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24 10:05:38
Name 카페알파
Subject [질문] 제가 쓸데없이 좀 예민한 것 같긴 한데, 그래도 질문드려 봅니다. (수정됨)
안녕하세요.

제가 필요 이상으로 예민한 것 같기는 한데, 그래도 질문드려 봅니다.

다름이 아니라 조만간 노트북 컴퓨터나 컴퓨터를 구입하게 될 것 같은데(컴퓨터는 부품을 구입할 겁니다.), 인터넷 주문을 할 겁니다. 근데, 요사이같이 푹푹 찌는 살인적 더위가 기승을 부릴 때 인터넷 택배 주문을 해도 괜찮을까요? 물론 짐 싣는 칸은 사람 타는 칸과는 달라 창문도 없고 해서 승용차나 하여튼 사람이 타는 장소에 비해 조금은 온도가 덜 올라 가는 것으로 알고 있기는 한데....... 그래도 이 정도 더위면 온도가 꽤 오를 것 같거든요. 이런 경우 부품이나 뭐 이런 쪽으로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싶어서요...... 아니면 예를 들어 비디오 카드의 경우 100도 가까운 온도도 견디고 다른 부품들도 이에 준하는 정도까지는 견디니 전원만 들어오지 않은 상태라면 별 문제는 없는 건지요?

결론은 이런게 밖의 온도가 높이 올라가는 요즘 컴퓨터나 컴퓨터 부품을 인터넷 택배로 받아도 별 문제가 없을지, 아니면 폭염이 조금은 가라앉을 때까지 기다리는게 현명할지 질문드려 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정지연
18/07/24 10:15
수정 아이콘
가동중인 CPU 온도가 지금 기온보다 더 뜨겁긴 합니다만.. 본인이 불안하면 안 사는게 맞겠죠..
사실 그런 문제에 대해 아무 신경을 쓰지는 않기만 살 사람이 이미 날씨문제에 꽂힌듯 한데 괜히 사고 고장이라도 나서 이런 날씨에 물건을 산 자신에게 자책을 하는 것보단 급한거 아니면 천천히 사도 괜찮겠죠..
그래도 당장 사야겠고 더운 날씨에 귀중한 노트북이 혹시나 고장 날까봐 전전긍긍하며 며칠을 보내지 말고 현장 수령이 가능한지 확인해 보시고 본인이 직접 받으러 다녀오는게 좋을거 같고요..
이렇게 말하는 와중에도 하루에 수백, 수천대의 노트북이 택배차에 실려서 어디론가 가고 있을겁니다.. 그중에 배송중에 떨어뜨려서 고장날 확률이 날씨때문에 고장날 확률보다 수만배는 높다고 보이긴 합니다..
18/07/24 10:16
수정 아이콘
결론 ㅡ 문제없다
자연스러운
18/07/24 10:17
수정 아이콘
택배차 아니라도 화물 물류차에 실려서 공장에서 항구로 항구에서 창고로 창고에서 가게로 이동하겠죠. 그땐 뭐 설마 쿨러달린 화물차를 쓸까요? 식품도 아닌데.
18/07/24 10:18
수정 아이콘
결론 ㅡ 문제없다 (2)
18/07/24 10:21
수정 아이콘
겨울버전입니다. 히힛
https://pgr21.com/?b=26&n=115328
스푸키바나나
18/07/24 10:26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F.Nietzsche
18/07/24 15:41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킄크크
스콩어
18/07/24 10:28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캡틴아메리카
18/07/24 10:31
수정 아이콘
킄킄킄킄킄킄
18/07/24 10:31
수정 아이콘
크킄크크 예민함 인정합니다
18/07/24 10:32
수정 아이콘
봄 가을에는 너무 건조해서 걱정하실 분인듯 ..
정지연
18/07/24 10:38
수정 아이콘
그냥 인터넷 쇼핑을 하면 안될듯...
18/07/24 10:56
수정 아이콘
이정도 예민함이면 인정해야할듯..
18/07/24 10:59
수정 아이콘
와우 크크크크크 세상엔 다양한 사람들이 많군요..
도토루
18/07/24 11:19
수정 아이콘
아놔... 누가 겨울 버전을 올렸지? 했는데 크크크크크크크
18/07/24 12:43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By Your Side
18/07/24 13:54
수정 아이콘
개웃기네요 크크크
웨인루구니
18/07/24 14:10
수정 아이콘
핵 웃기네요 크크크크킄크크크크킄
18/07/24 15:08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근래 본 것 중에 제일 터지네요 크크
초코궁디
18/07/24 10:23
수정 아이콘
인도네시아에 반도체 생산공장들 많습니다... 걔들이 거기서 출고할 때 냉각차 쓰겠습니까....
18/07/24 10:23
수정 아이콘
사실 배송중 더위로 인해 문제가 생길가능성보다 양품이 아닐 가능성이 더 높지않을까 싶네요.
18/07/24 10: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혀 문제없어요. 저 요즘 퇴근할때 회사노트북 차안트렁크에 하루종일 넣어두는데 다음날 멀쩡하게 사용가능합니다.
18/07/24 10:31
수정 아이콘
배송중에 떨어뜨려서 고장날 확률>>>>>>>>>>>>>>>>>>>>>>>>>>>>>>>>>>>>>>>>>>>>>>>>>>>>>>>>>>>>>>폭염때문에 고장날 확률

