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5/23 02:03:00
Name 탑돌이녀
Subject [질문] 논문많이 써보신 고수 계신가요?
다름이 아니라 논문쓰고싶은게 하나 있어서요. 제가 초보라 질문좀 드려봅니다.

1. 논문과 회사 보고서와 다른점은 무엇인가요?
2. 논문은 책을 여러권 읽고 그것만 바탕으로도 쓸 수 있을까요?(실질적 조사없이)
3. 경제에 관련된 주제를 쓰고싶은데 경제와 관련된 논문은 보통 어떤식으로 흘러가나요?

제가 잘 몰라서 조언좀 구해봅니다.. (꾸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승남
16/05/23 02:34
수정 아이콘
고수는 아니지만, 경험자로서 답변해드리자면:

1. 가장 큰 차이는 논증의 깊이. 결론도 중요하지만, 과정도 중요. 문투의 차이 등 차이가 너무 많습니다.
2. 실질적 조사나 분석 없이 문헌연구만으로 쓰는 논문도 있습니다. 보통 Review paper라고 합니다. 그런데 사실 기존 문헌을 잘 이해해야하기 때문에 조사자료나 분석에 대한 이해도 상당해야하며, 무엇보다 글을 잘 써야 합니다(글로는 논지를 전개해야 하므로). 그리고 리뷰 페이퍼는 보통 해당 분야에서 충분한 연구성과를 보인 학자들이 많이 시도합니다. 당연히 그런 사람들의 논문이 더 잘 accept 가 되고요.
3. 너무 너무 너무 포괄적인 질문이라서 대답하기 어렵지만. 보통 서론, 이론적 논의, 수식 전개, 실증 모형 세팅, 실증 분석, 해석, 결론, 시사점 등의 과정을 거칩니다. (물론 전 경제학 전공은 아닙니다)
꼭두서니색
16/05/23 02:52
수정 아이콘
분야마다 천차만별이고, 제 전공은 컴공쪽이라는걸 미리 말씀드립니다.
1. 보고서는 분석에 초점을 맞춘다면, 논문은 분석에 초점을 맞출수도 있고 something new에 초점을 맞출 수도 있는 등 스펙트럼이 다양합니다.
2. 쓰려면 쓸수야 있겠으나 accept은 힘들어 보입니다.
3. 경제전공이 아니어서 패스..
한가지 첨언하면, 논문은 박사학위 소지자가 반드시 저자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Philologist
16/05/23 03:30
수정 아이콘
공대 쪽은 어떤지 모르겠습니다만, 인문계열은 논문 저자 중 한 명이 박사학위 소지자여야 한다는 제한은 없습니다.
16/05/23 04:12
수정 아이콘
학회마다 다르겠지만, 적어도 제가 본 CS 학회에서도 논문 제출에 박사 학위 소지자가 필요하다는 제약은 못 봤습니다. 물론 박사 이상 급의 지도/리뷰 없이도 제대로 된 논문을 써낸다는건 보통 극히 드믄 천재이므로 거의 보기 힘든 일이긴 합니다. (그 보기 드믄 케이스 중 하나 : http://ilpubs.stanford.edu:8090/361/1/1998-8.pdf )
방민아
16/05/23 11:15
수정 아이콘
으잌 크크크
Philologist
16/05/23 03:38
수정 아이콘
전 분야가 경제 쪽은 아니지만 중요한 사항 하나를 말씀드리자면, 논문을 쓰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literature 내에서 쓰느냐입니다. 충분한 literature review를 통해서 내가 하려는 분야에 대해 어떤 연구가 이루어져 왔는지, 그 흐름 속에서 내가 이 연구를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이 연구의 결과가 가져오는 함의는 무엇인지... 등이 중요합니다. 어떤 연구 방법을 택하는지는 이러한 선행 연구의 흐름 속에서 진행되어야 합니다.

학계 바깥에 있는 분이 주류 학계로 뛰어들기가 쉽지 않은 이유 중 하나가 literature review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수천 수만의 논문 중에서 의미 있는 논문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하고, 해당 주제와 관련되어 현재 어떤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그 분야를 이끌어가는 사람과 젊은 학자들 중에서 그를 따라가는 사람들, 그리고 그 이론의 바깥에서는 어떤 다른 이론이 해당 이론을 비판하고 있는지, 또 어떤 쟁점이 있는지... 시간이 너무 걸리는 작업들입니다.
16/05/23 04:28
수정 아이콘
좋은 논문을 쓰기 어려운 건 해당 학문에 명백한 기여를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그게 크건 작건 인류가 가지고 있는 가치 있는 지식의 총량을 늘려야 한다는거죠. 이걸 하려면 당연히 해당 분야에 대해 현 인류가 얼마나 알고 있느냐에 대해 대강의 그림 정도는 파악하고 있어야 하고 또 그 위에 엄밀한 방법론으로 새로운 지식을 쌓아 올려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보통 5~10년에 걸쳐 지난한 박사 과정을 밟습니다...
회색사과
16/05/23 07:28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는....

