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4/05 20:22:23
Name dragic
Subject [질문] [LOL] 이러한 경우 누구 손을 들어주십니까
이렇게 2명이 있습니다.

1번은 솔랭 전시즌 플레 3 정도가 평균이고 최고점은 플레 2 정도입니다.
리븐, 리신, 니달리 등등 손타는 챔프를 기반으로 압도적인 피지컬로 깔아뭉개는 타입입니다. 자기의 손을 믿고 게임하는 전형적인 모 아니면 도 스타일이고 무리가 될 거 같은 상황에서 자주 들어갑니다. 덕분에 골드까지는 그 피지컬을 바탕으로 무리가 아니라 슈퍼플레이였는데 플레 올라와서는 엄청난 쓰로잉이 되는 스타일이라 정말 트롤 or 캐리입니다. 보면 맵을 잘 안보고 오브젝트에 크게 관심은 없습니다. 용 주고 바론줘도 한타에서 내가 2인분하면 게임 이기는거니까.. 라고 말하는 쪽입니다. 오더하는 걸 좋아하는데 샷콜은 매우 정확한 편이지만 오브젝트 싸움이나 스플릿을 돌릴 때 자신의 피지컬을 너무 믿는 경향이 강합니다. 전제가 자기가 최소 2명은 딴다는 가정이 깔릴 경우가 많습니다. 계산보다는 전투에서 확 이득을 벌려나가고 싸우는걸 엄청 좋아합니다. 불리할때 자신의 슈퍼플레이를 믿는 과감한 오더로 기적의 역전극을 내본 적이 종종 있습니다.

2번은 솔랭 전시즌 골드 3정도입니다.
피지컬은 소위 아재컬, 손타는 챔프는 일체 하지 않고 운영으로 간다는 마인드가 강합니다. 슈퍼플레이를 하는 걸 본 적이 없고, 대신 던진다 싶은 적이 없습니다. 캐리형 머신은 아니고 게임의 운영권이 자기한테 없을 땐 거의 공기급의 존재감입니다. 전형적인 버스타는 솔랭스타일이며 본인도 솔랭에선 아무리 잘해봐야 플레5가 한계일것같다고 말하곤 합니다.
운영에는 굉장한 자신감이 있는데, 그 이유가 전시즌에 당시 실버 4명을 데리고 본인이 주도적인 오더를 통해 팀랭 다이아 승급전까지 끌고갔었기 때문에 자신의 오더에 상당히 자부심이 있습니다. 단 이 상황에서도 팀원이 슈퍼플레이할 수 있는 사람이나 피지컬이 좋은 사람을 적극적으로 활용해본 적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운영에서 밀리면 뒤집기 매우 힘들어하는 운영타입이라고 보입니다.

이러한 2명을 데리고 5인랭을 돌립니다. 나머지의 평균 티어는 골드 중하위권과 플레 1명입니다. 이 3명은 오더에 일체 관심이 없고 어느쪽이든 오더만 통일해라 라는 마인드입니다.

이 상황에서 저 둘이 붙었습니다.
1의 주장은 "솔랭티어가 무려 1단계나 차이가 난다. 원래 티어가 높은 쪽 오더가 맞는거다" 이며 2의 주장은 "현재 다인랭은 팀랭이나 다름없는데 난 팀랭으로 치면 너보다 티어가 높게 가봤다. 넌 너한테 다 맞추는 오더라 너가 캐리안하면 망하는거 아니냐"입니다.

3인의 팝콘섭취 입장에서 어디의 손을 들어주시겠습니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4/05 20:27
수정 아이콘
진짜 골드3이 실버4명 데리고 팀랭 플1찍은거면 무조건 2요. 골3하나 실버 넷이면 무조건 실버부터 시작할텐데 그걸 플1까지 끌고가다니 진짜 대단한거죠.
유스티스
16/04/05 20:30
수정 아이콘
둘다 하면 좋을거 같은데! 우걱우걱.
장난이고 기본적으로는 후자가 하는게 전자도 좋아할거 같은데, 전티어 부심만 어케 잘 내려놓게 하면 좋겠네요.
Anthony Martial
16/04/05 20:30
수정 아이콘
글쓴이님은 2번의 손을 들고 있는 것 같은 느낌

