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5/12/11 23:34
으음.... 첫문장에서 should가 없다고 할수 있으려면 과거 시제가 되어야겠지요.... 과거시제라면 말씀하신것 처럼 그녀가 여기있다고 주장했다 라고 해석 할 수도 있겠네요 근데 종속절에 be라고 나와있다면 여기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라는 해석이 맞겠죠
05/12/11 23:47
'당위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주장,명령,제안,요구의 동사 + S + should + R'의 꼴이 되고 should를 생략할 수 있지만, 당위적인 내용이 없는 경우에는 should를 넣지 않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05/12/11 23:51
윗분 의견이 맞는 듯 싶습니다.. 일단 insist가 강한 주장이 아닌 사실 진술의 의미로 쓰였다면 첫문장에서는 that절을 사이에 두고 시제일치가 되어야 하므로 be가 과거시제로 바뀌어야 할 것 같습니다.
밑의 문장의 경우에는.. should가 생략됬다기 보다는 insist의 의미가 첫문장과는 다른 사실 진술의 의미이므로 should를 쓰지 않고 시제일치를 시킨 것이구요..ㅎ
05/12/11 23:53
사실 저런 문제에서는 지문이 주어지고 과연 insist가 사실 진술의 의미로 쓰였냐 아님 주장의 의미로 쓰여서 should+R의 형태로 가느냐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난감하더군요.-_-;;
별다른 방법은 없다구 합니다.. 관련된 앞뒤 문장을 읽구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나요..ㅜ
05/12/11 23:55
위의 분들의 댓글을 종합적으로 정리해 드리면,
i) 주어진 문장의 문맥이 주어의 강한 주장을 나타낸다면 that절 이하에 should를 쓰고 생략할 수 있지만, ii) that이하의 절이 일반적인 진술을 나타낼 때는 should를 쓰지 않고 시제를 살려 쓰는것으로 이해하시면 되겠네요... ^^;;
05/12/12 12:25
어떤 동사가 that절을 취할 때, that절에 동사원형을 쓰거나(미국식)와 should+동사원형을 쓰는 경우(영국식)가 있습니다.
모든 동사가 그러한 것은 아니고 화자의 의도(주장, 제안.. 등등 말하는 사람의 주관적인 의지가 들어가 있는 경우)를 표현하는 동사가 그렇습니다. insist의 경우 첫 번째 문장은 그녀가 여기에 있기를 주장했다고 해석되지만, 이 말은 곧 그녀가 가지 않기를 바라는 화자의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반면 두 번째 문장은 ~을 주장했다고 해석은 되지만, 그 의미는 that절 이하의 사실을 확인하는 것에 그칩니다. that절에 대한 화자의 의도나 제안 등은 드러나지 않는거죠. 즉, 첫 번째의 insist와 두 번째의 insist는 (엄밀히 따져) 같은 단어이지만 다른 뜻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차이는 영영사전을 보면 간단하게 드러난답니다. 출처는 롱맨입니다. to demand that something should happen -> 첫 번째 insist가 이 의미겠죠? 이 의미로는 that절이 (should)+동사원형이 되어야 합니다. to say firmly and often that something is true, especially when other people think it may not be true -> 두 번째 문장의 insist는 이런 의미입니다. 이 의미로는 그냥 시제를 밝혀 써주면 되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