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4/05 13:17
1. 공공임대의 임대년수를 채우시면 분양전환은 무조건됩니다. 일반적으로 거의 10년이 공공임대 분양전환시기죠. 분양이후 매매시에는 무조건 시세차익 보실수 있을거에요. 그당시 시세의 20~30% 싸게 구매할 수 있으니까요. 공공임대는 보증금을 최대치로 넣는게 가장 좋습니다.. 여유가 된다면요. 그래야 월세가 훅 내려가서 생활 할만한 가치가 있을거에요.
2. 차라리 대출받아서 공공임대의 보증금에 보태세요. 빌라매매보단 훨씬 이득일겁니다. 8000/72만원 월세시면 84형 정도되는 아파트로 보이는데요..지역은 모르겠으나... 그정도 되는 새아파트 전세가 혹은 매매가 한번 주변에서 확인해보시면 답나올거에요. 덧붙이자면..막 그렇게 답답해보이진 않습니다. 부모님께서도 LH라는 제도를 이용하기 위해 청약을 넣고 계셨을테고, 본인자체의 수익도 있으심에 미래에 투자하는 금액도 어느정도 있으니깐요. 또한, 공임 아파트 사시면서 2년 마다 갱신계약을 하실때 자격요건에 대해서도 꼼꼼히 신경쓰셔야하는 부분이 많으니 유념하세요.
16/04/05 16:26
1. 전화를 해보니 10년은 확실히 채워야하고 16600만원이면 월세가가 29만원정도 하락하더군요.. 보증금을 최대한 넣는 쪽으로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ㅠ 갱신계약은 필히 확인하겠습니다.
16/04/05 16:54
보증금을 최대치로 전환하셨을시 이자와 월세랑 차액에 대해서 꼼꼼히 따져보셔야 할거에요.
어느 지역인지는 모르겠으나 요즘 공공임대 못들어가서 안달입니다. 좋은기회 잘 잡으시길 바랄께요.
16/04/05 13:57
사고방식의 차이이기는 하지만, 요즘 같이 금리가 낮은 시기에 제 1금융권 대출금을 빌린 돈으로 보기도 어렵고.
비용으로 생긴 부채가 아닌 부채로 자산을 취득하는 개념은 굳이 빚을 낸다고 생각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전혀 답답할 상황이 아니예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