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8/31 18:53
이건 너무 천차 만별이예요. 분유만해도 2만원짜리부터 5만원짜리도 많이들 사용하는데 어떤 걸 사용하느냐에 따라 돈이 2배가 넘게 드니깐요.
육아 때문에 더 필요한 금액은 수십만원 수준일 수 지만, 경제적 문제가 생기는건 보통 육아때문에 맞벌이를 못하거나, 또는 맞벌이를 위해 시터를 쓸때 그 비용시 백만원 이상으로 드는게 문제죠
18/08/31 19:00
케바케죠. 개월수에 따라서도 틀리고 부모의 소득과 욕심에 따라 결정되는 부분도 워낙 커서...
최소 한달에 20~100만원? 정도? 되려나요. 물론 애낳고 집에서 키우는경우 정부에서 20만원인가 돈이 계속 나옵니다. 그런데 그걸론 진짜 분유값+기저귀값내면 끝나는 수준이니까요. 각종 옷, 육아용품, 등등 돈쓰려고하면 무궁무진합니다 크크
18/08/31 19:50
아기일 때는 뭐 그리 많이 안들어갑니다. 물론 어떻게 키우냐에 따라 비용은 천차만별이지만요.
분유 비싼거 먹여도 어차피 아기 때는 먹는 양이 많지 않구요. 아이용 과자라든지 간식류는 대형마트 자주 다니다보면 1+1 행사나 할인행사 잘 포착해서 그때 많이 비축해놓으세요. 영유아일 때는 국가, 지자체에서 돈도 주고 쿠폰도 주고 그래서 부담이 적습니다. 다만 애가 커서 어디 다니기 시작하면(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학원 등) 비용이 엄청 커지지요.
18/08/31 20:19
http://slfamily.scourt.go.kr/dcboard/new/DcNewsViewAction.work?seqnum=652&gubun=41
2017 가정법원 양육비산정기준표입니다.. 부모합산소득이 0~199만원일 때 기준이 한달에 532,000원입니다.
18/08/31 22:39
한사람이 일을 못하니 그사람 월급 빼고 시작하는데
거기서 돈이 추가로 더들어가니 힘들죠... 정말 복지가 좋아서 육아휴직 돌아가면서 두분이 다쓰고 그후에 부모님이 육아 해주시는거면 모르겠는데 그게 현실적이지가 않다보니...
18/09/01 02:40
보통 육아라고 했을때 일반적으로 상상하시는 분유나 기저귀는 그렇게 많이 들지는 않습니다. 아기마다, 분유마다, 기저귀마다 다르지만 양육수당 내에서 다 되지요. 하지만 분유를 먹이려고할 때, 보통 분유포트, 젖병소독기, 젖병, 젖꼭지, 젖병 꽂이, 젖병 세제, 젖병 세척솔 등이 필요하고, 젖병과 젖꼭지는 아이의 성장에 맞춰서 교체해줘야하고. 이런 부수적인게 돈이 꽤 들어요. 이유식을 들어가게 될때도, 마스터기나 냄비나 밥솥이나 죽제조기 등을 한개에서 여러개를 사게되구요. 도마, 칼, 스푼, 이유식 용기, 조리도구 등도 사야하구요. 재료비도 엄청납니다. 아기꺼라고 무항생제 한우에, 오가닉 재료로만 하니 양은 적어도, 어른 식비 못지 않게 되지요. 간식도 좋은 것만 먹어요.
거기에 장난감, 옷, 신발 등을 성장에 맞춰 사고, 거실에 매트 도배를 하고, 식탁의자, 유모차, 카시트 등도 한번씩 사게 되죠. 그러다보니 돈이 적게 든 달은 10~20 정도 일때도 있고, 많이 들 때는 수 백만원도 들어 갈 때가 있어요.
18/09/01 08:51
근데 솔직히 돈이 얼마나 들어가는지 신경 쓰지 못할 정도로 체력적으로 힘듭니다. 저는 그냥 통장 잔고 기준으로 생각하곤 합니다.
18/09/01 09:07
부모가 넣을 수 있을만큼 들어갑니다는 말이 정답이네요;;
먹는거 입히는거 장난감 교보재 여비 교통비 등등 생활수준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