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4/20 09:54:27
Name Wade
Subject [질문] 밑에 밑에 재능 vs 노력 글을 보고 궁금한점
댓글을 보는데 '공부를 하나도 안했는데 연고대를 간다' 라는 표현이 있길래요.

이게 과연 성립 가능한 문장인가요?
'나에게는 치유재능이 있어서 손만 대도 병이 낫더라' 같은 수준인 것 같은데.

일단 국어능력 같은건 우리말이니 공부를 안해도 센스가 있으면 성적이 나올 수 있다 치고,
영어같은 것만 봐도 어떨까요? 공부를 하나도 안해서 단어를 하나도 모르는데 문장이 읽히나요..?
그러면 수능이 아니라 무슨 고대문서 해독하러 다녀야될 것 같은데요.

저는 당최 이해가 안가서.. 이게 가능한 건가라고 생각하는지 질문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레모네이드
16/04/20 09:59
수정 아이콘
성립불가능하죠. 과장입니다.
미메시스
16/04/20 10:02
수정 아이콘
원래 나보다 공부 적게한 사람은 공부 하나도 안한 사람이죠 흐흐
opxdwwnoaqewu
16/04/20 10:04
수정 아이콘
공부를 하나도 안했는데 연고대 가는 애들은
그냥 수업시간에 [안졸고] 문제집 대충 [풀고] 시험기간에만 벼락치기로 [공부]한 애들이죠

저도 제 성적대에서는 야무지게 놀았다고 자부하는데
가출하시는 성님들 앞에서는 아무것도 아닌...
절름발이이리
16/04/20 10:06
수정 아이콘
과장입니다.
손금불산입
16/04/20 10:08
수정 아이콘
공부를 정말 하나도 안했다 -> 불가능
일반인 범주에서 연고대로 가기엔 꽤 부족하게 했다 -> 가능

클래스가 다른 아웃라이어들은 연고대 상위과만가도 나름 흔하게 존재합니다.
그걸 부정하면 오히려 본인만 괴롭죠.
Love Fool
16/04/20 10:09
수정 아이콘
그분들 결석도 아닌 지각이 학교생활에서 가장 큰 일탈이신 분들...
샤르미에티미
16/04/20 10:11
수정 아이콘
고등학교 선생님에게 들은 일화와 실제로 본 일화가 있는데 쉽게 말 해 IQ 높은 애들은 공부 적게 하고 연고대 가는 게 가능은 합니다.
선생님이 자기도 나름 머리 좋은데 다른 친구가 공부 대충대충 하다가 교과서 한 번 싹 읽으면 그게 다 외워져서 도저히 시험에서 이길
수가 없었다더군요. 그렇게 내신 잘 쌓아놓고 수시로 대학가면 가능하죠. 요즘은 또 바뀌었대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저도 교과서 한 번 읽으면 외워지는 수준까진 아니더라도 그런 머리 좋은 친구를 본 적이 있어서 공부를 하나도 안 했다는 과장 빼고
노력에 비해 심할 정도로 시험 잘 보는 친구는 존재하긴 합니다.
절름발이이리
16/04/20 10:19
수정 아이콘
근데 오히려 내신이 머리 보다 노력이 중요합니다. 잘하는 것 보다 실수 안하는게 중요하고, 과제 꼼곰히 해야 하기 때문에.. iq하고의 상관성도 수능(SAT)쪽이 훨씬 높고요. 수시는 머리 좋은데 노력 안하는 류의 사람들에게 잘 맞는 전형은 아니죠.
16/04/20 10:20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내신은 꼼꼼함이고 수능이 감각적인 부분의 영향이 좀 더 큰편이죠.
샤르미에티미
16/04/20 10:35
수정 아이콘
저도 그 부분에 동의하는데 교과서 한 번 보면 외우는 수준은 그것도 초월한 것 같습니다. 그냥 적당히 좋은 애들은 공부 덜 해도
수능 모의고사는 잘 보고 내신은 못 받기는 하죠.
꽁꽁슈
16/04/20 13:23
수정 아이콘
수시도 전형이 워낙 다양해서 내신 위주의 전형이 아니라고 한다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절름발이이리
16/04/20 14:23
수정 아이콘
불가능하다는 게 아니고, 어느 쪽이 더 유리한가 얘기죠.
16/04/20 10:16
수정 아이콘
공부 안한다는 의미에 따라 다를 수 있는게 적당히 내신 받고 공부 하나도 안하고 논술로 갈 가능성이 있어서요
이사무
16/04/20 10:20
수정 아이콘
시험기간 제외, 고3 때는 수업 제외 하루 2시간 , 고2 까지는 시험기간에만 공부 하는 정도로 연고대는 가는 경우도 종종 있긴 하더군요.
(수시 이전 시대 기준)
16/04/20 10:21
수정 아이콘
수업을 빠질순 없을테니 수업만 잘 듣고 다른 공부를 거의 안했다 정도는 가능하겠죠.
shadowtaki
16/04/20 10:25
수정 아이콘
공부를 1도 안했는데 연고대 갈 수 있다는 거짓.
교과서로 공부하고 수업만 잘 들어서 연고대 갈 수 있다는 가능, 단 수업의 내용이 충실해야 함.

