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2/23 17:56
제가 블로그에 tv구매 관한 내용으로 약간 정리한게 있는데 링크 걸어 드립니다.
http://blog.naver.com/bbangsun2222/220632550025 TV는 직접 보는 것도 중요하니까 주말에 하이마트 한번 방문하셔서 제품 보는 것도 추천해 드립니다.
16/02/24 11:10
답변 감사합니다~
지난 주말에 한번 가보긴 했는데, 봐도 워낙 기능이 많다보니 겉으로 보이는 화질말고는 크게 와닿는게 없더라구요. 그래서 각각 기능이나 용어들을 조금은 알고 사야할 것 같아서 이렇게 질문드렸습니다. 추천해주신 링크 잘 읽어보고 좋은 TV 사도록 하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16/02/23 22:03
일단 티비는 눈으로 한 번 보고 오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펙이나 가격으로 몇가지로 축소해서 정하신 후에 매장에 설치된 티비는 전시용 세팅이라서 밝기와 샤픈이 매우 높은 상태이므로 이 모드를 해제해 달라고 하면 집에서 보는 그 밝기와 색이 나옵니다.(매장의 데모영상은 정상 영상이 아닙니다.) FULL HD 티비를 고르시는 경우에는 상향 평준화 된것으로 보이니 큰 차이점이 없을 것이므로 이른바 큰 화면이 가장 큰 고려요소가 될 겁니다. 다만 UHD 티비를 고르는 경우에는 엘지의 경우에는 몇몇 저가형 UHD티비가 리얼 RGB가 아니라 WRGB 패널인 경우가 있는데 이 티비는 매우 평가가 안 좋습니다. 그리고 삼성티비 중에서 저가형은 삼성 패널이 아니라 중국제 패널인 경우가 있습니다. 삼성티비의 상품을 코드로 보는 법은 H는 2014년형, J는 2015년형, K가 2016년형이나 K는 아직 매장에 없을 겁니다. 즉 삼성의 경우에는 지금은 작년 모델입니다. 여기에서 U가 붙으면 UHD 모델입니다. S가 붙으면 SUHD라는 모델 등급이 됩니다. 예를 들어서 UN55HU9000F라는 모델명이 있다면 UN(티비의 삼성내 코드명)55(인치)HU(2014년 UHD모델)9000(천자리 숫자는 등급을 말합니다. 9시리즈, 8시리즈 등등)f라는 모델명을 읽을 수 있게 되죠. UHD라인에서 9는 최고급형, 8은 상급형, 7,6은 보급형입니다. FHD의 경우에는 5,4 모델도 볼 수 있으나 저가형이 됩니다. 스마트 티비 기능은 실제로는 정말 필요없는 기능이나(유투브는 쓸만합니다. 유투브만) 중상급이 넘어가면 없는 티비를 구하는 것이 더 어렵죠. 즉 강제사항입니다. 2015년형중에서 중저가형으로 평가가 좋은 티비는 커뮤니티를 찾아보시면 몇가지 모델명이 나옵니다. 그걸 집중적으로 보시면 됩니다. SANJI님이 링크하신 글에서 크로마 4:4:4를 지원하지 않는 티비의 경우에는 UHD티비를 컴퓨터로 연결해서 보는 경우에 글자의 가독성에서 문제가 생깁니다. HDMI 2.0지원여부는 돌다리를 두들기듯이 확인하셔야 하는 것이며(2014년에는 민감한 문제였죠) HDR의 지원여부가 최근 UHD 티비의 가장 큰 화두이나 2015년형은 엘지나 삼성이나 완벽하게 지원한다고 보기 힘듭니다.(제대로 지원하는 것을 찾아야 한다는 문제가 있죠.) 2016년형부터 제대로 지원한다고 보면 편합니다.(이것도 신경쓰이면 확인해야 합니다.) UHD 티비를 사더라도 대부분의 경우에는 FHD영상을 보게 되므로 업스케일링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지 공중파를 보여달라도 하면 판단할 수 있습니다. 상급기종의 경우에는 사운드바가 없는 순수한 사운드출력의 경우에는 엘지가 삼성보다 좋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삼성은 자체 스피커이고 엘지는 하만카돈이죠. 뭐가 되었던 삼성은 음향부분의 평가는 좋은 평가는 아닙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엘지의 경우에는 OLED를 구입하는 경우에는 신중하게 보시고 엘지에서 LCD를 고르는 경우에는 반드시 블랙이 어떤 식으로 구현되는지를 평가하셔야 합니다. 삼성이 엘지보다 LCD티비의 경우에는 블랙의 표현이 좋습니다. 이것때문에 엘지를 사지 않는 사람도 있습니다. 검은색이 뜨거든요. 커브드 화면은 55인치라도 쓸모없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UHD는 최소 60인치급이 되어야 한다는 평가도 있죠. 커브드 모델은 화면의 균일도가 평면보다 떨어집니다.
16/02/24 11:18
와우!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써주신 댓글만 봐도 어느정도 감이 오는 것 같습니다. 지난 주말에 마트에 가서 티비는 보고 와서 화질과 가격에 대한 부분은 어느 정도 범위를 좁혔는데, 말씀해주신 내용들에 대해서 자세히 알지 못해서 고민이 많았습니다. 지금 검토해본 TV가 삼성 UN50JU6800F 모델이였는데 말씀해주신대로 보면 50인치 / 2015년형 / UHD / 6시리즈(보급형) 이 되겠네요. 가격은 100만원 초반입니다. 혹시라도 이 댓글을 보신다면 비슷한 스펙에서 더 추천해주실만한게 있으신가요??
16/02/24 15:26
저도 추천하나 해주세요...
티비 보는 거리는 5m정도 되구요. 60인치 정도 생각하고있는데 특별한 기능은 필요없이 순수 tv시청 용도입니다. 가끔 usb에 영화 담아서 볼수도 있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