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8/06 13:04
제조부서와는 별개인 제조사의 공인 감정 대리인과 구매자의 공인 감정 대리인 또는 공식 법규에 의해 지명된 감정사들에 의해 작성된 문서는 공급된 제품들이 시험결과가 제공 된 요구조건들을 충족시킨다고 명시했다.
제조사가 추적 절차를 밟아서 그에 필요한 감정 문서를 제공 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제조사가 3.2 감정 확인서, 즉 예비선거 또는 그가 사용한 소득 제품들을 보고 얻은 타당한 실험 결과들을 보고 믿는것이 허용될 것이다. 대충 이렇나요 --;; 감히 제 생각을 솔직히 말해보자면 이건 완전한 문장이 아닐겁니다. 중간중간 문법적인 오류(또는 제가 알지 못하는 문법 규칙)이 있는 듯 하지만 제 나름대로 의역에 의역을 거쳐 해보긴 해봤습니다만;; 신뢰도는 30% 이하;; 그리고 and in which가 아니고 그냥 in which같습니다.. 그리고 transfer (무언가) on 이 되야 맞는 것 같은데;; 그냥 믿는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만.. 아 몰라 ㅠㅠ 도망갈테야.
08/08/06 14:33
gonia911님 고맙습니다.
아쉽게도 완전한 문장인 것 같아요. 출처가 EN규격이거든요 ㅠㅠ 설마 british standard라고 버젓이 써있는 문서가 틀린 문장을 넣지는 않았겠지요..ㅠㅠ 진짜 안습입니다... 제가 고민해 본 바로는, 제조부서에 대해 독립적인 권한을 가진 제조업체의 검사부문 대표자 및 구매자의 검사부문 대표자 또는 공식 규정(법규)상 지정된 검사자가 준비한 문서가 제공되어지는데, 이 문서는 납품되는 제품들이 주문서 상의 요구조건을 만족함에 대한 상기 인원들의 자주선언 및 시험 결과를 포함해야 한다. ----> 첫번째 문장에 나열된 in which를 문서에 대한 내용으로 간주하고 의역하면 이렇게 될 것 같은데 확신이 안서네요.쩝.. 둘째 문장은, 제조업체가 추적성 확보 절차를 운영하며 요구되는 관련 시험 문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제조업체가 사용하는 최초(원자재) 또는 수입 부품에 대한 spec 검사를 통해 얻은 3.2 검사 cert 관련 시험 결과를 제조업체 자체적으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제조업체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spec 검사가 공식적인 결과로서 인정 가능하다.. 이런 의미가 아닌지... 아~ 진짜 안습이네요 이거... 도와주세요 ㅠㅠ
08/08/06 17:31
안녕하세요! 임요환의 DVD입니다.
(independent of the manufacturing department)한 (the manufacturer's authorized inspection representative) 와 (the purchaser's authorized inspection representative) 혹은 (the inspector designated by the official regulations) 중에서 선택된 1인 둘 다(여기서 둘은 누구냐면, 제조사측 인스펙션 책임자는 무조건 포함, 구매자측은 책임자가 포함되거나 혹은 책임자가 아니더라도 계약에 의한 조사관 한명이면 됨. 양측에서 1명씩 모두 두명은)에 의해 준비됨. 그리고 이 문서에서 그 둘은 (declare that the products supplied are in compliance with the requirement of the order) 하고 또한 이 문서에는 (test results) 가 supplied되어있다. 특정 말투(계약서, 규정 등)에서 수동태 BE동사가 생략되는 것은 왕왕 있는 일인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도 문장으로 안 쓰는 경우가 있어요. ~~~라고 함. 뭐뭐뭐~ 임. 이렇게 명사로 끝나면 ~~다 이것보다 뭔가 더 단정적으로 보이는 것과 비슷한 이치입니다. nuclear launch detected에도 be동사가 생략되어 있어서(결과적으로 명사+분사형) 더 단정적입니다. 두번째 문장의 큰 뜻은 말씀하신 대로라고 봅니다. 무슨 검사를 어떻게 했는지 '구매자'가 추적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해서 그에 따라 '생산자'가 검사를 한다면 차후 자체적으로(시제품이든 차후 사용 제품이든 마음대로 골라서) 시행하는 3.2항 검사 결과를 (그대로 transfer해와서) 상호 인정하는 '인스펙션'이라 할 수 있다. 즉 on to the inspection 이 transfer의 목적지, certificate 3.2 relevant test results 가 transfer 의 목적어라고 보았습니다. 여기서 the inspection에 따로 쿼테이션 마크는 없지만 문맥상 상호 인정하는 '검사'라고 보면 무리가 없을 것입니다. 영어문장의 폼잡는 잔재주 중에서 전치사+명사를 목적어 앞에 놓는 수법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예전 비평문이나 학술적인 글을 보면 흔히 나타나구요. 자세한 정황을 몰라 넘겨짚은 바가 많습니다. 틀리더라도 양해해주세요~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