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5/06 01:57
저도 잘 못쓰지만 흠흠
암튼 글쓰는데는 순서가 있죠. 우선 글쓰는데 대략의 요강을 잡으시는게 좋습니다. 가령 레포트면 1. xxx정의 2. 특징 3. 문제점 4. 대책 5. 결론 이라고 정해 놓고 그 큰틀안에서 작은 주제에 맞게 글을 쓰신다면 다른 사람이 무슨 말인지 못 알아보는 일은 적을 거에요. 그리고 마지막에 퇴고 센스. 다시 쭉 읽다보면 어색한 문맥이나 어법 그리고 단어들이 보이기 마련이죠. 그리고 다독도 정말 도움이 되는데 책추천은 아랫분께서 해주시겠습니다. (저도 부탁드립니다. ㅠㅠ)
08/05/06 01:58
일단 책을 많이 읽으시는게 첫번째고
글을 많이 써 보시는게 두번째겠죠. 뭐 제가 글 잘쓰는 사람은 아닙니다만.... 저 두개가 정답인것 같습니다. 그리고 세번째는 나름대로 학원을 다니든 독학을 하든 해서 글쓰는 형식(?) 따위를 배우는 것도 좋습니다. 나중에 논술공부할 때 느꼈지만 중~고등학교때 '쓰기' 파트에서 배웠던 부분이 필요없는 줄 알았더니 굉장히 필요한 부분이었더군요. 서론 본론 결론 나누면서 개요 짜는 것 등등이요.
08/05/06 02:01
5단락 글쓰기를 연습해보십시오. 1단락은 서론, 5단락은 결론, 2/3/4단락은 본론입니다.
서론에서는 '내가 이러저러한 이야기를 할 것이다'라는 것을 말하는 곳입니다. 글의 주제와 영역, 본론에서 다룰 것들에 대해 간략히 언급해주면 됩니다. 서론을 봤을 때 이 글의 전체적인 내용이 들어올 수 있어야합니다. 결론에서는 본론에서 제시한 이야기들을 매듭짓습니다. 따라서 본론에서 말한 것 이상의 다른 이야기를 하면 안 됩니다. 양식에 대한 설명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니 실제 사례를 보여드리겠습니다. 링크는 이곳입니다. ->http://armarius.net/bbs/view.php?id=www_bbs&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4775&PHPSESSID=c19294b7664031483855b9f4c47acf8e 곰곰히 뜯어보면, 서론에서는 1)과두정치를 지배가 실현되고 있다. 2) 과두정치는 환경을 악화시킨다. 3)민주주의 정신을 약화시킨다라는 3가지 논제를 제시합니다. 그리고 각각의 논제가 2/3/4문단의 주제로 들어갑니다. 이런 식으로 1/2/3/4문단을 완결한 뒤, 결론 부분인 5문단에서 앞의 내용들을 요약한 뒤 간단한 평가를 덧붙입니다.
08/05/06 02:03
참고로 몇 가지 개인적인 팁을 적어봅니다.
1. 진지한 글쓰기는 좋지만, 감정적인 글쓰기는 좋지 않다. 자기 혼자 열내면 독자는 뻘글로 받아들인다. 2. 매력적인 표현보다는 간결한 표현이 좋다. 기본기가 없는 상태에서 유려한 수사를 구사하려다보면 약점이 많이 노출된다. 3. 지나치게 많은 설명을 할 필요는 없다. 사족을 최대한 없애라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독자가 이해 못할 것을 두려워해서 생기곤 하는데, 글쓴이가 충분히 논리적으로 글을 썼음에도 불구하고 독자가 알아보지 못하는 것은 독자 잘못이다. 책 한 권을 선정해서 그 책의 논리구조를 모두 파헤쳐 보는 것도 좋습니다. 고등학교 교과서도 나쁘지 않을 것입니다.
08/05/06 02:21
역시 책을 많이 읽는게 제일 우선이겠죠.
개인적으로는 이 글을 보고 많이 공감이 가더군요. https://pgr21.com/zboard4/zboard.php?id=ACE&page=1&sn1=&divpage=1&sn=off&ss=on&sc=on&keyword=text&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718 계속 고민해보고..그리고 써보고.. 그러다보면 좋아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08/05/06 13:07
윗 분들의 조언이 정답입니다.
일단 잘 쓴 글들을 많이 읽으셔야 되구요. 그리고 글을 통해 자신이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쓰는 연습을 많이 하셔야 합니다. (물론 이 때 읽기를 통해 체득한 잘 쓰여진 글의 형식을 조금씩 따라하셔야 합니다.) 저도 글 쓰기를 잘하는 편은 아닌데 직업상 글을 써야 하는 관계로 쓸 때마다 고역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글쓰기에 왕도는 없어 보이구요. 쓰다 보니 느끼는 점은 글 쓰기 전에 이미 잘 정리된 생각이 글로 옮기기가 훨씬 수월합니다. 같은 이야기라도 어떤 과정을 거쳐 설명하는 것이 보다 조리있고 설득력있는 지에 대해서 글 쓰기 이전에 많이 고민하셔야 합니다. 중요한 글 일수록 더욱더 많이...
08/05/06 18:28
바바라 민토 저, 논리의 기술 이라는 책을 추천합니다.
맥킨지 컨설턴트 출신이 쓴 책인데, 깔끔하게 논리전개를 하는 글쓰기 방법에 대해 설명한 책이고 세계적인 베스트셀러입니다. 저도 대학원 들어갈때 교수님께 이 책을 추천받고 글쓰는 방법을 새로 배우게 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