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6/06 19:15:51
Name Humming
Subject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할 지..

   안녕하세요

    전 인천 모 고교에 다니고 있는 문과 고2의 그저그런 남학생입니다

    다른게 아니고 역시 학생의 본분은 공부이다보니..

   여태까지 공부와는 담 쌓고 살았는데 앞으로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할 지 ..질문 드립니다

    단도직입적으로 제 성적은 내신은 3등급정도(비주요과목빨..)언외수는 4..모의고사도 언외수사탐 4등급정도입니다

    역시 언/외/수가 중요하다고 생각되서..

   언외수를 집중적으로 파보려고 문제집도 샀고 했는데 어떻게 어느 부분을 얼마나 건드려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지금 제게 있는 게 언외수 모의고사문제집과 언어는 오감도 수학은 개념원리+센 영어는 단어장과 독해가 있는데

   무엇을 먼저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합니다..

   한 줄로 요약하면 언외수를  어디에 어느정도 비중을 둬서 어떤 방식으로 해야할지요 ..
    
   인생선배님들께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ps 인강을 듣는게 좋을까요?
   ps2 사탐공부는 언제쯤 해야 하는지..언외수가 일단 안되니까 어느정도 쌓은 후에 사탐을 준비해야되겠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6/06 19:37
수정 아이콘
비중은 약한 부분에 더 두는 게 맞다고 할 수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모두 똑같이 두는 게 더 낫다고 봅니다.
그래야 공부의 리듬이 생긴다고나 할까요...

수학은 개념원리만 푸시고 다른 건 하지 마세요. 수능 문제집이나 다른 거 다 필요없습니다.
개념원리를 하루에 한권 다 풀 실력이 안되면 다른 거 해봤자 도움 안 됩니다.

언어는 시간싸움이니 열심히 하면 되고,

외국어도 마찬가지. 끈기가 있으면 다 됩니다. 그게 없어서 문제지.....
사실 대입용 영어의 경우 단어공부는 독해에 나오는 모르는 것만 정리해도 충분합니다.
굳이 따로 어휘관련 책을 볼 필요가 없어요.

......

인강의 경우 저는 인강세대가 아니라 잘은 모르지만 책을 읽는 것 만으로는 이해가 안되는 과목이 있다면
검증된 유명한 선생의 것을 집중해서 한번 듣고 그때 반드시 '이해'가 되도록 한다면 족하다고 생각합니다.

사탐이나 과탐이 중요하지 않다고 안 하면 안됩니다.
매일 언, 외, 수, 탐구영역을 다 본다고 생각하고 시간분배를 하세요.
매일 조금씩이라도 봐줘야 그게 쌓여서 성적이 오릅니다.
08/06/06 21:27
수정 아이콘
영어는 넘기는 문제집 닥치는 대로 사모으셔서 시간 정해 놓고 풀어가시면서
단어 정리는 모르는 단어들을 하나씩 차차정리를 하시면 될 듯 하고
독해력은 문제를 풀다보면 점점 늘어나시는 자신을 느끼시게 될 것이며
문법은 몇문제 안나오기도 하고 오답정리를 하시다 보면 유형에 익숙해질 듯 합니다.
우리고장해남
08/06/07 19:49
수정 아이콘
21살의 대학생인데

음.. 글을 읽고 그냥 지나칠수 없어서 이렇게 작은 도움이라도 드리고자 글을 씁니다

음.. 저는 이과생이였구요

수능을 보고 가장 안타까웠던게

인강에 치중을 많이 했던거였어요

즉 제 개인시간은 별로없고 거의 인강에 의존했더니 참패를 맛봤죠 ( 그래도 점수 꽤 오른 과목들도 있었답니다 )

음.. 언어>영어>사탐에 비중을 많이 두세요

사탐은 과탐이라 비슷한 개념이라고 생각한다면

기본서 1권 완전 마스터하시고 ( 눈에 확들어오는 기본서를 사세요. 저는 하이탑이나 누드교과서를 봤었거든요 )

그리고 수리는 수리1은 점수 단기간에 끌어올리기 굉장히 쉬운 과목인거같아요

그반면에 문과생들이 약한부분이 수리이구요 ( 문과중에서 수리 잘하는 친구는 부러움의 대상이 되죠 대학교 선택폭이 늘어나니깐요 )

