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5/23 13:51
조립비는 그 자체만으로는 3만원을 넘지 않을거고요, 출장, 소프트웨어(정품일지 의문...), AS등등 패키지로 묶어서 10만 부르는 거 같네요
시간만 좀 되시면 근처 컴퓨터 업체 아무데나 가지고 가시면 가볍게 해드릴거에요 아니면 구매처에서 조립해 보내주는 경우가 편하긴 한데 이미 받으셨나 보네요
16/05/23 13:55
소프트웨어는 정품입니다. 패키지로 10만 부른거 같긴 해요.-.- 그래도 한 5만원 생각해서 총 60잡았는데 ...
아는 분이라 A/S는 확실한데 그래도 혹시나 시장가격이 얼마인가 하고 궁금해서요.
16/05/23 14:08
소프트웨어 금액 자체가 OS 엑셀 한글 v3를 합쳐 10만원에 나올수가 없습니다 (......)
가능하시면 그 업체 저 소개좀 부탁드릴께요... 개인구매건으로 진행하시는거면 조립으로 2만원 기타 세팅이 3만원은 받아야 그나마 타산이 맞습니다 거기다 금액을 컴퓨존(이겠죠 아마..) 금액으로 지르시는거면 업체따라서 손해를 혹은 이득을 볼수도 있는데 소규모 거래하는 영세업자면 부품값만 저만큼 맞추고는 정말 빡빡하다 못해 목막힙니다. 크크크... ㅠㅠ
16/05/23 14:20
정품키 사용하시고 계시다면 OS 제외하고는 직접 하셔도 되니까 사실상 OS세팅비를 기준으로 봐야 할텐데 그렇다고 하면 3만원정도가 일반적인 개념에서의 정리선입니다.
제가 보통 개별적으로 간간히 거래처분들꺼 처리할때 처리기준이.. 그냥 전 계산서도 못해드리니 적당한 업체(귀찮으니 컴x존)에서 구매 및 조립하시라고 가이드 드리고 이외의 것들만 정리하는거로 3만원정도 받습니다. 그래봐야 가고오는 교통비에 셋업하는 시간 고려하면 사실 많이... 그렇다고 적은건 아닌 정도가 되더군요.
16/05/23 14:10
다나와이신것같은데, 굳이 출장오셔서 받으실 필요가있나요? 어차피 택배로 받으실것같은데 구입할때 조립해서 보내주는걸로하면 3~5만원(?) 사이였던걸로 기억합니다. 10만원은 너무 가격이 쎈것같습니다.
여담이지만, 저같은 경우는 동영상보고 부품위치보면서 따라해서 스스로 조립했는데 할만하더군요.
16/05/23 14:15
댓글에 소프트웨어 가격 이야기가 안나와서 이게 그냥 알음알음 불법으로 가다보니 너무나 당연히들 생각하시는거 같아서 이야기 드려보면..
Windows 10 Home 기준으로 13만원정도 나옵니다. Office 2013, 6 Home&Buisness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아웃룩)이 23만원~26만원 정도 됩니다. V3 정품 쓰면 1년에 3.5만원정도, Lite사용시 무료입니다. 한글도 버전따라 다르지만 싼편은 아닙니다. 그냥 알음알음 하고 지나가서 당연한것처럼 여겨질뿐 소프트웨어 가격이 싸지 않고 지불해야 할 댓가가 맞긴 합니다..
16/05/23 14:19
좋은 정보감사합니다.^^
사실 불법? 같은 것이 암묵적이네요. 기업류는 빡빡한데 개인은 확인할길이 없어 그런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시는 말씀은 충분히 공감합니다.
16/05/23 14:22
조립비는 보통 2~3만원 정도 하고, 소프트웨어는 직장 내에서 전문으로 하는 업체면 아마 다량으로 정품 KEY를 보유 하고있어서
업체에서 별도의 비용은 들지 않을 겁니다. 1년 무상 A/S야 기본적으로 제품 보증기간에 대부분 PC 제품은 무상 A/S기 때문에, 그냥 대행 A/S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구요. 뭐 소프트웨어 설치 및 대여값 2만원 정도라고 생각하고 5만원을 출장비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근데 이렇게 생각해 보니까 비싸네요...... OS 설치만 할 줄 아시면 그냥 주문 업체에서 조립 2~3만원 주고 조립옵션 포함해서 주문하시고, 나중에 고장났을때 회사 내 업체를 통해 A/S를 맡기시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16/05/23 14:38
물론 작업자 입장에서야, 교통비에 시간드는거에 여러가지 생각해보면 출장비 5만원은 합리적인 가격입니다. 이건 그렇게 비싼게 아니에요.
근데 와서 해주는 작업을 생각해 보면, 굳이 그분을 불러서 할 필요가 없는 작업이라고 생각 됩니다. 완조립으로 온다면 30분도 걸리지 않는 작업이라 그냥 본인이 하시는게 돈을 아낄 수 있을거에요
16/05/23 15:09
상황설명을 하자면,,,,
제 아내가 있는 집에 제가 갈 수 없는 상황? 비슷한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멀리 떨어진 관계로. '물건은 아내집에 가 있는 그런.....
16/05/23 14:23
보통 조립 + 1년 A/S 이렇게가 4만원 정도 하네요
출장 이야기 하시는거 보면 와서 조립한다는 것 같은데 그냥 그곳에서 조립해서 택배로 받으시면 안되는건가요? 프로그램 설치하는게 귀찮으셔서 그러신거라면 그게 6만원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시면 상관없겠으나..
16/05/23 18:54
보통 조립 + a/s가 3~4만원정도 하는데, 나머지는 다 출장비라고 봐야겠네요.
출장이 불가피하면 그렇게 불합리하진 않네요. 출장비가 비싸서 문제죠
16/05/23 20:29
요즘 뭐든지 서비스업은 출장비 5만원은 기본 깔고 가더군요. 사람 부르면 비쌉니다.ㅜ 저번에 보일러가 좀 이상해서 기사님께 전화드려서 부품하나갈았는데 부품비는 3~4천원짜리였거든요. 무슨 점화플러근가 그런데 7만원드렸습니다. 5분안되서 고치고 가시더군요ㅜ 공임비가 비싸요.
16/05/23 23:38
게임안하시먄 씨피유도 저걸 달 이유가 없구요.. 하드 256이면 hdd 하나 데이터용으로 달아주세요. 금방 찹니다.
램은 8꼽으시면 될꺼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