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4/30 18:57:32
Name OnlyJustForYou
Subject 올드의 기준은 뭘까요..
예전부터 생각헀던건데요. 도대체 올드의 기준을 뭘까요.. ^^;;

방금 stx vs skt경기를 보는데 전상욱선수가 예전부터 활동했던 올드라고 김정민해설이 그러신걸 듣고 전상욱선수가 올든가? 라는 생각이 드네요.

다시 생각해보면 전상욱선수 보다 조금 더 빨리 데뷔했던 이병민선수도 올드고 그 이병민선수보다 조금 더 빨리 데뷔했던 선수도 올드고..

그렇게 생각하니 전상욱선수도 올드가 맞는거 같다는 생각이드네요. 전상욱선수는 데뷔때 이미지하고 작년 부진했지만 그래도 마재윤 선수와 잘나가던 그럴때도 있고 해서 그런지.. 올드가 아니라고 생각이 든건지..

그런데 잘 생각해보면 전상욱선수가 활동할때 마재윤 선수도 데뷔했던거 같은데.. 마재윤 선수는 올드라는 생각이 전혀 안 드네요.

음.. 기준이라는게 주관적일수밖에 없지만 pgr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예전엔 1세대, 2세대 그랬던거 같은데 이제 그랬던 선수들도 다 올드로 포장되버리네요..

저는 최연성/이병민/전상욱/박성준/박태민 이정도까지가 올드같구요. 마재윤, 오영정, 박지호 이정도 선수들은 올드라고 하긴 좀 아직은 아닌거 같다고 생각이드네요.

대충 2004년도정도까지가 올드라고 보면 맞을까요. 데뷔가 언제인지도 기준이 애매모호해서 답이 없네요..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진리탐구자
08/04/30 19:02
수정 아이콘
지금 메이져대회 16강 정도에 있는 선수들은 평균 경력이 3~4년 정도 됩니다. 이로 미루어볼 때, 데뷔 후 2년까지는 신예, 3~5년까지는 중견, 6년 이상은 올드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마재윤 선수와 최연성/전상욱 선수는 데뷔 시점(첫 공식전)이 2개월 차이이며, 박지호 선수는 이 둘보다 약간 늦습니다. (최연성/전상욱 선수는 2003년 2월, 마재윤 선수는 2003년 4월, 박지호 선수는 2003년 7월.)

그리고 박태민 선수는 홍진호 선수보다도 오래된 선수입니다. 현역 저그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선수죠.



이렇게 보면, 현역 중에서 어느 정도 개인리그/프로리그에 고정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올드는 임요환(2000년도 초반), 박태민(2000년 10월~), 홍진호(2000년 12월~), 이윤열(2000년 12월~), 서지훈(2001년 3월~), 박정석(2001년 4월~), 강민(2001년 9월~) 정도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스타나라
08/04/30 19:43
수정 아이콘
최연성-이병민-전상욱
순서대로 프로리그 신인왕 출신 선수들이죠.
2002 에버 프로리그 신인왕이 최연성
2003 네오위즈 피망배 신인왕이 이병민
2004 SKY프로리그 신인왕이 전상욱일겁니다(세번째 프로리그는 기억이 가물가물하군요)
여튼, 위에 진리탐구자님의 데뷔시점이 개인리그 데뷔인지...어떤건지는 잘 모르겠군요.
마재윤선수의 개인리그 데뷔는 2004년 중반일겁니다.
vs 변길섭 in 루나

그리고, 박태민선수는 WCG의 모태가 된 WCGC대회의 우승자로...
대회는 2000년에 열렸고, 2001년 한빛배였던가...코크배였던가...임요환선수와 한 조였던 때가 있었죠. 그것이 온게임넷 개인리그 커리어의 시작이었습니다.
진리탐구자
08/04/30 20:05
수정 아이콘
스타나라님// ever프로리그는 2003년에 있었습니다. 포모스에 의하면, 최연성 선수의 프로리그 데뷔는 2003년 4월 5일 베르트랑 선수와 네오 비프로스트에서 경기를 가진 것입니다.