밑의 재능과 노력 이야기는 노력 대비 결과에 대한 이야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결과라는 것이 노력*재능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노력이라는 것은 내가 들인 시간과 관심으로 선형적으로 증가한다면 재능의 영역은 재능의 영역에 한해서 범인에 비해 100배의 뻥튀기를 시켜줄 수도 있고 0.1을 시켜줄 수도 있는 부분이라서..
당장 제가 가진 썩어빠진 동체시력과 반응속도, 집중력을 가지고 미친듯이 노력한다고 해서 롤 마스터, 챌린저 갈 수 없는 것이 재능의 한계라고 보는거죠.
뽀로뽀로미
16/04/20 10:26
수정 아이콘
'공부를 (요즘, 평상시,남들 밤샘 공부할 때)하나도 안 했는데 연고대를 갔다'라는 말이 와전된 걸 겁니다..

중요과목을 중학교 때 이미 선행학습으로 고등학교 진도까지 마친 사람도 있을거고, 학교 수업시간에만 열심히 공부해서 연고대 간 머리좋은 사람도 분명 있을 겁니다. 이런 친구들을 옆에서 보면 놀거 다놀고 탱자탱자하면서 연고대가는 것처럼 보이겠죠.
16/04/20 10:34
수정 아이콘
이 댓글과 같은 생각이네요
파란아게하
16/04/20 10:31
수정 아이콘
저희 학교에 매일 당구장 가서 놀고 학교와서 자는데 전교 석차 순위권이 있었습니다.
당시 학교 분위기는 반에서 10등 안쪽하면 연고대 가는 정도였고, 전교 순위권이면 서울대 무난이었고요.
약 20년전 이야기이긴 합니다만.
The Variable
16/04/20 10:37
수정 아이콘
상위권이 공부 안했다고 말하는 건 결코 공부 안 한 게 아니죠. 하위권이 쉽게 경시하는 수업 시간에 졸지 않기, 야자 안빠지기 같은 사항들을 자연스럽게 하니까 점수가 잘 나온건데, 자기가 보기에는 너무 당연한거고요. 요즘 수능 수준을 보면 수업 잘 듣고, 야자 적당히 하면 연고대 가는 건 충분히 가능해 보이기도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 전에 고등학교를 잘 가야 되는데, 이미 일반인 수준은 아닙니다. 현실에서는 민사고, 상산고, 국제고, 과학고 정도 되는 수준에 이미 진입했으면 노력 지인짜 안해도 연고대 갈 수 있으니까요.
16/04/20 10:55
수정 아이콘
이미 응팔에서 확인된거 아닙니까?
마이콜 연대의대 합격!
메레레
16/04/20 11:33
수정 아이콘
공부 별로 열심히 안했습니다
수업시간에 자거나 떠들다가 싸대기도 맞아봤고요. . . 내신은 거의 꼴등이였지만 수능은 전국100등까지 모의고사에서 찍어봤고 0.3프로 실제 수능점수로 의대 들어갔습니다. 고등학교때 고삼때 제대로 공통수학의 정석 공부시작했을 정도로 공부제대로 안했습니다. 근데 의대가보니 저보다 재능좋은 사람이 널렸더군요.. 그래도 그중에 노력하는 사람이 일등하는건 확실합니다.
불타는밀밭
16/04/20 11:53
수정 아이콘
경제학에서 자주 쓰는 방법으로 P(산출)와 X(재능), Y(노력)의 관계를 정의하자면 P=XY쯤 되지 않을까합니다.

낮은 수준에선 동일한 X 수치(재능이 같다고 가정)에서 Y(노력의 양를 변화시켜 P값의 변화를 봐도 고만고만 할테고, 마찬가지로 낮은 수준에서 Y수치를 고정시키고 X를 변수로 놓아도 마찬가지 일테죠.