Something new: 기존에 없던 무엇인가를 내놔야하며
So what: 그게 어떤 가치를 갖는지, 왜 필요한지를
Logically: 누가 읽어도 타당하도록 써내야 합니다.

위에 나왔던 review paper 는 ... 해당 분야 전체의 연구 흐름과 기술을 모두 논리적으로 분류 정리 해야하는 거라... 그 분야에 대해 어지간히 통달하지 않고는 쓰기 힘들구요...
상자하나
16/05/23 10:40
수정 아이콘
1. 논문과 회사 보고서와 다른점은 무엇인가요?

논문은 써봤는데 회사 보고서를 안써봐서 대답을 못드리겠네요.

2. 논문은 책을 여러권 읽고 그것만 바탕으로도 쓸 수 있을까요?(실질적 조사없이)

네. 조합을 잘해서 그것이 유의미한 결과를 낸다면 가능성은 있습니다. 하지만 좋은 저널은 조금 힘드실 수 있습니다.

3. 경제에 관련된 주제를 쓰고싶은데 경제와 관련된 논문은 보통 어떤식으로 흘러가나요?

제가 경제학이랑 연결되지는 않았지만, 제 짧은 지식으로는 경제학 페이퍼는 데이터분석을 통해서 자신의 주장을 서포트 해줘야 할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3464 [질문] 26만원으로 중고제품 사서 컴퓨터 조립하면 어디까지 가능할까요? [1] lenakim2328 16/05/23 2328
83463 [질문] [스마트폰] 구매하려고 합니다 질문 있습니다. [7] 불통왕1291 16/05/23 1291
83462 [질문] [오버워치] 지금 사양으로 풀옵 가능할까요? [2] 마롱1877 16/05/23 1877
83461 [질문] [오버워치] 할때 어떤 그래픽 카드가 좋을까요? [4] RaysBlue2086 16/05/23 2086
83460 [질문] 아프리카tv 다시보기 녹화하는 방법 있을까요? [6] 9072 16/05/23 9072
83459 [질문] 컴활 2급 어떻게 따나요? [5] 송주희2198 16/05/23 2198
83458 [질문] 동원 예비군 관련 질문입니다(신형전투복 모자 착용 등) [5] 223555 16/05/23 3555
83456 [질문] 논문많이 써보신 고수 계신가요? [9] 탑돌이녀2974 16/05/23 2974
83455 [질문] 접이식 막대기 [3] 춘춘1845 16/05/23 1845
83454 [질문] [오버워치] pgr 이름으로 클랜 만들어진게 있나요? [1] chamchI2017 16/05/23 2017
83453 [질문] 호신용품 추천부탁드립니다. [5] 삭제됨1840 16/05/22 1840
83452 [질문] 상암 경기장 직관 질문입니다. [2] 삭제됨1290 16/05/22 1290
83451 [질문] [연애] 실패한 것 같긴한데 어떻게 할까요? [13] 고스트3014 16/05/22 3014
83450 [질문] RIP의 어원이 궁금합니다 [12] Anthony Martial3343 16/05/22 3343
83449 [질문] 대학원을 계속다녀야하나 자퇴해야하나 고민입니다. [8] 삭제됨5852 16/05/22 5852
83448 [질문] 컴퓨터에 ssd/하드/램 꼽을 공간있나요? [5] 신입사원2082 16/05/22 2082
83446 [질문] 청자켓 세탁 [2] 임시야간숙소2464 16/05/22 2464
83445 [질문] 팝송 가사해석 좀 부탁드립니다. [4] 이직신1790 16/05/22 1790
83444 [질문] 연말정산? 의료비 관련한 질문입니다. [6] 챔쁜이1950 16/05/22 1950
83443 [질문] 영화에서 감독=연출 인가요? [1] 새로미2099 16/05/22 2099
83442 [질문]  서예종 무용학과는 어느정도 레벨인가요? [3] 삭제됨2833 16/05/22 2833
83441 [질문] 요즘 네이버쪽 동영상이 왜 이렇게 많이 올라오죠? [13] 딱좋은나인데2840 16/05/22 2840
83440 [질문] [LOL] 스웨인 특성 뭐가 가장 효율적인가요? [5] Aristo2826 16/05/22 28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