2번이 오더 하다가 1번이 무리해서 던지고 싸울 각이네요
마이스타일
16/04/05 20:35
수정 아이콘
윗 분 말씀처럼 제가 봐도 2번이 오더하다가 1번이 그냥 맘대로 던지고 싸울 각이네요
안싸울라면 1번이 오더하는게 맞는데 그러다 지기라도 하면 2번이 폭발하겠죠
이건 나머지 3명이 팝콘먹으면서 구경하지 말고 확실히 쎄게 밀어붙여서 정하거나
아니면 그냥 5명이서 각자 돌리고 같이 게임 안하는게 나을거 같습니다.
입 다물어 주세요
16/04/05 20:35
수정 아이콘
전 2번이요.
근데 이니시는 1번이 나머지 상황판단은 2번이 하는게 좋을듯요.
네오유키
16/04/05 20:42
수정 아이콘
전투는 1번이 전체적인 게임은 2번이 하면 되겠네요. 누구 스플릿 이런건 2번이 누구 이니시 이런건 1번이요.
코우사카 호노카
16/04/05 20:45
수정 아이콘
오더 실력은 2번이 좋은것 같지만 파티 안 깨지려면 1번이 하는게 좋을것 같네요.
16/04/05 20:48
수정 아이콘
1과 2, 둘 중 누가 더 잘하냐면 어려운 문제겠지만, 예시의 문제라면 답은 [2번]입니다.

흔한 말로 천재는 가르침에 서툴다고들 하죠. 소위 차범근 감독 시절 "이게 이렇게 안되냐? 이렇게? 어? 이렇게?" 가 되면.. 일반 선수들이 분데스리가 뛰던 차붐 피지컬과는 좀 모양새가 다른 것처럼요. (실제 그랬단 이야기 아니고, 차범근 까려는 이야기도 아닙니다 저 차붐 완전 사랑함)

1의 오더는, 팀원이 이 정도는 당연히 피하는/맞추는 피지컬로 오더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런데 나머지 3명의 피지컬이 1번과는 확연히 차이가 난다면, 1번의 피지컬이 높으면 높을수록, 1번 오더 따르면 패망할 가능성이 매우매우 높게 됩니다. 딱 위 차감독 꼴 나는거죠.

1번 : 야 스플릿 해 스플릿 스플릿
팀원A : 이거 이러다 그냥 짤리는 거 아냐?
1번 : 괜찮아 괜찮아 던지는 거 다 피하고 저길 저렇게 여길 이렇게 한 담에 요렇게 빠지면 돼
짤리고 난후
1번 : 어후 야 거기서 그걸 쳐맞고 앉았냐 이렇게 조렇게 해서 조렇게 한 담에 이렇게 빠졌어야지
팀원A : 미,미안 난 그게 안돼..

2번은 자신이 못하는 걸 남에게 시키지 않을 공산이 큽니다. 확실히 운영으로 득점하는 상황, 혹은 논타겟 한두개 정도 빗맞더라도, 아군이 맞더라도 이기는 상황을 만드는 걸 즐기는 유형이기 때문에 팀원들의 피지컬도 크게 상관없이 이기는 경기가 꽤 많습니다. 때문에 2번은 간혹 압도적인 피지컬 차이로 눌릴 수는 있겠지만, 전반적인 승률을 보장할 것이며 팀원들의 오더에 대한 만족도도 높을 겁니다.

다만... 나머지 3명의 팀원 피지컬이 2번만큼도 안된다면, 2번의 멘붕과 1번의 독고다이 예상해 봅니다.
트리거
16/04/05 21:31
수정 아이콘
실버4명을 다이아 승급전까지 끌고갔는데...
나머지가 골드~플레권이면 오히려 피지컬이 뛰어나겠죠.
16/04/05 21:12
수정 아이콘
원래는 제가 1번 쪽 손을 좀 들어주는 편인데(아무래도 이쪽이 더 잘 삐지다보니) 이번엔 아예 다인랭이라 상황이 재밌어져서 팝콘 팔고 있습니다
둘이 스타일이 너무 달라서 (1번은 두다이브 두바론 2번은 돌려깎자, 오브젝트 챙기면서 빠지자) 어느 한쪽으로 힘 몰아주지 않는 이상 오더가 개판이라 오히려 제가 가끔 중재하다 오더하게 되고 재밌어요 크크크
1q2w3e4r!
16/04/05 21:19
수정 아이콘
나머지 셋이 무엇을 선호하고 팀 전체가 어떤 운영을 좋아하는지도 본인들도 모르니,
직접 몇번씩 번갈아 가면서 해보세요.
해보면 답이 나옵니다.

