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5/11 16:08
미래에셋에서 재무설계를 하는 사람입니다.
우선 젊은 나이에 재테크에 관심을 가지게 된 점을 굉장히 높게 평가합니다. 돈이란 쓰기는 쉬워도 모으기는 어려운 겁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너무 고민 안하시길 바랍니다. 요즘 젊은 분들이 수익률에 중심을 두고 너무 급하게 생각하면서 일희일비하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정말 중요한 것은 몇%로 표현되는 수익률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철저한 준비입니다. 그리고 올바른 습관이 중요하지요. 현실감 있게 숫자로 얘기해 볼까요? 월 5만원씩 2년간 모으고 싶다고 하셨습니다. 5만원씩 1년이면 60만원 2년이면 120만원의 원금이 되는군요. 요즘 은행금리나 CMA금리가 5-5.5% 정도 입니다. 많은 분들이 오해하시는게 60만원이나 120만원을 넣고 거치하는게 아니죠. 1월에 입금한 5만원은 5% 이자의 12/12를 줍니다. 2월에 입금한 5만원은 5% 이자의 11/12을 주지요. 12월에 입금한 5만원은 5% 이자의 1/12을 줍니다. 재무계산기를 사무실에 두고 와서 정확한 숫자는 말씀드리지 못하지만 위의 방법으로 이자가 붙기 때문에 실제 수익은 얼마되지 못합니다. 또한 이자에서 15.4%의 이자 소득세를 때야 합니다. 이자를 5%로 계산하나 6%로 계산하나 실제로 만기시 차이는 미미한 수준입니다. 발상을 바꾸시기를 바랍니다. 수익률에 관심을 가지고 효율적으로 자산을 불리거나 운영하는 것은 종자돈을 확보한 이후에 고민하는 편이 낫습니다. 100만원 원금가지고 1년간 거치해 봐야 이자는 5-6만원 수준입니다. 거기서 15.4%의 이자소득세를 제하면 얼마나 차이나겠습니까? 돈을 모으는 비법은 따로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수입을 늘리는 겁니다. 그 다음이 지출을 줄이는 겁니다. 마지막으로 고민할 부분이 수입에서 지출을 뺀 나머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서 수익을 내는 거죠. 지금 질문한 분은 나중에 마지막으로 고민할 부분을 너무 미리 고민하는 겁니다. 인생선배로서 재무설계사로서 충고드립니다. 지금은 작은 돈 가지고 수익률 같은 것에 관심을 가질 때가 아닙니다. 좋은 습관을 가지고 돈을 모으는 것은 중요하지만 좀 멀리 크게 보기를 바랍니다. 지금은 나중에 수입을 늘릴 수 있는 준비를 하고 투자를 하는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연봉 3000만원 수준의 사람이 8%대의 저금을 하는 것 보다는 연봉 5000만원 수준의 사람이 5%대의 저금을 하는 것이 휠씬 낫다는 말입니다. 감히 말씀 드립니다. 본인을 위해 투자하세요. 어설프게 저축하느니 미래를 위해 투자하는게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요즘 책값도 비싸서 두권이면 3만원 정도 할겁니다. 한달에 책 두권 정도 보시길 바랍니다. 전역해서 뭐할건지 고민하시고, 도움되는 분야를 미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체력관리도 꾸준히 하시고요. 지금부터 5만원씩 10년 모아봐야 얼마 안됩니다. 차라리 나중에 연봉 1000만원을 높이도록 준비하는 것이 훨씬 낫습니다.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일단 소득을 높일 수 있는 준비를 하시길 바랍니다. 다음에 소비 습관을 점검하고 지출을 줄이길 바랍니다. 그런 상태로 열심히 생활하며 종자돈을 준비합니다. 효율적인 투자는 그 다음입니다. 더 궁금한 것이 있으면 vipsfc@naver.com 으로 메일 주시길 바랍니다.
08/05/11 16:17
이제 20대 초반이고 사회생활 시작도 안했는데. 높은 이익을 노려야죠... 그냥 펀드 하나 골라서 드세요 -_- 적금은 거의 남는거 없어요
08/05/11 23:17
욕교반졸님이 정답을 말씀하신 것 같습니다. 종자돈을 모을 때까지는 이율은 그렇게 큰 의미는 없습니다. 다만, 어차피 언젠가는 수익률을 고민해야 할 것이니 이 기회에 관련 경험을 쌓고 싶으시다면...
1. 안정성이 중요한 경우는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수시 입출금이 필요할 경우: 말씀하신 것처럼 CMA, MMDA, MMF 등이 있습니다. 동양종금 CMA나 HSBC 다이렉트를 추천합니다. - 출금할 가능성이 없으면: 상호저축은행의 정기적금을 추천합니다. 상호저축은행중앙회에 들어가셔서 경영 공시를 보시고 적당한 곳을 골라 정기적금을 드시면 됩니다. 2. (안정성을 포기하고) 수익률에 대한 경험을 이번 기회에 쌓고 싶으시다면... - 2년 정도면 국내 증시도 나쁘지 않습니다. 적당한 증권사를 골라 적당한 주식 펀드를 골라 정기적금처럼 매달 매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단, 펀드에 따라 적금형 자체는 제약이 많은 경우가 많아 비추이구요, 임의형으로 선택해서 추가 납입을 적금처럼 하시는 편이 낫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