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5/08 20:57:05
Name ohmylove
Subject [질문] 수비수는 아무리 잘해도 펠마메 취급 못 받나요?
가만 보면 수비수는 아무리 잘해도 골을 잘 못 넣기 때문에 펠마메 급으로 잘하는 선수가 설령 나온다 해도 그 수준까지는 평가받지 못할 것 같더군요. 제 생각이 맞나요?

또 실제로 수비수보다 미드필더나 공격수가 더 대접을 많이 받는 경향이 있나요?

잘하는 선수는 수비수쪽으로 잘 안 가려 하나요?

답변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릴리스
16/05/08 21:01
수정 아이콘
역대 최고의 수비수인 베켄바우어는 펠마메급 바로 밑의 급 취급받습니다. 하기 나름이라고 봅니다.
ohmylove
16/05/08 21:01
수정 아이콘
이름은 들어봤는데 베켄바우어가 수비수였군요.
오바마
16/05/08 21:03
수정 아이콘
사실입니다 잘하는 선수는 주로 공격수쪽을 뜁니다.
수비수중 원탑으로 칭송받는 프란츠 베켄바우어가 현역 메날두 제외하고, 펠마-크루이프,스테파노 쯔음 사이에서 평가받으니
베켄바우어보다 대단한 성적을 거두면 펠마이상의 평가를 받을수 있을겁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수비수라서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우므로

가장 적절한건, 어떤 공격수가 펠마메를 능가하는 엄청난 업적을 세우고 승승장구하는데, 그 선수를 내가 만날때마다 이겨버리고 우승기록좀 쌓아주면
펠마메 이상가는 수비수로 인정받을수 있습니다. 크루이프와 베켄바우어가 그러한 관계로 쌓여있기 때문에 베켄바우어의 티어가 산출 가능합니다.
ohmylove
16/05/08 21:05
수정 아이콘
상대적인 스탯으로 평가받는군요.
오바마
16/05/08 21:06
수정 아이콘
그렇습니다. 아무래도 공격수와 수비수의 직접적인 위상비교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고 볼수 있습니다.

내가 이긴 공격수가 이정도 급이야 하는 방식이 가장 논리적 이라고 보여집니다
불량사용자
16/05/08 21:03
수정 아이콘
같은 능력이라면 아무래도 골을 넣는 공격수가 더 몸값이 비싸긴 하죠.
팀을 이기게 하고, 1차스탯에서 압도적인 이득을 보게되니까요.
동네형
16/05/08 21:04
수정 아이콘
사실 펠마메 라는게 우리나라에서 밖에선 우리나라만큼 유별나게 줄세우기 하지 않는걸로 알아요.

때문에 우리나라서는 안될꺼 같고
외국서는 모르겠네요
김성수
16/05/08 21:05
수정 아이콘
축구 모르는 놈이라 펠마급으로 잘하는 선수가 나와도 동급 취급 못 받는지는 감이 안 오지만..
엄청? 잘하면 그 이상으로도 취급 받긴 하겠죠. 크크 예를 들어 그 선수가 나오면 다 수비해서 골이 절대 안 나오는 거죠. 펠마 합쳐도 비교 불가하지 않겠습니까 흐흐 (아직 제대로된 세계 단위 프로 스포츠, 같은 선상에서 프로 축구 역사가 그리 길지 않은지라.. 딱 오백년만 뒤에 보더라도 펠마급은 넘어설 사람이 나올 것 같아요.)
오스카
16/05/08 21:06
수정 아이콘
어릴 때 그 정도 재능을 보이면 보통 공격수 쪽으로 키우기 때문에..
Galvatron
16/05/08 21:10
수정 아이콘
학교에서 반끼리 축구경기할때 잘하는 친구들이 공격수보고 그냥 이런저런 친구들이 수비수 보는것과 마찬가지로
축구선수 육성과정에서도 결국은 재능이 있는 어린 선수들이 공격수를 하게 되죠. 공격수가 더 어려우니까요.
그중에서 특출한 선수는 프로로도 공격수가 되는거고,
공격수로 키우다가 성공하지못한 선수가 수비수로 보직변경하는 경우도 심심찮구요.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탑급 공격수들가운데 많은 선수들은 수비수를 시켰어도 탑급이였을겁니다.
날두나 메시가 사이드백을 해도 잘할거고,
즐라탄이나 레반돕스키같은 선수가 선터백을 하면 월클이 틀림없죠.
오바마
16/05/08 21:11
수정 아이콘
차두리 생각나네요
윤하바다초아이유
16/05/08 21:16
수정 아이콘
수비수는 아무리 잘해도 경기를 이기게 해줄수는 없다는 점이 제일 크겠죠.
공격수는 원더골, 인생골 뽑아낸다지만 수비수가 인생경기를 해도 우리팀 공격수들이 삽을 푸기 시작하면 스코어는 0:0....
물론 세트 플레이에서 골을 넣을 수도 있고, 말디니처럼 측면의 지배자가 되어서 공격 포인트를 넣어서 이기게 만들수도 있겠지만....
아무래도 좀 힘들겠죠.
오바마
16/05/08 21:20
수정 아이콘
제가 예전부터 친구들과 술마실때마다 주장하는 "수비수의 제 1덕목은 80m 정밀 슈팅이 가능한가이다" 가 드디어 빛을 발하는 시대가 올거 같군요
수비 그까짓거 아무리 잘해봤자 어차피 들어가나 안들어나가 반반인거... 대충 수비하면서 상세한건 골키퍼보고 알아서 막으라 하고, 차라리 커리처럼 필드 전역에서 언제든지 골/어시를 노릴수 있게 80m 슈팅 가능한 수비수를 뽑자 하고 주장하다가 기각당하곤 하는데

