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1/06/27 18:24:21
Name 起秀
Subject 로스쿨 관련해서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2사단에서 군복무중인 起秀입니다.
휴가 나와서 무작정 놀기만 하다가 인생 설계좀 받아보려고 '믿을만한' pgr게시판에 글 남기게 되었습니다.

사실 군대를 늦추고 사법고시를 볼까도 생각했었지만, 생각없이 놀기만 하다가 사법고시 치기도 그렇고,
마음의 준비 기간이라는 것도 한번 가져보고자 군입대를 했었습니다.

그런데 문득 오늘 알던 선생님들이랑 얘기하는데, 2년 선배가 사시 합격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2년차가 작은 것은 아니지만, 그 형은 벌써 그렇게 됐는데, 나는 뭐하고 있나.. 하는 생각에 pgr분들에게
로스쿨 관련하여서 질문드리고자 합니다.

사족이 길었지만, 질문의 요지는 이렇습니다.
부대가 마냥 편하기만 한 부대는 아니여서, 공부할 여건이 많이 주어지지는 않습니다. 즉, 기존에 하던 것 처럼 3~4시간씩 죽치고
앉아서 공부하는 건 불가능하고 많아봐야 1~2시간이어서 좀 딱딱하고 오랫동안 이해하면서 무언가 하는게 힘듭니다.
물론 로스쿨 관련 공부가 딱딱하고, 또 오랫동안 곰처럼 공부하지 않으면 쉽지 않은 것은 익히 잘 알고 있으나, 직접적인 공부를
하려고 하기 보다는 그냥 이런 측면에서의 공부가 필요하다는, 그 '핵심'적인 것을 한번 남은 복무 기간동안 훑어보려고 합니다.
근데.. 1년 넘게 정보와는 통 먼 곳에 있었기 때문에.. 기본적인 서적이 뭔지조차 알지 못하여 부득이하게 질문 드리게 되었습니다.

pgr분들의 많은 답변 부탁드리며, 염치없는 질문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행복하시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뮤즈
11/06/27 18:29
수정 아이콘
로스쿨 입학시험인 LEET는 사시랑은 완전히 다른데요;; 기출부터 찾아보세요 LEET로 검색하시면 되요. [m]
원시제
11/06/27 18:42
수정 아이콘
1. LEET는 기출 해설은 큰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영역별 성적에 따라 필요한 준비법이 좀 다르기 때문이지요.
일단 기출을 풀어본 뒤, 그 점수를 가지고 향후 방향을 설정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2. 로스쿨 공부라기보다 법학 공부에 대한 적성이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그런데 그 법학 공부에 대한 적성이라는게 제 생각에는 민법책 한번 읽어보고 판단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엉덩이가 무거운 사람들이 유리한 공부이긴 합니다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고,
무엇보다 일단 오고 나면 분위기가 열심히 하지 않을 수 없는 분위기입니다.
즉, 적성보다는 어느 로스쿨에서 누구를 만나서 어떻게 공부하느냐가 굉장히 크게 작용한달까요;

때문에 책을 몇권 읽어서 본인의 적성을 파악하겠다는건 좀 무리한 생각이라고 사료됩니다.
김뮤즈
11/06/27 18:48
수정 아이콘
리트는 기출이 가장 중요하지만 기출해설집은 그렇게 많이 도움은 안되실거에요. 적성시험 특성상 문제푸는 방식을 몸에 체화시켜야 하는지라...
제 주변 로스쿨준비생들은 기출풀고 강의듣고 모강풀고 무한반복하더라구요. 행시1차시험인 PSAT랑 유사해서 그쪽 문제도 많이 본다고 합니다.
미국로스쿨입학시험 LSAT 해설집인 논리추론 바이블이랑 논리게임 바이블 보시면 대충 어떤류의 시험인지 감잡는데 도움되실거에요. [m]
그렁그렁
11/06/27 19:11
수정 아이콘
장문의 글을 썼는데, 글쓰기를 누르는 순간 사용권한이 없다고 나오네요... 무척이나 슬픕니다.
간단하게 쓰겠습니다.

로스쿨의 전형요소는 각 학교마다 다르지만, 크게 LEET / 어학 / 학점 / 면접 / 논술 / 기타... 이렇게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우선 졸업전이시면 학점을 최대한 끌어올리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학점은 다른 요소와 다르게 학부 졸업 후에는 손쓸수 없는 요소이고, 높은 학점은 꼭 로스쿨입시가 아니더라도 많은 도움이 되니까요.

