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4/29 00:12:57
Name 김여유
Subject [질문] 기업 구조조정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경제학도분들 도와주세요~
경제에 대해 잘 모르는 1인입니다. 최근 현대상선 및 부실 기업들의 구조조정이 화제라 몇 가지 의문 질문드립니다.

1. 우선 현대상선이 부실 기업인 건 이해가 갑니다. 다만 왜 국가 차원에서 부실 기업을 정리해야하는 이유가 있는 건가요? 실적 없는 기업이 국가나 국민에게 끼치는 해악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말하는 건가요?

2. 채권단이 많이 나옵니다. 이 채권단은 기업에서 발행한 채권을 구입한 개인 및 법인이라는 건 알겠습니다. 다만 이 채권단은 어떤 이익 구조를 가졌는지 궁금합니다. 채권단은 기업 구조조정을 거쳐 어떤 결말이 떨어지길 기대하는 걸까요? 기업이 부도나면 채권은 휴지 조각이니 기업이 어떻게든 살아있길 바래야 하는 건가요? 근데 왜 자꾸 채권단이 정부와 갈등을 만드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채권단은 무슨 생각을 할까요.

3. 현재 한국은 정부주도의 기업 구조조정을 밟아 지지부진하고 실효성이 없다고들 하네요. 이게 자유 경제적이지 못한 인위적인 개입이라는 건데, 그럼 재계에서 바라보는 바람직한 기업 구조조정, 즉 자유 경제적인 관점에서 구조조정은 보통 어떤 모습을 가지는지 궁금합니다.

너무 문외한이라 질문이 어려운지 쉬운지도 모르겠습니다^^;;; 모쪼록 명쾌하고 쉬운 답 기대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4/29 02:01
수정 아이콘
평범한 경영/경제학도 입니다. 무지 깊은 지식을 가지고 있는 건 아니지만 제 얕은지식으로 드리는 얕은 답변이 더 이해하기 쉽지 않을까 싶어 답변남겨보아요.

1. 아시다시피 해운업은 우리나라 경제를 떠받드는 중요한 산업중 하나입니다. 최근 이슈되고있는 조선업이나 현대상선/한진해운이 그냥 망해버린다면 우리경제에 미칠 영향이 너무 큽니다. 사실 예전부터 어렵다는 소리는 들렸었구요. 지금까지는 이렇게 어려운 조선업, 해운업에 정부가나서서 알게모르게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을 통해 지원해줬었습니다. 말그대로 세금으로 지원해준셈이죠 그런데 이제는 산업자체가 답이 안나오는 상황까지 온지라 정부가 나서서 이 거대기업들을 정리할 필요성이 생긴거지요. 망해도 효율적으로 망해야 우리경제에 미칠 타격이 적으니까요. 그리고 언제까지 조선, 해운 이런산업으로 먹고살수 없기 떄문에 정부입장에선 이번기회에 정리하고 미래 성장가능성이 있는 산업을 키우는 산업구조조정을 시행하겠다는 생각인거죠.

2. 채권단은 말그대로 기업에게 돈 빌려준 사람들을 말합니다. 보통은 은행이 주 채권단이죠. 채권단은 기업에게 돈을 빌려주고 이자랑 원금을 통해 수익을 구조입니다. 그런데 기업이 망하게 되면 이자는 커녕 원금도 회수하지못하는 상황이 생겨버리죠. 그래서 기업이 어려워졌을떄 채권단의 생각은 간단합니다. 어떻게든 최대한으로 받을수 있는 돈을 받으려 하는 거죠. 지금 기업이 어렵긴 하지만 일시적이고 추후에 회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면 채무금액을 깍아주기도 하고 자신이 가진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헤서 경영권을 행사하기도 합니다. 채권단이 주도적으로 나서서 기업경영이나 구조조정에 관여하기도 하죠.