정 불안하면 그냥 결재해놓고 본인이 수령하러 가세요
18/07/24 10:41
수정 아이콘
배송 파손 문제를 걱정하면 걱정했지 폭염 문제는 걱정이 없어보입니다. 왠만한 제조사 완제품은 전원 킨 상태에서 저온 고온 테스트도 하는데요 출고 상태에서 온도 조금 오른다고 문제 생기지 않습니다.
ThisisZero
18/07/24 10:42
수정 아이콘
사실 그런것보다는 배송 자체를 걱정하시는 게 더...
전에 다니던 회사 컴퓨터는 항상 택배로 받았는데 뭐 하나가 뽑혀있어서 (주로 그래픽카드, 가끔 SSD)
일단 받으면 케이스부터 까서 확인하고 배치하는게 일상이었네요 크크
18/07/24 10:45
수정 아이콘
요즘 나오는 노트북이나 핸드폰 같은 기기들 생각하는 것보다 많이 튼튼해요. 쉽게 고장 안납니다. 고의로 몇번 던져도 멀쩡할 정도로 만들어 놨습니다. 물론 단단함 말고 온습도나 그런 부분에서도요.
새벽포도
18/07/24 10:57
수정 아이콘
배송 중 발생한 문제는 교환 가능하니 염려놓으세요.
카페알파
18/07/24 10: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작성자 입니다. 제가 일반적인 경우는 이래도 흥, 저래도 흥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가끔 몇 가지 꽂히는 것에만 (쓸데없이) 예민해 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쳐야 하는데, 잘 안 되네요. 하긴, 택배로 정말 문제가 될 정도라면 판매업체에서 공고를 하겠지요.

....... 몇몇 분, 지금 '이 인간, 병원 가야 되는 것 아냐?' 하는 생각 하고 계시지요? 아직 (다행히(?)) 그 정도는 아니랍니다.

뭐, 어쨌든 조만간 노트북이든, 컴퓨터든, 혹은 둘 다든 구입하게 될 것 같으니 그 때 또 조언 부탁글 올리겠습니다.
링크의전설
18/07/24 14:20
수정 아이콘
그 정도는 아니고 그냥 귀여우십니다 크크
아마데
18/07/24 15:23
수정 아이콘
이상한 정도는 아니니까 걱정 마세요

그냥 겨울버전도 쓰신게 재밌어서 크크크크
arq.Gstar
18/07/24 16:55
수정 아이콘
스스로 안좋게 생각하실까봐 적습니다만..
인간관계나 일상생활에서는 이정도로 예민하면 지장이 없을순 없겠지만 그렇다고 아주 특이한 케이스도 아닙니다.
제가 아는 사람중 한명은 부동산 아저씨가 같이 방 보러 다니다가 헤코지 할까봐, 중개업소에 같이 가자는 친구도 있었으니까요.
(심지어 저는 취직 면접 1주일 전이었는데..-_-)