수리는 인강중에

비타에듀나 케이스아카데미에 있는 '이기홍 폴수학1' 강추해 드립니다

이걸로 제가 바닥에서 수능볼때 나름 만족할 정도까지 나왔거든요

굉장히 좋은 말도 많이해주시고 강의도 재미있고 음

수리는 이기홍선생님만 믿고가세요

언어는 저는 버리고 시작해서 잘모르겠지만

잘하는 친구들 보면 문학이나 시 같은것을 자기 나름대로 정리해서 보면서

이 지문은 어떤걸을 말하려고 하는지 케치하는 것을 중요시 한다고 하더라구요

영어는 인강 이런것은 딱히 필요없구요

단어는 꾸준히 50개정도씩 외워주시고 모르는 단어는 따로 정리해서 반복하세요

독해 듣기(전 ebs 들었어요) 장문독해 날마다 꾸준히 풀어주시고

답체크하시고 이제 그 문제를 파고들어가셔서 자기껄로 만드시는 일이 굉장히 중요해요

그러면 3등급이상으로 넘어갑니다

2등급 친구들 보면 감각이 있더라구요

이게 답이지 않을까 하는 감각 말이죠


하여튼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았구

가장 중요한 방학기간은 겨울방학입니다

이때 얼마만큼 하느냐가 고3의 수능을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여름방학때는 굉장히 지치구요

지금 2학기->겨울방학

잘 컨트롤 하셔서 좋은 성적 받으셨음 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7814 유통기한 지난 라면 먹어도 되나요? [20] 포셀라나15286 08/06/06 15286
37813 맨큐의 경제학 질문입니다. [4] worcs2681 08/06/06 2681
37812 일러,포토샵 과제로 포스터를 만들었는데 평가부탁드려요 :) - 4 [6] 이프위너2120 08/06/06 2120
37811 커플이라는게.. [4] 오월2075 08/06/06 2075
37809 넷마블에 대해. [1] 경락마사지1855 08/06/06 1855
37807 e100 이랑 M6SL 중 추천 좀 해주세요 [2] firstwheel2202 08/06/06 2202
37805 팔에 상처에 좋은 약추천좀.. [1] Wr.C-YuJI1534 08/06/06 1534
37804 스카이 핸드폰에 관해.;; [5] 인생의참된것2185 08/06/06 2185
37802 일러,포토샵 과제로 포스터를 만들었는데 평가부탁드려요 :) - 3 [8] 이프위너2175 08/06/06 2175
37801 중국어 가능하신분 해석좀 부탁드립니다.. [3] yurayura1745 08/06/06 1745
37800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할 지.. [3] Humming1768 08/06/06 1768
37799 손목시계 질문드릴게요~ [4] 김라울2129 08/06/06 2129
37798 일본의 얼토당토 않은 소문들 [6] 허접플토2115 08/06/06 2115
37797 그럼 미대사관에 항의를 하는 것도 내정간섭인가요? 포셀라나1503 08/06/06 1503
37796 공부에 집중이 안 돼요. [5] 암모니아연필1805 08/06/06 1805
37795 연극, 뮤지컬은 왜 이렇게 비싼거죠? [5] 오뱅2122 08/06/06 2122
37794 몸이성한데가 없네요 ㅠㅠ (의료질문) [3] TheOthers1655 08/06/06 1655
37792 자원 채취 속도가 가장 빠른 일꾼 순서가 어떻게 되나요? [7] 첼시2466 08/06/06 2466
37791 프로모션용CD와 일반CD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2] abrasax_:Respect2245 08/06/06 2245
37790 위닝..pes2008 하고있는데요 선수영입이.. [5] top[of]zerg=홍Yello1912 08/06/06 1912
37789 혹시 Boson Software라고 아시나요..? 먼길떠나는사1813 08/06/06 1813
37788 말씀? 말? [9] Kyrie_KNOT1819 08/06/06 1819
37787 밑에 이어폰 질문이 있길래 저도 이어폰 질문 하나 드립니다. 정태영2095 08/06/06 209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