3. 자유경제적인 관점에서 구조조정이란 음... 말그대로 그대로 냅두는거죠. 망할기업은 시장에서 도태되고 자연스럽게 새로운 산업/기업이 등장하고... 뭐 이게 이상적이긴 한데 현실에서 실현되기는 쉽지않죠. 시장경제에 누군가 인위적으로 개입하는것은 비효율적이다라는 것이 자유시장논리의 핵심이니까요.

일단은 제가 아는 선까지 적어보긴 했는데 틀린 부분이나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어요ㅠ 다음 댓글러분이 더 좋은 설명 덧붙여주시리라 밋습니다.
원해랑
16/04/29 08:48
수정 아이콘
지식이라기 보다는 어디까지나 제 개인적인 견해?를 전달 드리고자 합니다.

1. 부실이 있는 기업은, 당연하게도 부도 등을 내며 가라앉을 가능성이 큽니다. 기업이 부도가 나게 되면 수많은 사람들이 직장을 잃고 거리로 내몰리게 되며, 기업에 투자했던 수많은 사람들이 손해를 보게 되죠. 이렇게 되면 국가 경제 차원에서 타격을 입게 됩니다. 부실이 깊어지는 기업을 내버려두면 그 규모는 더 커져서 피해 역시 더 커지게 됩니다. 때문에 부실 징후가 보이는 기업을 국가 차원에서 개입하여 정리하는 것이죠. 만명이 일하던 기업이 망하면 만명 모두 일자리를 잃지만 미리 6천명을 잘라서 4천명을 살리고… 1조원 피해 입을 것을 미리 구조조정해서 6천억원만 손해를 입는다거나… 아니면 부실이 더 커지기 전에 회사를 청산하여 피해 확대를 멈춘다거나 하는 것이죠. 또한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해운업 같은 경우는 내수라는 것이 없는 전세계 완전 경쟁시장인데, 한국국적을 가진 해운선사가 없을 경우 외국선사의 가격 정책에 대응할 수단이 없게 되고, 결국 수출 주도형 경제 구조를 가진 한국 경제 자체에 큰 타격이 될 수도 있습니다 때문에 국적선사는 필요하다고 말하면서 최소한도의 지원을 해주고 있는 것이죠.

2. 채권단이라는 것은 채권을 가진 사람 전부를 뜻한다기 보다는 많은 채권을 가지고 서로 협의할 수 있는 주체들의 모임이라고 보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보통 산업은행, 신용보증, 시중 은행 등이 많이 포함이 됩니다. 기업의 규모가 작을 경우에는 보다 작은 규모를 가진 주체들도 채권단에 들어 갈 수 있겠군요. 아무튼 이 채권단들은 돈을 빌려준 사람이기 때문에 원금을 회수하는 것이 가장 큰 목표입니다. 그래서 기업에 너희들 내 말 안 들으면 당장 상환 요구해서 망하게 만들어 버리겠어라는 무기를 들고 기업에 이런저런 회생절차를 요구하는 것이죠. 만약 기업의 회생 가능성이 전혀 없다면 바로 청산을 해서 손해를 줄이겠지만, 기업이 시간 혹은 추가적인 자금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회생할 수 있다!라는 판단이 서면 지원을 해주는 것입니다. 기업의 회생을 통해 손실을 줄이거나 더 나아가 원금 회수, 이익 실현 등을 노리는 것이죠.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주채권단의 수장이 산은인 경우가 많아서 단순한 시장 논리보다는 정치 논리가 많이 개입되기도 합니다.