그리고 피지컬이 플레급 보다 뛰어났으면 플레에서 막히고 있지 않겠죠.
운영을 다이아급으로 잘하는데 골3에 있을리도 없습니다.
페스티
16/04/05 21:21
수정 아이콘
우선 두 분 총 게임 수가 궁금하네요
16/04/05 21:28
수정 아이콘
2번이 전체적으로 하고 1번을 활용하는 오더를 할 수 있으면 최상일 것 같습니다.
아스미타
16/04/05 21:29
수정 아이콘
222222
16/04/05 21:31
수정 아이콘
2번이 큰 운영 1번이 한타에서 샷콜링
16/04/05 21:33
수정 아이콘
유리할때는 2번이 오더를 하고 불리할땐 1번이 오더를 하면됩니다~
트리거
16/04/05 21:35
수정 아이콘
팀랭으로 다이아 승급전 찍었다면 말 다한거 아닌가요? 닥2죠.
개인적으로 솔랭 플레 1까지 찍어봤고 팀랭 골드1까지 찍어봤는데(팀랭 배치 실5)
솔랭 플레1보다 팀랭 골드1찍는게 곱절로 힘듭니다...
더군다나 실버들 피지컬로 다이아 승급전을 갔다는게... 믿기지 않을 정도인데;
그 팀의 주 오더가 2번이라는 전제하에 무조건 2번손을 들어줘야죠.
너참예쁘다
16/04/05 21:52
수정 아이콘
주어진 내용만 봐서는 2번 손을 들고 싶지만,
글쓴분께서 2번분에게 우호적인 내용만 쓴건 아닌지 생각해보게되네요.
충분한 판만 주어진다면, 운영형이든 캐리형이든 자기 티어를 찾아가게 마련이기때문에요.
16/04/05 22:07
수정 아이콘
2번은 진짜 대단하네요 플레2 다이아3명이서도 팀랭 플1가기 힘들던데.
bemanner
16/04/05 22:17
수정 아이콘
솔랭점수 낮은 사람들이 팀랭 돌릴 때, 점수를 빨리 올리기는 정말 어렵고 느릿느릿 올리기는 정말 쉬워서 게임횟수를 알아야 답변이 용이할 거 같네요.
빡세게 팀랭 돌리는 팀은 소수고 재미로 팀랭 돌리는 팀이 다수라서..
그냥 안 던지는 오더만으로도 재미는 상대가 보고(상대는 재미보려고 게임했던 거였고) 게임은 자기 팀이 이기는 경우가 많아서요.

50판 내로 다이아 승급전까지 뚫은 거면 2, 아니면 1 봅니다.
타이푼
16/04/05 22:17
수정 아이콘
팀랭 다이아승급전까지 될 정도면 실버이기 힘들지않을까요

애초에 실버가 플레만나면 전라인 다 터지고 시작할거같은데요 그게 운영으로 극복이 되는건가요
그런데말입니다
16/04/05 22:22
수정 아이콘
2번이 1번을 프리롤로 두고 운영을 해먹으면 됩니다.
방민아
16/04/05 22:33
수정 아이콘
1번 탑 보내시면 될 듯!! 크크크
16/04/05 22:43
수정 아이콘
음 둘 다 솔랭판수가 많지는 않구요. 오히려 1번의 경우 판수 쌓이면 충분히 다이아갈 거라고 생각들 정도고, 문장으로 쓸 때는 저렇게 적을 수 밖에 없지만 저 내가 캐리한다가 생각보다 훨씬 잘먹힐 정도로 피지컬은 충분한데 그걸 어떻게 표현을 못할뿐입니다. 크크... 위에 적어뒀듯이 제가 오히려 힘주는쪽은 1번이었습니다.(잘삐지기도 하지만 일단 지인들끼리 할 땐 닥돌오더가 더 재밌잖아요)
근데 매판마다 불리하면 둘이 으르렁거리니 귀찮을 뿐이죠. 사실 전 시즌 팀랭에선 어느 쪽 오더를 듣던간에 승률은 비슷하게 나왔었고 사람들 모두 롤에 큰 시간을 쏟고 있지 않고, 2번의 경우 솔랭판수보다 저 팀랭판수가 훨씬 많습니다. 나머지 넷도 실버긴한데 저는 잘 모르는 사람이라 실제 실력은 모르고 솔랭 판수는 그렇게 많지 않더라 정도만 알고 있구요

이렇게 많은 분들이 대답해주실줄은..;
짱짱걸제시카
16/04/05 23:10
수정 아이콘
골드분이 열심히 하시면 더 올라갈 실력이거나 실버분들중에 사실 포텐 높은사람이 있다던가.. 뭐 그러지 않을까요?
16/04/05 23:14
수정 아이콘
글 자체가 2번이 뭔가 유리하게 써있는 느낌이긴 한데........