언젠간 옵니다 80m 슈팅이 제1 덕목이 되는 시대! 경기를 이기게 해주는 수비(수 위치에 서있는 공격)수!

물론 이론의 근거는 프리스타일 풋볼 평점 8.5를 자랑하던 제 캐릭입니다 아주 검증받은 근거라고 생각합니다.
윤하바다초아이유
16/05/08 21:27
수정 아이콘
혹시 51구역에서 개발한다는게 혹시......?!
오바마
16/05/08 21:29
수정 아이콘
쉿! 극비사항입니다.
윤하바다초아이유
16/05/08 21:40
수정 아이콘
FBI Warning.
평행선
16/05/08 21:23
수정 아이콘
이적료 차이가 말해주듯이 세간의 평가는 아무래도 탑클래스 공격수 > 탑클래스 수비수니까요.
안녕사랑아
16/05/08 21:33
수정 아이콘
베켄바워급 수비수가 등장해서 경기 내적으로는 S급 수비와 경기조율능력을 보여주고
에이스로 월드컵 2회+ 우승, 유로 1회+ 우승, 챔스 3회+ 우승 정도 하면서
발롱도르를 3회 이상 수상한다면 펠마메 반열에 오를 수 있을 것 같네요
클레어
16/05/08 21:50
수정 아이콘
수비수가 펠마메 위에 위치하는게 불가능한건 아니지만 그때는 이미 더욱 괴물같은 공격수가 활약하고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비슷한 축구실력이라 하더라도 결국 사람들이 환호하는건 수비보다는 공격이죠.
16/05/08 21:52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수비수보다는 공격수가 눈에 보이는 스탯이 뚜렷하니까 어쩔수가 없죠..
릴리스
16/05/08 22:07
수정 아이콘
월드컵 3회우승 + 챔스 5회 우승 + 호날두와 메시 급의 선수가 있는 팀을 본인의 능력을 발휘해 매번 압살
수비력만 좋은게 아니라 공수조율과 패스와 시야 모든 면에서 압도적이라면 펠레, 메시도 뛰어넘지 않을까 싶네요.
물론 그런 엄청난 선수가 수비수 출신이라도 공격수시키려고 하겠지만요.
손금불산입
16/05/08 23:00
수정 아이콘
미드필더가 잘하면 잘할수록 포지션이 점점 올라가죠. 늙거나 기량이 내려갈수록 위치가 내려오고. 다 잘하면 공격수를 시키니까요 일반적으론.
카바라스
16/05/08 23:08
수정 아이콘
왜 공격수가 이적료가 보통 더 높고 미드필더 수비수 골키퍼 순으로 낮은지 생각해보면되죠.. 이적료에 스타성이 포함되기도하는데 역설적으로 스타성이 높을수록 후대에 더 높은 평가를 받습니다.
캡틴아메리카
16/05/08 23:22
수정 아이콘
축구 뿐만이 아니죠.

배구에서도 김세진, 신진식을 기억하지 그보다 더 대단한 선수인 여오현을 기억하진 않죠.
무무무무무무
16/05/09 05:50
수정 아이콘
농구 역시 KBL 역대 최고 수비수인 양희종이 6억 받는 걸 납득하는 사람은 얼마 없으니....
16/05/08 23:32
수정 아이콘
수비수가 세계 최고의 플레이어로 꼽히려면 단순히 수비 뿐만 아니라 공격력도 갖춰야 할겁니다.
그런데 공격수는 수비력을 안 갖추거나 수비력이 있어도 거기에 쓸 체력을 다 공격에만 때려박아도 되죠.

