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4/08 02:02
컴퓨터에 엄청난 고수는 아니지만
저가형과 고가형을 나누는건 그래픽카드와 CPU입니다. 램이나 보드는 비싸도 크게 가격차이는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하지만 그래픽카드의 경우 가격차이가 굉장히 극심하며 CPU의 가격차이보다도 더 심합니다. 그래픽카드만 비싼걸 산다고 해결되는것도 아니고 파워도 고가형 케이스도 고가형으로 메인보드도 고가형으로 모두 갈아타야 합니다. 그리고 오버클록의 경우 제 생각으로는 숫자놀이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E2160이나 브리즈번 4200+ 같은 경우야 오버 수율이 워낙 좋기때문에 하면 성능차이도 꽤나 느끼지만 그래픽카드나 다른 CPU들 같은 경우는 파워유저가 아닌이상 크게 느끼지 못합니다. 컴퓨터는 자신의 활동에 맞게 구매하는게 최고입니다. 음악작업을 하신다고 하니 CPU와 RAM에 투자를 하시고 그래픽카드를 중가형으로 사시면 될듯합니다.
08/04/08 02:11
램,보드도 좋은거 사는게 좋습니다.
램도 어떤거냐에따라 오버클럭이 잘되고 안되고입니다. 보드에따라 오버클럭이 잘되는지 어떻게되는지 다 다릅니다. 콘로E4500 궂이 또 컴퓨터를 살 필요가 있나 생각해봅니다. 브가보다야 CPU 가격차이가 훨씬 심합니다. 새로나온 하이엔드제품은 보통 기본이 100만원이죠. 그에반에 저가형은 10만원 아래도 있구요.(E21xx) 오버클럭은 배워두면 언젠가는 씁니다. E2160을 지금쓰시는 E4500보다 성능좋게 오버할수있습니다.(때에 따라 안될수도 있지만) AMD는 오버클럭 안할때사는게 낫지요.
08/04/08 02:41
콘로 E4500은 부모님 컴이라서 제껄 따로 사려구요 ^^;
그리고 케이스...크기가 작은걸로 하면 문제가 될까요? 좀 자리를 덜 차지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있네요.
08/04/08 04:22
1. 가격대 성능비가 조금 애매하다는 평이 있지만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울프데일하고 쿼드코어, 보통 켄츠필드 q6600하고 비교하는데 보통 q6600을 추천하는 분위기같습니다. 2. 중저가형나 중가형 정도는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물론 고가형 사면 좋습니다. 3. 자신이 쓸 것만 오버하고 말면 설마 중독되기야 하겠습니까; 러브포보아님의 견적에서는 조금 수정할 게 있다고 생각합니다. 케이스는 내장그래픽 메인보드가 아니면 그냥 미들타워를 쓸 수밖에 없지요. 오버 고려해서 메인보드를 산다면 더더욱. 최근에 컴퓨터 맞추고도 이래저래 알아보고 있어서 얕은지식으로나마 써보았습니다.
08/04/08 06:50
컴은 자신의 용도에 맞춰서 구입하는게 가장 현명한 선택입니다.
사카는 어느정도 돈을 쓰지 않으면, 내장형과 큰 차이를 느끼기 힘듭니다. 매니아가 아니라고 생각하신다면 내장으로 버티는 것을 추천합니다. 시퓨는 현재 켄츠필드의 가격이 매우착합니다만, 그래도 저는 일반인들의 일반적인 용도라면, 클럭발높은 듀얼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울프데일의 현재 가격거품이 심하기 때문에 둘의 논쟁이 있는 것이고요. 저라면 팬티엄콘로 2000대 시리즈 사서, 오버좀 해서 쓰겠습니다. 2140, 2160 간단한 국민오버만으로 노오버 4500정도 성능은 우습게 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정도만 되도, 고사양게임이 아니라면 일상용도 사용에 저언혀 불편함을 느낄일을 없으실 겁니다.
08/04/08 09:07
저가형을 사시려면 다나와 표준PC를 추천합니다.
고사양 3D게임을 즐기는게 아니라면 비싼 PC를 쓸 이유가 없지요. 저는 영상편집도 하고 웹디자인도 합니다만, 30만원짜리면 충분하다 못해 넉넉할정도입니다. 2년전에 산 PC로도 아직 여유롭게 작업하니까요. 다만 변수가 있다면 스타 2네요.
08/04/08 13:32
사운드 작업을 많이 하신다면 내장형 사운드카드는 비추입니다.
레이턴시가 크고, 버퍼가 작은 편이기때문에 멀티트랙 작업을 많이 하는 경우 미묘한 병목이 생깁니다. 그래픽카드는 크게 상관은 없지만, 만약 영상편집과 병행하신다면 그래픽카드 메모리가 큰게 좀더 좋습니다. 일반적인 웹서핑, 사무용 프로그램만을 사용하시는데는 저가형이나 고가형이나 큰 차이를 느끼기 힘드니, 사운드 작업에 특화시켜서만 생각한다면 고려하셔야 할 부분은 메모리와 CPU 입니다. 사운드카드는 전문가가 아니시라면, EGOSYS의 중저가형 제품을 추천하는 바 입니다. 하드레코딩 등에도 좋고, 멀티트랙 입출력은 추후에 별도 작업이 필요할 경우에 상당히 도움이 됩니다. S/N비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구요. 문제는, 음장효과나 5.1 체널 출력 등은 거의 포기하셔야 합니다. 뭐, 편법으로 6체널 또는 8체널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조금 귀찮지요. 그렇지만, 누엔도나 큐베이스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ASIO 규격 지원은 매력적이고, 기가스튜디오를 사용하시게 되면 GSIF 지원이 얼마나 고마운지 아시게 될겁니다. 대략 15만원 정도의 외장형으로 사시는걸 추천해드립니다. 아, 물론 사운드 방면으로 전문가시라면 여태까지 제가 한 얘기는 전부 패스 -_- 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