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9/06 16:48
사백신입니다. 엄마들 그냥 병원가서 다 사백신 맞는다고 하네요.
저는 아무생각 없이 아이 돌지나고 보건소가서 생백신 맞았는데.....왜 그랬나 합니다. 아내한테 등짝스매쉬를 아주짝짝 두들겨 맞았습니다. 어그러고보니 한번은 언제 맞아야 되더라.. ㅠ_ㅠ
18/09/06 23:34
(수정됨) 예방접종을 맞는 이유는 성공적인 면역을 얻기 위해서입니다. 예방접종 스케쥴을 완료했을 때 현재 면역 획득에 차이는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5회보다는 2회가 접종 완료가 빠르고, 빼먹을 우려도 적습니다. 그 다음 생각할 것이 부작용 차이인데 큰 차이는 없습니다. 이제 남은 것이 가격인데 1회 7만원, 다음 해 2회째 7만원이라 2년 간 14만원이라 부담되는 수준은 아닙니다. 종류는 아래와 같이 4종류가 있습니다. 국가예방접종(무료) : 5번 맞는 사백신(쥐 뇌조직 배양, 국산 / 베로세포 배양, 국산), 2번 맞는 생백신(햄스터 신장세포 배양, 중국산, WHO 승인) 유료접종: 2번 맞는 생백신(베로세포 배양, 프랑스산, WHO 승인) WHO에서는 베로세포 배양 방식을 권장하고 있고, 일본뇌염은 생백신만 사전적격심사 승인해줬습니다. 이 둘에 다 해당하는 것이 유료접종(이모젭)입니다. 저희 딸은 제가 근무하던 병원이라 원가에 접종해서 비용 부담이 없던 터라 이모젭 맞췄습니다.
18/09/07 08:15
대부분의 백신이 비슷한데,
생백신 : 면역 형성이 비교적 확실함 대신 타백신과 동반접종이나 다른질환이 있을 경우 좀 복잡함 사백신 : 면역 형성은 큰 차이가 안나는 대신 사용이 편리 그런데 두 백신의 차이는 정말 미미해서 그냥 편하게 맞추시면 됩니다.
18/09/07 10:20
개인적으로는 사백신을 권장합니다. 생백신은 접종 전후 + 타 백신과 동시 접종시 이것저것 고려해야 할 점들이 꽤 있는 편이라...
다만 위에 타임레스님 말씀 중에 중요한 점이 생백신은 2번만 맞춰도 된다는게 엄마들에게는 무시 못할 큰 장점이긴 하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