어떤 일을 할때에는 이정도로 디테일하게 신경쓰는 스타일이 대체적으론 남들로부터 '완벽하게 일한다' 라는 얘기를 듣곤 합니다.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18/07/24 17:16
수정 아이콘
본문도 그렇고 "....... 몇몇 분, 지금 '이 인간, 병원 가야 되는 것 아냐?' 하는 생각 하고 계시지요? 아직 (다행히(?)) 그 정도는 아니랍니다. " 를 보면 예민하신 건 맞는 거 같아요. 하지만 그게 뭐 잘못인 것도 아니고, 실제로 저렇게 생각하고 있을 사람은 거의 없을거에요~
18/07/24 11:47
수정 아이콘
그리고 요새 차 안 내부온도가 이슈가 된건 유리창으로 햇빛이 직빵으로 들어와서 그런건데, 택배차는 화물칸이 빛이 완전히 차단되어 있어서 걱정할 만큼 온도가 많이 올라가진 않지 않을까요?
18/07/24 12:46
수정 아이콘
(사실 어느 부품이든 마찬가지긴 한데) 컴퓨터 부품 스펙을 보면 작동시 허용온도/습도 범위가 있고, 비작동시 허용온도/습도 범위도 있습니다. 보통 TJ라고 표기하고 대체로 비작동시 허용범위가 작동시 허용범위보다 넓습니다만, 구체적인 수치는 부품마다 그리고 모델마다 천차만별입니다. 그런데 애초에 제조사에서 말하는 허용온도 범위라는 것 자체가 절대적인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비작동시 허용온도 범위가 섭씨 0-50도인 부품을 섭씨 55도에 하루 놔뒀다고 바로 고장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사실 한 3년쯤 놔둬도 고장이 안 나는 것이 보통입니다. 아예 아무 일도 없는 것은 아니라서 일반적으로 고장의 확률이 약간 상승하긴 합니다만, 이것도 크게 의미가 없는 수준입니다.

예를 들어서 HDD를 살펴보면, HDD의 작동시 허용온도는 보통 0-60도 혹은 0-70도 같은 식이고 비작동 범위는 이보다 조금 더 넓은데, 실제로는 작동시 온도가 60도는 커녕 30도만 넘어가도 고장확률이 관측가능할만큼 증가하는 것이 보통이고, 반대로 20도 아래로 내려가도 고장확률이 높아집니다(구체적인 온도 범위는 모델마다 다름). 즉 온도범위 내라고 해서 안전한 것도 아닙니다. 다만 여기서 확률증가라는 것이 1년 내내 24시간 동안 꾸준하게 부하를 걸었을 때 25도에서는 1,000개 중 9개가 죽지만 35도에서는 15개가 죽는다 같은 차원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상시 풀로드가 걸리는 HDD를 적어도 수만개 이상은 운용하는 분에게나 의미가 있는 이야기이고, 끽해야 10-20개를 운용하는 분에게는 크게 의미가 없는, 그리고 1-2개 붙인 PC를 가끔 사용하시는 분에겐 거의 아무 의미도 없는 이야기입니다.

