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3/13 11:16:36
Name 레너블
Subject [질문] 스타와 바둑중에 어느게 할 줄 아는 사람이 많을까요?
우리나라 사람중에 스타나 바둑중 할 줄 아는 사람이 많은건 뭘까요?

여기서 할줄 안다는건 스타로 치면 음
모든 유닛 뽑을줄 아는 정도고
바둑은 바둑에 나오는 용어들 호구 복기 등등 알고
마지막 집 센다고하나요?  그거 할줄 아는 정도.

당연히 바둑일지 알았는데
제 주변 젊은 사람 기준으로 물었을때 바둑할줄 아는 사람은 거의 없었고 10명중 1명?
스타는 100%

40대 이상 어른들에게 여쭈었을때 바둑 둘 줄 아시는분이 은근 안계시더라고요.

제 주변이 특수한거지 그래도 바둑에 압승이겠죠?
비인기?종목도 아닌거 같고 바둑정도면

아그리고 이영호 선수와 알파고 그거 루머라는말도 있고해서 잘모르겠지만
시청률은 어느쪽이 잘 나올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케르나르
16/03/13 11:19
수정 아이콘
스타일 것 같네요.마흔살 이상은 바둑이 많을 것 같지만서도.
Sgt. Hammer
16/03/13 11:20
수정 아이콘
이거 좀 궁금하네요 흐흐;
테임즈
16/03/13 11:24
수정 아이콘
할줄아는건 스타가 많지 싶은데
시청률은 바둑이 잘나올듯 게임은 공중파중계를 안해주고 결국 온게임넷에서 방송할거같아서
공중파에서 중계하려면 이영호로는 안되고 임요환이 나와야된다봅니다
비야레알
16/03/13 11:40
수정 아이콘
20~40대면 스타죠.
신예terran
16/03/13 11:45
수정 아이콘
스타요. 어른분들도 스타 잘나갈때 한번씩 해보셔서 유닛뽑는법 배우신분들도 많고요.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
16/03/13 11:57
수정 아이콘
국내 한정이면 비등하고 전세계로 보면 스타 아닐까요??
독수리의습격
16/03/13 11:59
수정 아이콘
2-40대면 스타입니다. 처음 스타 나올때 버닝했던 사람들이 이젠 회사로 치면 부장급까지 올라갔죠.....40대 넘어가면 모르겠지만
레너블
16/03/13 12:02
수정 아이콘
전체연령으로 질문드린겁니다.
40대미만은 당연히 스타라 생각해서요.
독수리의습격
16/03/13 12:04
수정 아이콘
아, 전체로 하면 거의 비등할것 같긴 합니다. 근데 의외로 어르신들도 바둑 둘 줄 아는 분이 많이는 없어요.
피오라
16/03/13 12:15
수정 아이콘
의외로 어르신들중에 바둑 못두시는 분들이 많아요. 헌데 제 또래 남자중에 스타 할 줄 모르는 사람은 못봤거든요. 스타 연령대가 바둑보다 좁음을 감안해도 비슷하지 않을까 싶네요.
레모네이드
16/03/13 12:31
수정 아이콘
갤럽리서치에 의하면 바둑을 둘 줄 안다고 답하는 사람은 19세 이상 성인층에서 4명중 1명 꼴이거나 5명 중 1명 꼴입니다. 이 들 중 상당수가 진짜 둘 줄 아는 사람은 아닐거라고 봅니다. 몇 년 전 조사에 의하면 1년간 바둑을 한 판이라도 둬봤다는 사람이 500만명 정도, 그리고 인터넷바둑인구는 250만정도 됩니다. 500만에서 어느 정도 + 하면 그 게 바둑인구가 아닐까 하네요.

스타인구는 할 줄아는 사람까지 다 따지면 진짜 많을 것 같은데요. 2000년 대 초중반 때면 초중고대 남학생들은 한 번 씩은 해보지 않나요?
bemanner
16/03/13 12:44
수정 아이콘
오목 > 스타 = 장기 > 바둑 아닐까요.
카미너스
16/03/13 13:31
수정 아이콘
묘하게도 요즘 배틀넷 접속자 수와 타이젬 접속자 수가 비슷합니다. 2만이 조금 안되는 수준이죠.
바둑 팬 연령대에서는 인터넷 안하는 사람이 더 많기도 하고, 스타 팬사이트에서 의견이 갈리는 걸 보면 바둑이 좀더 많을 것 같네요.
세계로 따지면 정규교육 과정에서 바둑을 가르치는 중국이 있어서..
음란파괴왕
16/03/13 13:43
수정 아이콘
그래도 바둑이 좀 많을 것 같긴 합니다. 고연령층에서 바둑은 거의 국민스포츠급이었어서.
yangjyess
16/03/13 14:42
수정 아이콘
그냥 아는거 말고 정말 즐길만큼 게임 하는 사람만 치면 비슷할거 같네요
플플토
16/03/13 14:59
수정 아이콘
연령층에서 좀 갈릴거 같네요. 30대 부터 아래로는 압도적으로 스타일거고, 60대 이상은 압도적으로 바둑이지 않을까 싶어요. 4~50대는 잘모르겠네요..
합치면 비슷할려나요? 제 또래 남자들은 스타 한번도 안해본사람 찾는게 쉽지 않을 정도던데, 어른신 연령대 바둑위상이 어느정도지는 잘 모르겠네요.
샤르미에티미
16/03/13 19:01
수정 아이콘
다른 질문인데 20~40대는 스타 완승, 60대 이상은 바둑 완승이라고 하면 현 10대는 그래도 아프리카 때문에 스타1 하는 인구가 많을 지
부모가 교육상 바둑 학원 보내는 경우가 있어서 바둑이 많을 지 궁금하네요.
cadenza79
16/03/13 20:56
수정 아이콘
40대 스타크래프트가 더 많다는 데 별로 동감이 안되는데요.
제 주위 40대에는 스타 거의 없습니다.
스타크래프트가 1998년에 출시돼서 5년 정도 유행했다고 보더라도, 지금 40대(1967년~1976년생)가 이건 국민유행이야 하면서 그거 하고 있을 시기는 아닙니다. 한창 취업초년생이거나 취업준비생이었는데 그거 하고 있을 상황 아니었어요. 다수가 하고 있어서 모르면 대화에 끼기 뭐했던 30대 중반 아래라면 이해가 가지만 30대 후반이나 40대는 정말 빠졌다 싶을 정도로 재미붙여야 하는거지 그렇지 않으면 뭔지도 몰라요. 지금도 그게 뭐냐는 친구들도 많은데...