하지만 높은 수준으로 갈 수록 재능과 노력의 시너지는 엄청 나지는데, 사실상 누구에게도 시간은 24시간으로 공평하니 노력의 양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겠죠. 결국 재능(X) 값이 최종 산출(P)를 결정하게 될 겁니다.

대충 이러한 사실을 피부로 느끼게 되는 비 재능러들은 결국 고만고만한 수준에서 만족하게 되는 것이고, 재능러 입장에선 '난 노력해서 됐는데, 니들은 노력도 안하니 안된거야!(사실은 인과가 반대)' 라고 생각하게 되는 거겠죠.

결론은 재능이 짱입니다.
16/04/20 11:54
수정 아이콘
공부를 (요즘, 평상시,남들 밤샘 공부할 때)하나도 안 했는데 연고대를 갔다 22

남들은 100 만큼 해서 겨우겨우 인서울을 하는 반면에
남들에 비해서 10~20 만큼만 해서도 스카이 가는 경우를 과장해서 말하는 거죠.

위에 "수업 잘 듣고, 야자 적당히 하면 연고대 가는 건 충분히 가능해 보이기도 합니다" 라고 하시는데
이게 되는 사람은 엄청난 재능을 타고난 겁니다. 불가능해요.
수업 잘듣고 야자 한번도 안 빼먹고 땀띠 나면서까지 공부해도 겨우겨우 대학가는 애들 쌔고 쌨어요.
저 명제가 맞으려면 연고대 못간 애들은 다 노오오오력을 안해서란 얘기인데
그거 절대로 아니거든요.

고딩때 서울대 나온 선생님 한분이
자기가 학생일때는 서울대 가는게, 공부 잘하는게 그렇게 힘든 일인줄 몰랐대요
성적 잘 안나오는 애들은 그냥 불성실하다고만 생각했고
근데 선생이 되고 나서 보니까 정말 성실히 열심히 하는 애들도 대학 가는게 너무 힘들고 어렵다고 안타깝다고 우시더라구요.
16/04/20 12:08
수정 아이콘
위에 "수업 잘 듣고, 야자 적당히 하면 연고대 가는 건 충분히 가능해 보이기도 합니다" 라고 하시는데
이게 되는 사람은 엄청난 재능을 타고난 겁니다. 불가능해요.

그러니까 재능을 타고난 경우 가능하다는거죠..
애초에 재능이 있는 경우를 가지고 얘기하고 있는데 일반론이 아닌게 당연한거 아닙니까
16/04/20 13:01
수정 아이콘
아아 어제 글을 직전에 보고 왔더니
재능 vs 노력 어제글의 연장선에 있는 뻘플을 달고 있었네요 -_-;;
젠투펭귄
16/04/20 12:08
수정 아이콘
태어나서 여태까지 한 모든 경험이 결국 공부아니겠냐는 관점에서는 말도 안 되는 과장이긴 한데,

앉아서 뭔가 의도적으로 머리속에 집어넣으려고 노력하는 것만 공부라고 치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켈로그김
16/04/20 12:19
수정 아이콘
공부 하나도 안했다고 할라면
저처럼 수능 모의고사는 1%찍고
내신은 15등급 중 15등급. 체육특기생이랑 같이 바닥에서 놀아주는 정도는 되어야죠.
면학분위기 해친다고 1->2학년, 2->3학년 올라갈 때마다 엄마 호출해서 전학권고도 받고
그 축구부 특기생 중 저보다 내신 좋은 놈도 몇 있었고요..

막상 대학가려고 원서를 써보니 내신에서 30점 이상 깎여서 쓸 대학이 없었다는.. ㅡㅡ;;
절름발이이리
16/04/20 14:24
수정 아이콘
전 제 등급대비 15점쯤 손해 봤는데 제 두배시군요.
켈로그김
16/04/20 14:34
수정 아이콘
절름발이이리님 정도만 해도 어지간한 학교에서는 짱일걸요.
하지만 지금은 훌륭한 사업가이시죠.