물론 허용온도 바운더리는 애초에 드라마틱한 확률변화가 생기는 영역을 기점으로 설정되는 것이니 그걸 넘으면 상대적으로 큰 폭의 변화가 나타나긴 하지만, 역시 비작동온도 범위를 10-20도쯤 넘어간 환경에 일시적으로 노출되었다고 해서 1년 고장확률이 0.02에서 0.8로 수직상승하는 식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은 아닌데다, 비작동 온도 범위가 좁으면서(예컨대 여름철 혹은 겨울철 운반시 무조건 벗어날만한 0-40도) 온도에 매우 민감해서 그 범위를 벗어나면 매우 높은 확률로 고장나는 물건은 애초에 대중화가 안 되니까(여름/겨울에 물건 산 사람은 다 고장난걸 받게 되는 물건은 팔아먹을 수가 없죠), 차량 내부 온도 정도는 대중적인 물건에서는 크게 우려할만한 요소가 못 됩니다. 설사 그런 부품이라 하더라도 처음부터 맛이 간 상태로 오거나 금방 맛이 가면 바꿔주는 것이 당연하니 실질적으로는 별 의미가 없고요.
18/07/24 13:14
수정 아이콘
제목 그대로 쓸데없이 예민하시네요.
18/07/24 13:39
수정 아이콘
날카롭게 쓰려는건 아닌데, 그렇게 신경쓰이시면 하루 날잡아서 직접 받아오시는편이 낫지 않을까요?

그리고 그런 식의 걱정이라면, 꼭 주문 후 배송뿐만 아니라 주문 전에 판매점? 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도 문제가 있을수 있었을텐데, 이러다보면 아예 직접 만드시는거 말곤 답이 없으실꺼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2716 [질문] Usenet.nl 사이트 결제 취소 방법 [2] 모나크모나크10545 18/07/24 10545
122715 [질문] 제가 쓸데없이 좀 예민한 것 같긴 한데, 그래도 질문드려 봅니다. [36] 카페알파5511 18/07/24 5511
122714 [질문] 게임사로부터 납득할수 없는 이유로 계정을 블락 당했습니다. [18] 미하라7118 18/07/24 7118
122713 [질문] 3DS 게임 질문 [6] 비연회상1894 18/07/24 1894
122712 [질문] 자영업 수를 줄이는방안은 없을까요? [9] 꿀잼 티모3007 18/07/24 3007
122711 [질문] 10월 해외여행지 추천부탁드립니다.! [6] 럼블2519 18/07/24 2519
122710 [질문] 체중과 머리카락이 관련이 있나요? [6] Lighthouse2376 18/07/24 2376
122709 [질문] 몸(근육) 키우기 식단 관련 질문입니다. [10] 로랑보두앵2406 18/07/24 2406
122708 [질문] 어머니가 휴대폰 영업당하신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10] ...And justice3077 18/07/24 3077
122707 [질문] 벌레질문 - 이벌레는 무엇일까요? [6] 자연스러운2248 18/07/24 2248
122706 [질문] 현실(?)에서도 프로듀스48 얘기 하나요?? [20] 장바구니2574 18/07/24 2574
122705 [질문] 피지알 스크린샷 첨부할때 어느사이트 쓰시나요? [4] 라라 안티포바1861 18/07/24 1861
122704 [질문] 인천공항 아침 7시 비행기라 전날가서 숙소에서 1박하려고 합니다. [13] 마스쿼레이드2908 18/07/23 2908
122703 [질문] 롤챔스 경기 추천부탁드려요 [5] 삭제됨1551 18/07/23 1551
122702 [질문] 자동차 구매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12] KID A2680 18/07/23 2680
122701 [질문] 육아선배님들. 애기 울음 질문 드려요 [11] 젤리베어2047 18/07/23 2047
122700 [질문] 현재 사용하는 전력량을 알 수 있는 기계가 어떤 것인가요? [6] 홍승식2137 18/07/23 2137
122699 [질문] 롤 듀오 해보실분 계신가요? wiggle1499 18/07/23 1499
122698 [질문] 컴퓨터 견적 및 호환 괜찮을까요? [9] JIRO3164 18/07/23 3164
122697 [삭제예정] pdf 질문입니다. [3] 마제스티2324 18/07/23 2324
122696 [질문] 헬스....통증 질문 ㅠㅠ [9] 현직백수2233 18/07/23 2233
122695 [질문] PGR 댓글에 십자표시 질문입니다. [5] 귀연태연2369 18/07/23 2369
122694 [질문] 영어 한 문장 해석 부탁드릴게요 [5] 미사모쯔1559 18/07/23 15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