수비수가 세계 최고의 선수가 된다면 그 선수는 어디에 있었어도 세계 최고의 선수가 되었을거라 생각합니다.
16/05/09 00:36
수정 아이콘
수비수가 월클이 되려면
철벽수비는 기본이고
제공권도 뛰어나서 세트피스시에 강력한 옵션이 되어야 하고
패싱력도 수준급이여야 하면서
강력한 카리스마를 갖춘 리더여야 할 겁니다.

그렇게 팀을 이끌면서 트레블을 한두번 해주면!!!
팀의 9번이나 7번이 레전드 소리를 듣겠죠 ㅠㅠ
스프레차투라
16/05/09 06:16
수정 아이콘
세계축구 역사를 통틀어 브라질-독일-이탈리아가 3대장이라 보는데,
독일의 경우 어느 랭킹을 봐도 올타임 넘버원은 항상 베켄바워죠.
(게르트 뮐러, 루메니게같은 괴물 공격수나 마테우스, 브라이트너 등의 천재 미드필더들보다 높이 쳐주는)
이탈리아는 쥐세페 메아차와 경합이긴 하나 시레아, 말디니, 바레시같은 위대한 수비수들이
항상 올타임 베스트를 다투고요. 정점에 있는 선수들은 어느 포지션이건 대접받는다 봅니다.

그리고 펠마메는 공격수 어드벤티지 덕도 분명 있겠으나,
말그대로 펠마메급 기량이기 때문에 그정도 반열에 올라있다 생각해요.
16/05/09 11:19
수정 아이콘
풀을 좀 한정하면 수비수가 no.1인 집합도 나오죠.
우리나라도 해외파라 할 수 있는 차범근 빼면,
홍명보를 오랫동안 no.1으로 꼽았었어요.

지금이야 박지성도 있고 그 외 해외파들이 숫자도 많이 늘고 위상도 점점 올라가서 국내파 no.1 뽑는 게 별 의미가 없어졌지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2663 [질문] 폴라리스 랩소디 vs 눈마새 [30] iMac3189 16/05/08 3189
82662 [질문] 아이폰 사진관리 질문입니다 SaiNT1390 16/05/08 1390
82661 [질문] 즐거운, 이색적인 만남/데이트를 하고 싶습니다. 칼 오베1656 16/05/08 1656
82660 [질문] 포토샵 입문 어떻게 하나요? [6] 신입사원1732 16/05/08 1732
82659 [질문] 마리텔 양정원방 방송사고 때 나온 음악 좀 알려주세요. [2] 간디가2482 16/05/08 2482
82657 [질문] 마리텔을 보다가 네일에 관한 질문을 올립니다. [2] 삼성전자홧팅1675 16/05/08 1675
82656 [질문] 전세자금대출에 대해서 몇가지 여쭤봅니다... [6] FeeLinG2252 16/05/08 2252
82655 [질문] 공부습관 길들이기. 공부를 어떻게 하셨나요? [8] 뜨거운형제들2979 16/05/08 2979
82654 [질문] [LOL] 요즘 랭겜은 몇인 파티로 가능한가요? [3] 종이컵1826 16/05/08 1826
82651 [질문] 수비수는 아무리 잘해도 펠마메 취급 못 받나요? [29] ohmylove3351 16/05/08 3351
82650 [질문] [워크3] 내에서 모욕죄 형성 여부 및 절차 에 대해 질문드려봅니다. [13] 이사무4077 16/05/08 4077
82649 [질문] 도쿄 메트로 (1일권 / 2일권) 밤늦게 구매 문의 [7] 豚6922209 16/05/08 2209
82648 [질문] 블루투스 이어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양지1926 16/05/08 1926
82647 [질문] 아이오아이 음원 순위 [11] 현금이 왕이다2067 16/05/08 2067
82646 [질문] 내일 논산으로 입대하는데 근처에 점심 먹을만한 곳 있을까요?? [20] Deeeee3739 16/05/08 3739
82645 [질문] 랜섬웨어 걸렸는데요.. 백업을 안했습니다 [1] 슈로더1852 16/05/08 1852
82644 [질문] 영화 곡성말인데요(스포) 로일단당자2493 16/05/08 2493
82643 [질문] 공무원 시험 합격과 실패의 차이? [16] 파랑파랑8737 16/05/08 8737
82642 [질문] 예비군 훈련 1분 늦은거 어떻게 생각하세요? [87] 레너블6906 16/05/08 6906
82641 [질문] 김혜수가 시그널에서 연기를 잘하는 건가요? [24] 달걀껍질4394 16/05/08 4394
82640 [질문] 가수의 뮤지컬 진출, 어떤 평가를 받나요? [8] 소피스트2196 16/05/08 2196
82639 [질문] 후쿠오카 여행 관련 질문입니다. [4] AirQuick2283 16/05/08 2283
82638 [질문] 이거 하드가 맛이 간건가요? [6] 삭제됨1558 16/05/08 155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