솔직히 평가고 뭐고 자기 힘으로 올렸다면 티어가 정답이죠 저같으면 1번 말을 들어야되는거 같은데

1번말들으면 1번이 아무튼 캐리해준단 말 아닌가요
16/04/05 23:24
수정 아이콘
비슷하면 주 오더는 정글서폿이 해야죠, 묶여있는 라이너와달리 돌아다니며 전체적으로보니 더 정확한 판단이 나올 가능성이 큽니다.
반대로 다섯포지션중 오더를 가장 하지 말아야하는 라인은 원딜이구요.
16/04/05 23:34
수정 아이콘
무엇보다 골드3친구와 플레3친구가 솔랭 전적이 비슷한데, 골드쪽이 팀랭위주로 300경기 정도만 더 했다면
그 둘의 실력은 아마 비슷할겁니다.

엠엠알 레이팅 자체를 높게 받았을테니, 이번시즌 티어야 플레친구가 골드친구보다 좀 더 높은곳에 있을 확률이 높지만
현재 둘의 실력은 별 차이없을거에요.
아드오드
16/04/06 00:18
수정 아이콘
도망가야 합니다...
트윈스
16/04/06 00:18
수정 아이콘
골드3인 분이 실버분들 데리고 팀랭 다이아 승급전을 가봤다구요..?
전 그게 순전히 2번분의 운영능력으로 올라갔다는걸 못믿겠습니다. 실버분들중에 탈플래급의 실력을 갖춘분이 분명히 있을겁니다. 아니면 2번분의 실력이 골드3 수준은 절대 아니거나..
팀랭이 다이아끼리 모이면 배치 전승하면 다이아까지는 금방이지만 골드,실버분들이 모이면 배치 전승해봤자 높아봤자 골드 문턱일텐데 거기서 다이아 승급전까지 올라갈 정도면 정말 엄청 대단한거죠. 팀랭 매칭이 거지같아서 골드에서도 배치중인 다이아 상위권들 만나는건 흔한일이고 이런일이 골드쯤부터 플래상위권까지 계속 이어집니다. 그런데 그걸 뚫고 다이아 승급전까지 가봤고 이게 정말 2번분의 주도적인 오더가 큰 역할을 했다면 무조건 2번입니다.
아니면 무조건 1번이요. 티어가 높아지면 보는눈도 높아지니까요. 그리고 1번분 스타일상 이니시를 도맡을 가능성이 큰데 이니시 맡는 사람들이 오더하는게 더 낫다고 봅니다.
다크템플러
16/04/06 00:33
수정 아이콘
팀랭 플1은 진짜진짜진짜 잘하는건데 덜덜덜....
RedDragon
16/04/06 08:34
수정 아이콘
솔랭이 골3이라도, 팀랭시절 플1이면 플1 실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하물며, 팀랭과 동일한 환경인 5인큐인데요...
닥 2번이죠. 다만 1번이 말 안들을 때가 있을텐데 탑 스플릿 푸셔 주시면 될 것 같네요.
한글날아닌데닉바꿈
16/04/06 09:16
수정 아이콘
저같으면 돌아가면서 몇번씩 해서 성적 잘나오는대로 할 것 같은데
제이슨므라즈
16/04/06 09:58
수정 아이콘
이건 닥2번이죠
일단 팀랭 플1 이라는 실적이 대단하고
두번째로 피지컬이좋은사람 견적을 팀원이못따라가는경우많아요.
싸우고나서 어? 내가 두명땃는데 이거 왜지냐 하는 그림나오죠.
그럴만한사정
16/04/06 10:05
수정 아이콘
2번이 재미있을꺼 같은데요. 1번오더는 따라가면 1번만 재미있을꺼 같네요..
16/04/06 10:20
수정 아이콘
2번요.
대신 1번분의 피지컬을 감안한 오더가 되면 좋을것 같네요. 스플릿 운영 등을 할때 잡으러 오는 두명을 따낸다거나, 죽을 위기에서 생존하는 등의 슈퍼플레이를 할 수 있을테니까요.
미숙한 S씨
16/04/06 10:44
수정 아이콘
생각할 것도 없네요. 닥후입니다.
그냥 2번이 오더 하면서 1번 쓰는 법만 좀 더 익히면 오더에도 선택권이 늘어나서 더 좋아질거구요.

