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6/06 23:34
0의 이윤이라는 것은 경제학의 이윤이 0이라는 것입니다. 결국 기회비용만큼의 이익은 얻을 수 있다는 것으로서
회계이윤이 0은 아니므로 사업을 계속할 수 있는 요인이 됩니다. 물론 장기적으로 보면 다른 것을 하는 것과 다를 바 없으므로 이윤을 0보다 높게 만들 수 있는 요인이 없다면 사업을 그만두고 다른 일을 찾게 되겠죠. 평균총비용은 가변비용과 고정비용을 합하여 생산량으로 나눈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고정비용은 항상 일정하게 들어가기 때문에 그냥 두더라도 가변비용은 처음에 좀 높다가 생산을 하면서 효율성이 높아져서 낮아졌다가 최대효율이 나타나는 지점을 넘어서면 다시 높아집니다. 결국 평균총비용곡선은 아래로 볼록하게 나옵니다.
08/06/07 00:18
간단하게 천천히 그래프 그리면서 생각해 보세요..
저도 많이 애 먹은 단원인데요.. 그래프 그리면서 하나씩 하나씩 생각해 보시면서 공부해 보세요... 경제학에서 0이라는건 기회비용=0이라는걸 의미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다른걸 해도 똑같기 때문에 이걸 하는거죠..그리고 다른걸 하면은 고정비용에 대해서 문제가 생기게 되고.... 그래서 하던거 계속 하게 되는거죠-_-
08/06/07 00:52
평균총비용곡선(atc)이 아래로 볼록하게 그려지는 이유는 평균총비용곡선이 평균가변비용(avc)과 평균고정비용(afc)의 합이기 때문입니다. 즉 총비용(tc)은 가변비용(vc)과 고정비용(fc)의 합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평균총비용곡선은 평균가변비용과 평균고정비용의 합입니다. 이때 평균가변비용은 생산이 늘어날수록 비례해서 올라가게 되지만 평균고정비용은 생산이 늘어날수록 급격히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평균가변비용과 평균고정비용의 합인 평균총비용곡선은 생산이 올라갈때 앞부분에선 비용이 줄어들지만 어느 수준 이상에선 다시 비용이 올라가게 됩니다. 그래서 평균총비용곡선이 아래로 볼록한 모양을 갖습니다. 경제학적 이윤과 회계적 이윤은 암묵적 비용을 어디에 둘것인가에 따라 차이가 나는데 경제학적 이윤에서는 암묵적 비용을 비용으로 생각하지만 회계적 이윤에서는 이것을 이윤으로 보게됩니다. 여기서 암묵적비용이란 기회비용의 개념인데 만약 자신이 소유한 상가에서 사업을 하고있는 사장이라면 그 상가를 남에게 임대했을때 얻을수 있는 이윤이 암묵적비용이 됩니다.(기회비용이란 자신이 선택할수 있었던 대안들중 가장 큰것임으로 그 상가를 사업에 쓰는경우에 기회비용은 그 상가를 남에게 임대하는것이 됩니다.) 따라서 경제학적 이윤이 0이라고 할지라도 그 일을 하지않고 다른일을 할때의 이윤까지는 최소한 보장이 가능함으로 그 사업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하게 됩니다. 경제학 원론 아니면 개론 수업이신거 같은데 가장 중요한건 그래프를 읽고 그리는 겁니다. 그것만 할줄 알면 A+은 문제없을 겁니다.
08/06/07 14:09
책이 없어서 내용을 보아, 맨큐 14장이 경쟁시장 13장이 생산비용인가요?
님이 14장에서 모르는 부분은 13장을 이해하지 않고 넘어가서 그런거구요. 13장부터 차근차근 하면 맨큐 2챕터정도는 금방 끝납니다. (atc의 형태에 대한 설명 부분이 13장일겁니다.) TC=FC+VC 부터 차근차근 읽어보시면 금방 이해하실거예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