변감사합니다. ^^

정말 대단한선수들이었군요.
펜홀더와 양면타법에 대해서도 좋은것 알아갑니다.
답변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1009 사이가 어정쩡한 여성분과 자연스럽게 관계를 발전시킬려면 어떻게 해야되나요? [6] 한방에열놈2111 08/08/19 2111
41008 대저그전 더블넥서스는 누가 처음 방송에서 보여줬나요? [10] possible3366 08/08/19 3366
41007 꽁짜폰에 대한 질문이요 [7] 바람과쓰러지2181 08/08/19 2181
41006 타우크로스에있었던경기질문이요~ [1] ArtOfakirA1650 08/08/19 1650
41005 핸드폰 번호 중복이 되나요? [3] 방패연3292 08/08/19 3292
41004 다음 학기 등록을 못 하게 생겼어요 ㅜ [4] 껀후이1935 08/08/19 1935
41003 C언어에 관한 질문입니다. [10] 달려라투신아~2303 08/08/19 2303
41002 샤워기 교체 해보신분 있나요 [3] 드래곤플라이2527 08/08/19 2527
41001 자바 초보가 하는 자바 질문입니다..ㅜ.ㅜ; [7] arq.Gstar2188 08/08/19 2188
41000 유머게시판에 동영상이 안보여요ㅠㅠ Matabolic_Boost1525 08/08/19 1525
40999 비스타 깔린 노트북인데 인터넷이 갑자기 안됩니다 [1] [LAL]Kaidou14122116 08/08/19 2116
40998 인터넷 주소창이 클릭이 안되요.... [1] 흠냐3649 08/08/19 3649
40997 네트워크 고수님들 질문 좀!! [2] on&on1593 08/08/19 1593
40996 대학야구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Psidis1632 08/08/19 1632
40995 컴퓨터 구입 관련 질문입니다.(음악작업용) [5] 웨비1654 08/08/19 1654
40994 처음 사귀자고 할때 어떻게 하셧나요? [8] 우라님4965 08/08/19 4965
40993 워드 1급 실기 상설시험이요! [2] 제갈공명토스1887 08/08/19 1887
40992 인터넷 서비스 어떤 것이 좋나요? [3] 8141612 08/08/19 1612
40991 탁구에 대해서 이것저것 알고싶습니다. [5] 쓸애기2091 08/08/19 2091
40990 들어야할 노래에 대해 질문이요.. [1] 호랑이잡자2083 08/08/19 2083
40989 타우크로스 경기 질문입니다~ [1] ArtOfakirA1539 08/08/19 1539
40988 청약통장 불입 관련.. [1] To_heart1571 08/08/19 1571
40987 올림픽 축구 브라질 vs 아르헨티나 [1] top[of]zerg=홍Yello2079 08/08/19 207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