그리고 마재윤 선수는 데뷔 초부터 PC방 예선에 계속 참가했으나 떨어졌습니다. 개인리그 공식전 데뷔는 2004년 1월 2일의 변길섭 선수와 가진 경기가 맞습니다.
스타나라
08/04/30 20:29
수정 아이콘
아...그렇군요. 착각했었습니다.
그렇다면 2004 sky의 신인왕이 전상욱이 맞겠군요^^
어째 중간이 붕 뜬다했네요
허저비
08/04/30 20:35
수정 아이콘
전상욱선수는...스타 이전에 이미 커프던가? 그 리그에서 활동한 경력도 꽤 깁니다. 스타 경력과 관계없이 올드로 쳐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OnlyJustForYou
08/04/30 22:08
수정 아이콘
음음.. 올드라는게 정말 헷갈리네요.. 다른 스포츠처럼 나이기준으로 나누기도 뭐하고..
답변들 감사드려요 ^^;;
낭만토스
08/04/30 22:12
수정 아이콘
저도 진리탐구자님의 구분이 어느정도 공감합니다. 제가 느끼는 바도 저정도네요.
포셀라나
08/05/01 01:33
수정 아이콘
임선수는 99년말부터 이미 활동해왔고, 우승도 했고, 입상도 했었죠. 근데도 저는 임요환선수가 올드라는 생각은 즈~언~혀 안되네요.

그래봐야 고작 10년이니까.. 이판이 역사가 짧다곤 하지만, 고작 10년으로 올드는 좀 심하단 생각이...

하여튼 저는 스타에는 완전 신예와 보통신예만 있을뿐, 올드나 노장은 단1명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기욤페트리나 신주영선수가 아직까지 활동했다고 쳐도 올드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포셀라나
08/05/01 01:34
수정 아이콘
데뷔시기를 오로지 현재의 양대리그만을 기준으로 해버리면, 신주영선수나 김태형해설등은, 애초에 프로게이머로 활동한 적도 없게 되버린다는.....
08/05/01 13:41
수정 아이콘
포셀라나님// 어차피 올드라는 건 상대적인 개념인데 올드가 한 명도 없다니요. -_- 더구나 이 판의 싸이클이 워낙 빨라서 5년만 되어도 올드로 칠 수 있죠.

개인적으로는 전상욱 선수도 올드란 느낌은 확 와닿지 않더군요. 그냥 느낌상 2002년, 혹은 그 이전부터 활동해 왔으면 올드란 느낌이 듭니다. 여기에 맞춰서 생각해 보면 네임밸류 있는 선수 중 테란은 임요환, 이윤열, (+서지훈) 정도, 저그는 홍진호, 박태민, 조형근 정도, 플토는 박정석, 강민, 전태규 이 정도네요. 그 외 전상욱, 이병민, 박성준, 박지호 정도는 중견이라는 느낌.

뭐...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_=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6412 제가 영작한 거 어색한가요? [2] 파일널푸르투2143 08/05/01 2143
36411 일종의 퇴짜를 먹었는데.. [9] 오월2470 08/05/01 2470
36409 한자를 모르니 원........ [3] HL선샤인2075 08/04/30 2075
36408 게임 사양에 대해 질문을 올립니다 [2] 핸드레이크1897 08/04/30 1897
36407 웹페이지 동기화(?)하는 법? [2] gog1876 08/04/30 1876
36406 pgr분들의 의견을 구합니다.. [10] 죽은곰2145 08/04/30 2145
36405 비스타 디스크모음이요~ [1] 미라클신화1919 08/04/30 1919
36404 노트북을 구입하려 합니다. [5] 개미1750 08/04/30 1750
36403 모순과 아이러니..... [6] 남자라면외길2434 08/04/30 2434
36402 올드의 기준은 뭘까요.. [10] OnlyJustForYou1740 08/04/30 1740
36401 광우병이 정말 심각한가요?? [14] Kaga2281 08/04/30 2281
36396 파이썬에서 트리플하고 리버견제 하는 토스 어떻게 잡죠? [4] 공유2109 08/04/30 2109
36395 이별후에 오는것들...극복하기 [6] 바람과쓰러지2621 08/04/30 2621
36394 MFC를 이용해서 게임을 만들려고 하면 어떤절차가 필요한가요? [4] Haru2713 08/04/30 2713
36393 KBS 한국어능력 검정시험... [1] BuyLoanFeelBride1911 08/04/30 1911
36392 여친에게 미트1스핀 보여주기. [11] Dis-v2251 08/04/30 2251
36391 공군합격했는데 취소하고 육군으로 가려고합니다 [4] 오락가락2762 08/04/30 2762
36390 마우스 잘 아시는분들봐주세요 [1] andeaho11876 08/04/30 1876
36389 신촌에 있는 '피네'라는 카페에 대해서... [6] 삭제됨2637 08/04/30 2637
36388 모니터좀 골라주세요~(스샷) [8] ParasS1680 08/04/30 1680
36386 당연지정제, 의료보험 민영화에 관한 블로그 질문 드립니다. [2] 쩡~*1662 08/04/30 1662
36385 여성지갑 선물 질문입니다. [5] 구리더2100 08/04/30 2100
36383 기타반주하기에 쉬운 노래 좀 추천 해주세요 [5] 붉은낙타3486 08/04/30 348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