슈퍼플레이를 전제로 깔아놓는다는 점에서 팀의 메인오더로는 그냥 실격입니다.
16/04/06 11:14
수정 아이콘
글내용이 fact전부 써놓은거라면 2번이죠.
켈로그김
16/04/06 11:31
수정 아이콘
글 내용 감안해도 1번입니다.
세종머앟괴꺼솟
16/04/06 11:41
수정 아이콘
답은 2번인데 그냥 둘 중에 더 성격 더러운 사람 오더로 놓는게 현실적으로 봅니다.
16/04/06 12:32
수정 아이콘
답변이 많아서 뻘플하나 달자면 제가 같이 게임하는 사람들중에 저런 분들이 있다면 둘다 조용해 오더는 내가한다! 고 할듯..
일단 제가 같이 게임하는 데에선 티어를 막론하고 정글 서폿이 전반적인 운영 오더를 내리되 샷콜링은 이니시에이터에게 맡깁니다.
16/04/06 12:42
수정 아이콘
2번이요. 실버들과 함께 팀랭으로 다이아승격까지 갔다는 것은 적어도 게임읽는 눈은 최소 플레 이상은 된다는 것 아닌가요.
메이메이
16/04/06 12:46
수정 아이콘
2번같은경우는 이기면 좋은데 지면 남탓 끝내줄것같은데요...
Biemann Integral
16/04/06 13:09
수정 아이콘
같이 하는 입장이라면 저는 2번의 오더를 따르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0941 [질문] 선글라스 어디서 사는게 좋을까요 [8] 빌리진낫마이러버3836 16/04/05 3836
80940 [질문] 결혼 축가 간주에 멘트 좀 넣어볼까 하는데요. [5] 코러스8436 16/04/05 8436
80939 [질문] 한 정당이 200석이상(개헌선)먹으면 어떻게 되나요? [14] Ahri3589 16/04/05 3589
80937 [질문] 영어 문장 해석 부탁드립니다. [12] brothers1233 16/04/05 1233
80936 [질문] [LOL] 이러한 경우 누구 손을 들어주십니까 [44] dragic3040 16/04/05 3040
80935 [질문] 똥눌때 뭐합니까? [43] 파란무테3702 16/04/05 3702
80934 [질문] 치질인가요...? [5] 삭제됨1696 16/04/05 1696
80932 [질문] 전자서명 관련 질문입니다. [4] sensorylab1235 16/04/05 1235
80931 [질문] (달러 환율) 앞으로 전망이 어떠할까요? [11] MC_윤선생2459 16/04/05 2459
80930 [질문] [클래쉬로얄]상자 가득차면 골드벌 방법이 없나요?? [5] 삭제됨2079 16/04/05 2079
80929 [질문] 자기전에 , 아침에 집에서 할만한 근력운동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아싸28년2489 16/04/05 2489
80928 [질문] 유니티 엔진을 사용한 퀄리티 높은 게임이 뭐가 있을까요? [8] Jannaphile2515 16/04/05 2515
80927 [질문] 단기알바(1일)를 했는데 담당자가 잠수 탔어요.. [6] 별풍선3629 16/04/05 3629
80926 [질문] 자게 글보고 올리는 토익 질문. [4] 삭제됨1311 16/04/05 1311
80925 [질문] 자동차보험료관련 질문드립니다 [3] 파페포포1667 16/04/05 1667
80924 [질문] 토익 고득점 얼마나 걸려요?????? [20] NoelLiam.G3135 16/04/05 3135
80923 [질문] 중소기업 세무사 업체 질문입니다 [3] opxdwwnoaqewu1377 16/04/05 1377
80922 [질문] TV 해외 다큐멘터리 이름 질문.. 다큐 매니아분들 도와주세요. [1] 메피스토3227 16/04/05 3227
80921 [질문] 선거일은 법적 공휴일인가요? [10] todTmfprl2803 16/04/05 2803
80920 [질문] 선거 전화홍보 차단하는 방법 없나요? [2] 오즈s1753 16/04/05 1753
80919 [질문] 고정 시점의 액션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스팀판) [1] 귀여운호랑이1719 16/04/05 1719
80918 [질문] 나이키 테크 플리스 윈드러너 질문 [2] Rebirth1405 16/04/05 1405
80916 [질문] 피시방 내 흡연 제지 불가능한가요? [12] 에바 그린2234 16/04/05 223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