어쨌거나 바둑인구가 500만이라는 위 통계가 맞다면 스타가 거기 비교하긴 좀 어려울 겁니다. 스타야 기껏해야 연령대 범위가 15년 정도인데, 여자도 있고 관심없는 친구들도 있으니 절반까지는 안 될 거고, 많이 잡아줘서 해당 연령대의 30~40% 정도가 하더라도 500만은 안 되겠는데요.

그리고 실제로 하는거와 할 줄 아는 층에는 꽤 큰 차이가 있을 겁니다.. 두 개 다 조금씩은 할 줄 알지만 저도 둘 다 안해본 지 10년 넘었습니다. 시간나면 몸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는 운동 종류를 하지 진짜로 시간 쓰는 게 위주인 게임이나 바둑을 하고 있을 수는 없거든요. 스타 할 줄 아는 40대분들은 요즘 골프 치던데요...
16/03/13 21:44
수정 아이콘
2004년 조사에 바둑둘줄 안다가 - 20대 이상 인구중 20.3%

스타1 국내 판매량을 최저로 잡아도 450만장
16/03/14 11:57
수정 아이콘
당연히 스타라고생각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9670 [질문] 마인크래프트라는 게임 질문있어요! [2] ski~1372 16/03/13 1372
79669 [질문] 알파고 오늘의 1패에 대한 질문 (바둑 질문은 아닙니다) [9] 후메참2747 16/03/13 2747
79668 [질문] 바둑에서 1/4집, 1/8집은 어떤 개념인가요? [5] buon3942 16/03/13 3942
79667 [질문] 미국 공항 환승 도중 캐리어를 놓고 왔습니다. [1] 삭제됨2205 16/03/13 2205
79666 [질문] 윈8.1 프리징 질문입니다. 제발 도와주세요. [4] 성기사1297 16/03/13 1297
79665 [질문] 노래 찾습니다, 추천 부탁드립니다 [1] ComeAgain1044 16/03/13 1044
79664 [질문] 일본어를 애니나 드라마로만 배우신 분 계신가요? [30] 갓지4103 16/03/13 4103
79663 [질문] 바둑 9단한명 vs 9단5명 [10] 에버그린4383 16/03/13 4383
79662 [질문] 아크로벳 프로 PDF 사용 질문 있습니다. [8] 드림1786 16/03/13 1786
79661 [질문] 갑자기 매일 꿈을 꿔서 피곤하네요 [4] 해먹이필요해3100 16/03/13 3100
79660 [질문] 탈모예방이나 치료에 두피마사지 정말 효과있는지요...? [5] nexon2272 16/03/13 2272
79659 [질문] 진료비/급여비 용어 및 의료 통계 관련 질문드립니다. [4] 무료통화5691 16/03/13 5691
79658 [질문] 강아지 키워주실 분 찾습니다. [6] 연애왕스토킹2624 16/03/13 2624
79657 [질문] 이걸 결벽증이라고 해야하나요? 저와 같으신분..?? [8] Kaga2476 16/03/13 2476
79656 [질문] 화이트데이날 초콜릿을 선물하려 합니다. [6] 토폴로지1976 16/03/13 1976
79655 [질문] [프로듀스101] 인기가 굉장한가요? [4] 얼티멧클론2074 16/03/13 2074
79654 [질문] [디아2] 캐릭터 육성방법 질문드려요 [11] 냠냠이3352 16/03/13 3352
79653 [질문] 모니터로 tv를 보고 싶습니다. [2] Dwyane1624 16/03/13 1624
79652 [질문] 요즘 한국에서의 직장문화, 취업난 관련 다큐 추천 받아요 [1] 옥옥1494 16/03/13 1494
79651 [질문] 컴퓨터에 애드웨어가 잠입한 것 같습니다. [4] 2015년10월9일1570 16/03/13 1570
79650 [질문] 스타와 바둑중에 어느게 할 줄 아는 사람이 많을까요? [20] 레너블3135 16/03/13 3135
79649 [질문] 제주도 맛집 멋집 추천부탁드립니다. [25] 이청준3681 16/03/13 3681
79648 [질문] 윈도우용 옛날게임을찾습니다 [3] 시오냥1451 16/03/13 145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