3. 질문 자체에서 약간 이상한 부분이 있는데 적어도 우리나라 재계에서 바라보는 바람직한 구조조정은 자유경제학 관점이지 않습니다. 재계라는 것은 쉽게 말하면 돈 있는 기업 집단들을 말합니다. 그들은 현재와 같이 정부의 비호 아래 경제적인 논리가 아닌 정치적인 논리로 기업 회생 등의 절차가 이루어져서 혈세가 투입된 기업을 다시 되찾아 오는 방식을 선호합니다. 물론 정치논리가 자신에게 불리할 경우에는 경제 논리 상 맞지 않다고 들먹이죠. 결국 재계라는 것이 바라보는 바람직한이라는 것은 본인들의 이익일 뿐 어떠한 명분도 방향성도 논리도 없습니다. 자유경제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자면 정부가 개입하지 않고 시장 논리에 내맡겨 자연스러운 구조조정이 되자고 하는 건데… 실업자에 대한 대책이 마련된 국가라면 모를까 적어도 개인적으로는 수많은 사람을 무책임하게 길거리로 내몰자는 말이 마음에 들지는 않네요.

이상은 어디까지나 제 개인적인 의견에 불과하며 맞다! 라고 할 부분은 아닙니다. 그냥… 어쩌다보니 길게 적게 되었네요 그냥 참조만 부탁 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2150 [질문] [오디오/PC] 두개의 우퍼를 동시에 사용가능한가요? [2] 거신3297 16/04/29 3297
82149 [질문] 알뜰폰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 피오라1686 16/04/29 1686
82148 [질문] 부분으로 전체를 알아내는 과정.. [5] 다크템플러1623 16/04/29 1623
82147 [질문] 가장 잘 맞는 맞춤법 검사기는? [4] cs2192 16/04/29 2192
82146 [질문] 웹 브라우저, 멀티 탭, 이미지 일괄 저장 확장 CLAMP 가능빈가1624 16/04/29 1624
82145 [질문] [디아3/지메일] 관련 두가지 질문입니다... [4] 비둘기야 먹자1493 16/04/29 1493
82144 [질문] 아우렐리온이 다이아구간에서 미친승률을 보이고있습니다. [12] 정공법2761 16/04/29 2761
82143 [질문] [소설] 호랑이 나오는 판타지 소설인데 제목이 생각이 나지 않습니다. [6] HesBlUe3420 16/04/29 3420
82142 [질문] 이하이 어떤 목소리 스타일이 더 좋으신가요? [9] 늘새롭게하소서2295 16/04/29 2295
82141 [질문] [LOL] 솔랭과 경기에서의 시비르의 선호? [26] 리니시아3324 16/04/29 3324
82140 [질문] 청첩장 질문드립니다. [1] 1377 16/04/29 1377
82139 [질문] [LOL] 4대 5 게임에서 서폿이 튕길경우 정글은 어느 라인에 힘을 실어주는 게 맞을까요? [29] 코로보클4115 16/04/28 4115
82138 [질문] 도나우 인셀 페스트에 대해 알고 싶어여~!!! [2] 김성복3172 16/04/29 3172
82137 [질문] 회사동기 축의금 내야할까요?? [24] 박보영6459 16/04/29 6459
82136 [질문] [CK2] 자문회 권한 부여 관련해서.. [1] 기린어부최고시더2270 16/04/29 2270
82135 [질문] [LOL] 챌린저스 코리아 스탯 볼 수 있나요? [2] 한아1528 16/04/29 1528
82134 [질문] 의림지, 박달재, 배론성지 모두 볼만 한가요?(+ 제천, 단양, 문경새재 관광 등) [7] 미남주인2336 16/04/29 2336
82133 [질문] (스포 유) 시빌워 질문입니다 [4] 마션2443 16/04/29 2443
82132 [질문] 텀블러에 냄새 안 배기는 차가 있나요? [6] 총사령관2558 16/04/29 2558
82131 [질문] 기업 구조조정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경제학도분들 도와주세요~ [2] 김여유1738 16/04/29 1738
82130 [질문] 안드로이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질문입니다. [3] F.Nietzsche1743 16/04/28 1743
82129 [질문] 베이컨 보관방법과 유통기한 질문드립니다. [3] No.1010194 16/04/28 10194
82128 [질문] 훈제 닭가슴살이 낫나요? 수비드 닭가슴살이 낫나요? [12] 24076 16/04/28 407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