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8/05 21:02
승 은 말 그대로 승리 (승리 요건은 복잡합니다.)
패 는 말 그대로 패전 (패전 요건 역시 단순하지 않습니다.) 세이브 - 이기는 경기를 승리로 마무리 짓는 일 (역시 요건이 복잡합니다.) 탈삼진 - .. 이거 모르시면 야구를 거의 모르시는 거 아닙니까? .. 삼진을 잡은 수를 말합니다. (탈 하다.. 뺏었다는 거죠.) 삼진이 뭔지 모르지면.. 검색을.. 하거나 야구 기초 룰을 좀 배우셔야 할 듯. 타자가 쳤던 볼들이 아니라, 타자가 이번 경기에서 전 타석들에서 했던 결과들입니다. 뜬공은 말 그대로 공이 떠서 아웃 된 거고, 땅볼은 땅으로 굴러가서 수비수가 잡아 1루에 던져 아웃 된 겁니다.
08/08/05 21:11
승패개념이야 조건이 복잡하지만 축구, 농구에서와 같은 승패인데 다른 스포츠완달리 야구는 투수 성적에 승패도 같이 있지요.
류현진 선수가 올해 10승 6패인데 한화의 56승 46패중 류현진 선수가 10승 6패를 책임졌다는 뜻이죠. 뜬공, 땅볼은 모두 아웃된건데 어떻게 아웃이 됐냐 하는거죠. 안타는 뜬공, 땅볼 이렇게 기록하지 않구요.
08/08/05 21:17
승리는 일반적으로 선발투수가 5회이상 던지고 리드중인 상황에서 마운드에서 물러나 동점이나 역전없이 경기가 끝날때 기록됩니다. 지고있을때나 동점중인 상황에서 등장한 중간계투선수가 역전을 할때까지 던진 후 그대로 경기가 끝날때도 기록원의 판단하에 승리투수가 될 수 있습니다.
패전은 일반적으로 선발투수가 지고있는 상황에서 마운드에서 물러나 역시 동점이나 역전없이 경기가 끝날때 기록됩니다. 이기고있거나 동점인 상황에서 등장한 중간계투선수가 역전을 허용했을때도 패전을 기록합니다. 선발투수가 교체된 이후 동점이나 역전을 허용했을 경우 일반적으로 선발투수는 노 디시젼 이라고 해서 승리도 패배도 기록되지않습니다. (그러니까 승률 100%의 투수라고 해도 나올때마다 팀이 이긴건 아닐수 있다는 것입니다.) 세이브는 아슬아슬하게 이기고 있는 상황에서 교체되어 나온 선수가 그대로 경기를 마무리 지었을때 부여되는 기록입니다. 일반적으로 점수차가 어느정도 나더라도 3이닝을 던지고 경기를 마무리짓는다면 세이브를 인정시켜주고, 9회 무사 상황에서 등판했다면 3점, 1사 상황이라면 2점, 2사 상황이라면 1점이내의 점수차이일때 세이브가 성립하며, 등판시 이미 누상에 주자가 있다면 주자수만큼 세이브요건이 쉬워집니다. 그러니까 간단하게 말한다면 9회에는 "점수차이-주자수가 남은 아웃카운트 수 이하인 리드상황" 에 세이브가 기록됩니다. 탈삼진은 삼진을 잡은 갯수이고, 타석에 들어설대 자막으로 나오는것은 그날 경기에서의 타자의 기록입니다.
08/08/05 21:33
타자와 그 다음타자라고 한다면 표현이 좀 애매한것 같고 항즐이님 처럼 정리를 하자면
누상의 모든주자와 남은아웃카운트+1만큼의 타자가 모두 홈에 들어오면 역전이 되는 상황이 세이브 요건이 아닐까 싶네요.
08/08/05 23:07
지니쏠님///남은 아웃카운트는 세이브 요건에 관계 없습니다. 항즐이님 말씀이 맞는데
다시 말하면 1. 3점 이하의 리드에서 1이닝 이상 투구로 경기 마무리 2. 누상의 주자 또는 타자 또는 대기타자가 득점하면 동점이 되는 경우에 등판하여 경기 마무리 3. 3이닝 이상을 효과적인 투구로 경기 마무리 승리투수가 아닌 투수중 이 세가지 조건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면 세이브 입니다. 3번은 경기 기록원 판단이고요.
08/08/05 23:20
BluSkai님///2항에 따라서 주자가 한명이상 있으면 1/3이닝투구로도 세이브이고 주자가 없으면 세이브가 아닙니다.
PS - 세이브요건중 2항은 투구이닝에 관계없습니다.
08/08/05 23:52
땅볼과 뜬공에 대한 항즐이 님의 설명에 약간 보충해 봅니다.
땅볼은 타자가 타격한 타구가 '바운드 된 후' 야수가 잡아, '타자나 선행주자'를 각 루에서'포스 아웃' 시킨 것 뜬공은 타자가 타격한 타구가 '바운드 없이' 야수가 잡아 아웃 시키는 것입니다. 두 경우 모두 아웃 판정입니다.
08/08/06 00:51
아웃카운트도 상관있지않나요? 올해 프로야구 경기를 굉장히 많이 봤었고
룰도 나름 공부를 해서 이렇게 알고 있었는데 제가 알고있는것과 많이 다르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