2. 어학은 토익, 텝스, 토플 등의 공인인증시험 점수를 취득하시면 되겠습니다. 주로 토익 준비하시는 분이 많던데, 토익을 반영하지 않는 학교도 있고, 반영 방법에도 차이가 있으니 지망학교를 정해서 그 학교의 전형방법을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3. LEET시험은 공부한다고 점수가 많이 오르는 시험은 아닌 것 같습니다. 우선 예비시험을 포함한 기출 4회분을 시간에 맞추어 풀어보기를 권해드립니다. 많은 분들이 공부 안한 상태에서 처음 푼 점수가 자기 점수라는 말을 하십니다. 저도 비슷하게 나오더군요... LEET는 공부를 한다기보단 연습을 한다는 마음으로 준비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국어맞춤법같이 공부를 하면 점수가 오르는 부분도 있긴 합니다.

4. 봉사활동은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당락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자격증도 변리사, 세무사 같은 고급 자격증이 아니라면 크게 영향이 없을 것입니다.


현재 군대에서 로스쿨입시 준비에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다면, 우선 LEET기출을 풀어보시고, 공인영어인증시험 점수취득에 힘쓰시길 권해드립니다. 여유가 되면 논술 및 면접도 준비하시고요.

하지만 법조인의 길이 더이상 부와 명예를 보장하는 길이 아닌만큼, 로스쿨 입시로 인한 기회비용을 고려해서 앞으로의 진로에 대한 많은 고민을 한 후에 결정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좋은 결과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11/06/27 22:20
수정 아이콘
읅... 로스쿨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변호사가 그렇게 좋은 직업이 아니란 것은 꼭꼬꼮꼬꼬꼬고고고꼬꼮꼭 알아두세요.
변호사는 일이 많아도 적어도 자기 삶이 없어지는 피폐한 직업이랍니다. 저는 이 직업을 견뎌낼 수 있는 특정한 인종이 따로 있다고 생각해요.
예전에는 그 모든 것을 돈 많이 버는 것 하나로 상쇄할 수 있었지만 요즘은 결코 그렇지 않다는 것도 알아두시고요.
편향된 시각일수도 있지만 앞으로의 변호사는 과연 이걸 전문직이라고 부를 수나 있을까 싶어요 저는...
절대 안정적이지 않고, 절대 마음 편한 직업 아닙니다. 다른 선택지가 있다면 전 말리고 싶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8233 통화내용자동저장 어플도 있나요? [4] EZrock2281 11/06/27 2281
108232 싼 정장대여점 아시는 분 계신가요? [1] Jungdol2062 11/06/27 2062
108231 시계줄 조절위해 수리중 파손 관련 질문입니다. [4] 요비4655 11/06/27 4655
108230 위너스 리그를 제외했을때 공군순위를 알 수 있을까요? [5] 정제된분노2286 11/06/27 2286
108229 공인중개사 지금부터가능할까요? [4] 완성형토스1618 11/06/27 1618
108228 내일 잠실 직관을 가려고합니다.. [2] 유승연2642 11/06/27 2642
108227 호주 콘센트를 한국 콘센트로 바꾸어주는 콘센트를 어디서 살수 있을까요 [1] SarAng_nAmoO3298 11/06/27 3298
108225 쌈자신의 노래실력은 상당히 수준급인가요? [7] 에휴존슨이무슨죄2756 11/06/27 2756
108222 4명정도 유즈맵 추천바랍니다.(스1) [2] StarT1931 11/06/27 1931
108221 YF쏘나타와 K5 어떤게 좋을까요? [5] 연아동생2373 11/06/27 2373
108220 대장내시경 검사하기 전에 복용하는 약이 너무 고역입니다. [5] 쁘까쁘2672 11/06/27 2672
108219 데스크탑 pc 견적 질문입니다. [6] 루모스1853 11/06/27 1853
108218 휴대폰 기기 변경에 관해서 질문 [2] PaperClip1893 11/06/27 1893
108217 학점 질문입니다. [8] Jz)tOsS2232 11/06/27 2232
108216 아이폰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박서날다1676 11/06/27 1676
108214 스마트폰 버그현상 질문입니다 Nowitzki1747 11/06/27 1747
108212 맥북 질문입니다. [5] RealWorlD2197 11/06/27 2197
108211 타국인들은 한국인의 어떤 면에 특히 두려움을 가질까요? [20] 사파이어2554 11/06/27 2554
108210 드래곤라자가 정말 재밌나요? [35] 개떵이다3534 11/06/27 3534
108209 스피커 구입시 선정기준은 무엇으로 잡는 것인지요...? [3] nexon2210 11/06/27 2210
108208 이의신청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2] worcs2181 11/06/27 2181
108207 마닐라 여행 질문합니다(호텔 픽업관련) [2] 세뚜아1682 11/06/27 1682
108206 로스쿨 관련해서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7] 起秀2299 11/06/27 229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