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5/08 22:00
질문하신건 인터넷보다 자주가는 은행의 직원분을 붙잡고 문의하시는게 정확합니다. 왜냐하면 은행에 따라, 그리고 질문자님의 조건에 따라
세부적인 조건들은 많이 변하거든요. 다만 대강의 큰틀에서 답변을 드리자면, 질문자님이 특별한 조건에 해당될때 더 우대되는 조건으로 대출 받으실 수 있고요(신혼부부, 중서민층 '디딤돌' 지원자격 등등) 대출받으실 전세 집가격의 50~70%정도?, 연수입 기준으로 몇 배? 정도 등의 조건 중 최저 조건으로 정해지게 됩니다. 따라서 은행 상담& 집주인 상담 및 계약을 동시에 콤보로 진행해야 깔끔하고 확실합니다. 재계약시 대출금액을 다 갚지 못하면 해당금액을 질문자님께 드리는게 아니라, 은행으로 송금하는 식인걸로 알고있습니다. 재계약하는 집을 따라다니는 대출상품도 있는데, 이건 집크기나 융자금이 설정되지 않은 매물등의 조건들을 고려해야해서 결국 은행상담이 제일 확실합니다!~
16/05/08 22:16
아 그렇군요... 근데 수입기준도 있겠지만,연금도 혹시 수입에 포함시킬수있나요???
일단 가장큰건 은행에 한번 가보긴 해야겠네요...
16/05/08 22:01
제가 2년전에 직장인전세자금대출을 받았어요.
저도 이제 만기가 다되어서 은행가서 물어보니까. 계속 살꺼면 연장 신청을 하면되고 이사를 할꺼면 해당 집으로 다시 전세자금 신청을 해야 한다고 하였어요. 전 이자율 3.3%입니다.
16/05/08 22:51
1. 최고 전세보증금의 80퍼센트까지 가능하지만 연봉이 크지 않은 경우 연봉 수준에 따라 가고 기준은 전년도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의 세전 총소득입니다. 만기일시상환일 때와 원금균등분항 상환시 대출 가능한 총액이 다를 수 있습니다.
2. 이사를 가게 되면 새로운 전세 자금 대출을 실행해야하며 보통 기존의 대출을 상계하여 지급하게 됩니다. 3. 버팀목 대출의 경우 금리가 최고 3.1퍼센트, 최저 2.7퍼센트부터 시작하지만 우대 조건에 따라 더 낮아지기도 합니다. 전 지금 3.1퍼센트 버팀목 대출에서 은행 기금 대출로 갈아타려고 준비중인데 우대 금리 적용시 2.63퍼센트 쯤 된다고 합니다. 급여를 받는 주거래 은행 대출 창구에 가서 문의 한번 해보세요. 불친절한데는 잘 안알려주긴 하는데 친절한데 가니까 하나하나 다 따져서 우대 금리 조건을 봐주시더군요. 4. 일반적으로 전세자금대출은 2년 대출을 기본으로하고 전세 연장시 대출금의 10퍼센트 정도를 갚으면2년씩 연장해서 보통 최고 10년 정도로 실행됩니다. 만기 일시 상환으로 잡으면 이자만 내고 지내시다가 원하시는 만큼 원금을 갚으시면 자금 운용에 유리하실겁니다. 중도상환수수료가 없는 상품으로 한번 알아보세요.
16/05/09 10:06
저희는 버팀목자금전세대출 상담받았는데요
신혼부부는 0.2%금리 우대가 되어서 2.9%이율까지 알아봤습니다. 버팀목의 경우 보통 전세금의 70%까지 지방8천, 수도권1억까지 가능하다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