제가 로또 걸리면 일단 빚 좀 갚고 투자문의 쪽지드리겠습니다.
16/04/20 12:19
수정 아이콘
그냥 수업 잘듣고 야자할때나 시험기간에 노는애들만큼만 공부하고 연고대 가는거 불가능한 일은 아닌거 같은데요. 아니 불가능하지 않다기보단 나름 흔한일? 정도겠네요. 공부한 정도가 쉽게 말하면 일반적인 공부 안하고 노는애들 수준?
제가 아는 대원외고 출신 형 한명이 했던 말이 기억나네요.
"서울대는 고등학교 때 공부 열심히 한 애들이면 다 가는 곳이다."
16/04/20 12:24
수정 아이콘
가능합니다. 고등학교 공부량이 '졸업'을 할수 있을정도로만 공부하면 연고대 갈 방법은 있습니다.
지직지직
16/04/20 12:31
수정 아이콘
연고대는 아니지만 수외 4등급인데 논술 기출문제 한번 풀어보고 서강대 최초합으로 붙은 친구가 있습니다. 영어는 아직도 못하는데 학점은 좋더군요
맥아담스
16/04/20 12:53
수정 아이콘
조기교육의 결과죠.
켈로그김
16/04/20 14:49
수정 아이콘
99% 동의합니다.
꽁꽁슈
16/04/20 13:41
수정 아이콘
1. 수업시간이든 자습시간이든 집중 또는 몰입을 잘한다.
2. 수업시간에 이해가 안 되는 내용이 없다.
3. 수업시간에 들은 내용이 기억에 오래 남는다.
4. 남들과 비슷한 정도의 적당한 자습시간을 갖는다.
5. 풀었던 문제의 유형들이 기억에 오래 남는다.
6. 하나를 가르쳐주면 둘, 셋, 그 이상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남들보다 응용력이 뛰어나다.
7. 굳이 가르쳐주지 않아도 스스로 깨달아 학습하는 자가발전 능력이 남들보다 뛰어나다.

이것만으로 대단한 재능인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는 없지만 대략 이 정도의 재능과 노력만 갖고 있어도 대학 입시는 물론 웬만한 것들에 있어 남들보다 충분히 나은 성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결국 시간 싸움인데 시간 투자의 효율이 좋은만큼 동일 시간 대비 발전 속도가 남들보다 좋을 테고 그럼 성과가 좋을 수밖에요.
Anthony Martial
16/04/20 13:49
수정 아이콘
재능 노력 다 중요해요
근데 노력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상한선이 있고
재능은 누구나 못 올립니다. 끝이 없죠

책한번 안읽고 연고대갔다는 말이 아니겠죠
일반인보다 적게 공부하고도 갔다는거죠
한번만 보고 외워지고 다 이해가 갈텐데요
멍멍멍멍
16/04/20 14:34
수정 아이콘
서울대 와서 보면 자기들이 얼마나 잘 노는지 가지고 자존심 세우죠
맨날 놀았다는 것도 순 자기들 기준이지
아무것도 안하고 공부 잘하는 애들은 없어요
Arya Stark
16/04/20 14:53
수정 아이콘
공부를 하나도 안했다 = 물만 먹어도 살찐다.

라고 생각합니다. 자기 기준에서 뭘 자꾸 빼고 그 이상은 안했다를 아무것도 안한거랑 동치화 시키는 거죠.
16/04/20 14:57
수정 아이콘
앞에껀 과장이지만 뒤에껀 거짓말이죠
Arya Stark
16/04/20 15:01
수정 아이콘
둘다 거짓말이죠. 공부를 하나도 안했다는건 책을 펴보지도 않은 수준인데 수업시간에 집중을 해서 안들었다고

공부를 안한건 아닙니다. 수업을 들었으면 공부를 하기는 한거죠.
16/04/20 15:07
수정 아이콘
하나도 라는 말을 관용어처럼 쓰는 경우가 있자나요, 물론 물만 먹어도 살찐다는 말도 그런거긴 하지만

공부별로 안해도 성적좋은 사람은 존재하지만 살은 먹은 만큼 찌니까요
Arya Stark
16/04/20 15:08
수정 아이콘
살이 잘 찌는 체질도 있습니다. 안찌는 체질도 있구요. 관용어로 따져도 둘다 똑같죠.
16/04/20 15:17
수정 아이콘
굳이 이걸 왜 지적했냐면 전자는 진짜 별로 공부 안하고 성적좋은 사람이 존재 해도 주변에서 '쟤는 남 안보는대서 할거야'라고 보면서 거짓말로 여기는 경우가 많거든요.

물론 본인이 그렇게 보이고 싶어서 코스프레 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겠죠. 근데 후자는 대부분 거짓말이거든요.
체질이 다른게 있을 수는 있는데 그게 일반적 경우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보통 거의 대부분 범주의 사람들은 먹고 움직이는 만큼 살이 찌고 빠지죠.
Arya Stark
16/04/20 15:35
수정 아이콘
후자가 대부분 거짓말이라는 근거는 어디 있나요 ?
16/04/20 15:37
수정 아이콘
보통 인간의 신체가 그렇지 않다는걸 배워서 아니까요
Arya Stark
16/04/20 15:40
수정 아이콘
보통 인간의 두뇌도 그렇습니다.
16/04/20 15:46
수정 아이콘
똑같이 공부 시키고 시험쳐서 다들 비슷한 점수가 나와야 그말이 성립되겠죠.
그렇지 않자나요?

