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3/24 09:14
저는 다리저릴정도로 안좋았는데 걷기 + 멕켄지운동하니까 확 좋아졌습니다 (엎드린 상태에서 바닥에 손짚고 상체 높게 들어올려서 허리에 힘빼고 5분이상 버티기)
16/03/24 13:21
판단은 가능하겠지만 그거할 정도의 기술이 있는 일반이면 그거로 돈버는게 더 부자가 되죠.. 그런일반인을 우리는 트레이너라고 부릅니다.
기능해부학 신경학 근골격학 운동역학 정도는 일단 보셔야할텐데 트레이너들도 자기몸은 다른사람에게 맡깁니다.
16/03/24 13:12
데드리프트가 허리강화 및 치료에 좋긴하나
우리형님 말씀처럼 무게셋팅 갯수등을 본인 상황에 맞게 잘맞춰야합니다. 들수있는 무게라고 막 들면 바로 허리사망 입니다.
16/03/24 13:19
바의 이동곡선이나 몸에 맞춰서 각을만들어야합니다. 정강이가 짧다거나 내전근이 이완이 안되거나 고관절이 굳어있다거나 많죠. 무게와 개수는 사실 이런목적에서의 영향은 무시해도 될정도의 미미함입니다.
16/03/24 09:36
저는 한의원 / 통증의학과 다니고 있는데
제법 효과 보고 있습니다. 한 병원에서 효과 못보시면 여러가지 방법으로 치료 받아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16/03/24 12:24
번거로우시겠지만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을 방문해보시길 권합니다. 허리 같은 경우는 재활과 초기 치료가 굉장히 중요한 부위라서 전문가(동네 정형외과들도 전문성이 제각각인 곳이 많습니다)의 소견을 듣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도 최근에 낙상으로 허리를 다쳤는데 한 달 정도 전문가 도움을 받아서 천천히 재활을 해서 지금은 거의 완치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16/03/24 12:42
그렇군요...재활까지 필요한 상태인지 모르겠어요ㅠㅠ...진짜 정상생활 하는데 이상은 없거든요. 뻐근할 뿐..
허리운동 (예를 들어 데드리프트)을 해서 근육을 강화시키는 게 낫지는 않나요?
16/03/24 12:45
이미 허리가 약해진 상황인데 주변 근육으로 메운다는 생각을 하다 무리하게 되면 디스크 파열 같은 더 심각한 증세로 악화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괜히 잘못된 지식을 가진 (=전문 지식이 없는) 헬스 트레이너들이 어쭙잖은 근육 강화론을 밀다가 자기들도 허리가 망가져서 절뚝거리는 경우가 있는게 아니죠. 일단 계속 이물감이 있고, 휴식이나 지속적인 물리 치료로 해결되지 않는다면 전문가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다고 여겨지는데요.
16/03/24 12:41
일단 디스크의 정확한 기준을 모르기도 하고, 정형외과에서 디스크는 아닌 거 같다는 소견이 있어서 그렇게 생각했는데요~
사실 뻐근한 느낌만 들어도 디스크 인건가요?
16/03/24 17:42
2월말 증상이 심해졌을때 상황이 디스크에 맞는 증상입니다. 동네 정형외과에서 디스크 아닌것 같다고 한경우에 많은 부분이 디스크 환자니까요
다만 수술이 필요하지 않는 디스크 환자기 때문에 무조건 검사를 꼭하셔야 하는건 아니지만 검사 안한 상태더라도 디스크 환자에 준해서 치료하고 운동하세요
16/03/24 13:25
일단 모든 질병에 있어 병원은 여러곳을 가야합니다.
그리고 공통의견이 나오면 그에대한 치료를 약물이냐 수술이냐 보존치료냐 로 가는거구요. 컴닥터119에서 윈도우 깔아주고 이만원 받는건 그걸 할 수 있는 사람이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의료나 트레이닝이 비싼건 그걸 할 수 있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구요.
16/03/24 17:47
큰 병원가서 mri 찍어보시길 바랍니다.
허리는 한번 잘못되면 고치기도 힘들고 평생 고생입니다. 돈 좀 들고 번거럽더라도 정밀검사 받고 치료 잘 하셔야 됩니다.
16/03/24 21:05
허리통증은 자가로 치료하려다기 보다는 병원을 내원해보세요.
주사요법, 도수치료 카이로프렉틱 등등요 저는 개인적으로 도수치료를 추천해요. X-ray상으로 확인 가능한것은 뼈의 정렬이나 골절유무에요. 실제로 근육의 단축이나 뻣뻣함등을 평가해서 적정 길이로 맞춰주려면 다양한 검사가 필요해요. 병원에 내원해서 좋은 선생님 만나기를 추천드립니다.
16/03/25 00:30
저랑 증상이 비슷하시네요.. 주사도 맞고 mri도 찍었는데 디스크는 괜찮은데 의사 소견이 근육이 수축해서 신경을 누른거 같다나.. 약먹고 그쪽에 주사도 맞아도 약간의 호전만 있고 아직도 아프네요 ㅜ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