식이요법이나 운동 생활패턴 다 똑같이 고정시켰는데 표준 체지방수치 범위 벗어나는 경우는 거의 없을걸요
불타는밀밭
16/04/20 16:08
수정 아이콘
군대요
16/04/20 16:10
수정 아이콘
군대가서 살빠지고 살찌는 사람 엄청 많자나요
Arya Stark
16/04/20 16:47
수정 아이콘
피정님의 주장을 공부에는 적용시키고 체질(살)에는 적용 안시키는 기준이 알고 싶네요.
16/04/20 16:56
수정 아이콘
적용이 안된다기 보다 첫댓글에 과장VS거짓말 수준의 정도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기 경험으로 일반화 시킬순 없지만 공부 별로안하고 성적좋은 사람은 많이 봤지만 많이 안먹는데 살찌는 사람은 한번도 못봤습니다. 분명히 먹어놓고 이건 먹은게 아니야라고 정신승리 하는 사람은 많이 봤구요.
Arya Stark
16/04/20 17:24
수정 아이콘
피정 님// 피정님이 그렇게 생각하실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타인의 생각을 지적할 때는 더 근거 있는 이유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공부 안했다고 하고 알고보면 밤새 공부한 사람들을 많이 봤다고 해서 피정님의 경험이 부정되는게 아니듯이 말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1658 [질문] 중급 dslr이 궁금합니다. [7] 팔딱팔딱맹태1381 16/04/20 1381
81657 [질문] 소변보고 손 씻는사람이 많을까요 안씻는사람이 많을까요? [35] lenakim3843 16/04/20 3843
81656 [질문] 트랩(함정)형 바퀴벌레 퇴치용품은 없나요? [3] 몽유도원3754 16/04/20 3754
81655 [질문] 중고차(첫차) 질문드립니다. [7] 테란의로망1840 16/04/20 1840
81654 [질문] 격투기 선수를 찾고 있습니다. [2] 배려1307 16/04/20 1307
81653 [질문] 저도 대직구시대에 동참할까 합니다. [4] 스팍2354 16/04/20 2354
81652 [질문] 제기차기가 축구 족구에 도움이 될까요 [11] 오구오구3720 16/04/20 3720
81651 [질문] 19) 좀민망한 질문좀할께요 [18] 얀자9061 16/04/20 9061
81650 [질문] PS4게임 녹화용으로 캡쳐보드를 사려합니다. 추천 부탁드립니다. 라임2451 16/04/20 2451
81649 [질문] [LOL] 포지션별 픽률은 어디서 볼 수 있나요? [4] 몽유도원4111 16/04/20 4111
81647 [질문] 35만원 정도로 컴터를 업글하려 합니다. [11] lenakim2220 16/04/20 2220
81646 [질문] 밑에 밑에 재능 vs 노력 글을 보고 궁금한점 [53] Wade2689 16/04/20 2689
81645 [질문] 주택청약 뺑뺑이? 추점이라는게 궁금합니다. [4] 원래다그런거야3680 16/04/20 3680
81644 [질문] 50만원대 PC견적 질문입니다. [12] 불쌍한오빠1893 16/04/20 1893
81643 [질문] 차알못이라 질문좀 남겨봅니다 [9] 에이핑크1969 16/04/20 1969
81642 [질문] 이번주 썸녀와 영화를 보려는데 뭐가 좋을까요?? [19] 삭제됨3316 16/04/20 3316
81641 [질문] 이스라엘은 우리나라의 상무의식을 어떻게 평가할까요? [4] 재활용1890 16/04/20 1890
81640 [질문] 70~90년대 초반까지 대학 단체 미팅해본 분? CLAMP 가능빈가1683 16/04/20 1683
81639 [질문] 유게의 대직구시대 글 보고 문득 든생각인데요..환율이 떨어지면... [10] 우왕2212 16/04/20 2212
81638 [질문] 회사 이직후 스트레스 [3] 치토스4215 16/04/20 4215
81637 [질문] 잇몸이 내려앉아 뿌리가 노출되어 이가 시리다고 하는데요 [6] 말다했죠2522 16/04/20 2522
81636 [질문] 감독의 역할이 가장 중요한 스포츠는? [11] 뀨뀨2283 16/04/20 2283
81635 [질문] 고 양신규 교수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글이면서 질문입니다) [2] SaiNT5206 16/04/20 520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