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7/24 09:27
요즘 모바일 게임에서 구글 다이렉트 환불은 거의 무조건 영정으로 알고있습니다.
구매를 실수하셨을때 환불절차를 구글이 아니라 게임사에 문의하셨어야...
18/07/24 09:56
2번 자체가 영정 사유라서.. 이 정지 처리가 구글 측에서 사람이 수동으로 처리 하는 게 아니라요. 구글이 구축한 시스템이 하는거라서 감지하고 알아서 정보 넘기고 금방 처리되죠.. 그래서 정지가 되신 것 같습니다. 반대로 게임내 문의 처리같은 경우에 게임사가 고용한 사람이 처리하다보니 피드백 절차가 상대적으로 많이 느린 편입니다. 여기서 좀 짜증이 나셨겠네요. 모바일 게임이라는게 이용자도 많고 그래서.. 일단 계정의 정지를 풀 수는 있겠으나 마지막으로 언급하신 게임사에 빅엿을 날리고 싶어하시는 마음을 해소하기는 어려워보입니다.
18/07/24 10:11
적법한 사유라는 근거가 무엇인지 알수 있을까요?
1. 게임내 약관을 다시 봐도 해당항목에 대한 제제내용은 언급없음. 2. 구글을 통한 환불하는 행위 자체는 제도적으로 불법이 아님. 애초에 그게 불법이면 결제수단으로 구글 스토어가 존재하는것 자체가 모순. 3. 결제해서 얻은 재화 그대로 남아있어서 회수가 불가능하거나 결제항목이 철회불가 상품의 경우도 아니라 얼마든지 회수가 가능한 상황. 애초에 모바일게임에서 돈을 소비 한다는것은 성장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비용과도 같은데 오히려 저런 이유들로 계정을 정지당해 그동안에 누적된 손해는 바로 재화를 회수해가지 못한 게임사보다 제가 더 큰 상황이라 제때 재화를 회수해가지 못한 게임사보다 피해도 제가 더 큰 상황이구요.
18/07/24 10:05
요즘은 거의 다 환불하면 블럭합니다. 게임사를 통한 환불은 괜찮은데, 구글이나 애플을 통한 환불은
바로 블럭이에요. 과거에 악성 유저들이 게임 시작하고 수백~수천을 질러놓고 바로 환불처리하거나, 환불처리하는 기간 동안 재화를 타 유저에게 팔아치우는 등의 행동으로 인해, 마켓에서 아예 그리 하게 됐습니다. 이건 게임사 욕을 하실 게 아니라, 구글을 욕하셔야할 문제 같네요
18/07/24 10:19
아뇨. 저는 게임사를 욕하는 이유가 말씀하신 악성유저와 정상적인 유저는 결제했던 재화를 회수 가능하냐의 여부로 충분히 판별할수 있다고 보거든요.
어차피 플레이어의 게임기록은 데이터베이스에 남아있고 그것을 근거로 회수 가능여부를 판별해서 이사람이 악성유저다, 아니다를 판단해서 제재를 가하면 될일인데 무차별적으로 정지를 시키는게 문제라고 지적을 하는거구요. 구글이 제 계정을 정지시킨거라면 구글을 욕하는게 맞겠지만 제 계정을 정지시킨건 게임사 측이니 게임사를 비판하는겁니다.
18/07/24 11:02
그 판별과정은 다른분들이 설명하셨듯이 일부 인력이 항의 들어오면 일일히 검수하는 식이라 늦어지거나 안 하거나 그럴 것이지만
만약 미하라님이 게임사 쪽이랑 연락해서 환불조치를 한 게 아니라, 구글스토어 상에서 환불 조치를 취한 것이라면 그건 게임사가 아니라 구글이 블럭먹이는 겁니다. 그러니 구글탓이죠. 대부분의 게임사가 고객서비스 센터가 유저 수 대비 미비하고 그래서 일처리가 늦거나 안 하는 것도 문제지만요
18/07/24 10:25
3. 그런데 환불처리가 되었음에도 구입했던 재화가 회수가 되지 않아 게임내 고객센터에 문의를 넣어서 회수해 갈것을 요청했습니다.
제가 모바일게임은 하지 않아 이 글에 있는 정보만을 가지고 판단한다면 여기가 제일 중요한 부분 아닌가요? 이용자가 구매했던 재화를 소비/거래 했다면 제재하는 것이 당연하겠지만 이 경우엔 정상적인 플레이를 위하여 자진해서 게임사에 회수를 요청한 상황인데 이게 어떻게 정당한 조치라는 것인지 모르겠네요
18/07/24 10:38
해당 문제는 일직선으로 처리되지 않습니다. 환불 인식 -> 영구정지 요청은 구글 쪽에서 진행합니다.(정확히는 자동화 된 시스템이 감지해서 알아서 처리합니다) 돈이야 구글이 받았다가 게임사 쪽으로 다시 주는 것이기에 유저가 구글측에 환불 요청하면 구글은 그냥 돈 바로 돌려줍니다만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바로 정지 루틴이 돌아갑니다. 이 과정에서 게임사는 해당 상황에대해 인지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구글처럼 처리과정이 전문화 되지도 않았고 사람이 하나하나 피드백을 해주는 식이라서요. 또 작성자님이 답답한 부분이 빨리 정지를 왜 안 풀어주느냐 하는 것인데 이를 처리함에도 게임사 단독으로 하는 게 아니라 해당 문제에대해 파악을 해야 가능할 겁니다. 그냥 시스템 상으로 안좋게 얻어 걸리신거죠.. 이게 정당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18/07/24 18:21
게임사에서 직접 빌링된 내역을 구글로부터 확인할수가 없어서, 즉 구글에서 유저가 결제를 할때 정보를 게임사로 직접 제공하지 않는 부분이다보니 시간차 딜레이 및 환불 여부를 알수가 없는 구조이기는 합니다.
최근 구글스토어에서 게임회사랑 이부분관련해서 프로세스 많이 개선하기는 하였습니다. 구글쪽을 통해서 직접 환불처리하는 경우 게임사는 이 정보를 받기까지 오랜 시일이 걸리고 다음 자금 결제일때 파악이 되어 이미 구입한 아이템 환수 할려고 해도 늦거나 다 소모된 상태라 별의미가 없죠. 이걸 환불 악용으로 보는 경우가 많고요. 가챠 게임같은 경우 100만원 질러서 원하는 카드 안나오면 환불 하거나 적당히놀다가 빠지는 경우도 많고 유저는 그냥 접어 버리면 그만인지라 회사들이 민감해 합니다. 그래서 한번이라도 이렇게 되면 그냥 영구 계정제재 걸어 버리는거죠. 계속 개선되어야 되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18/07/24 13:29
작성자님 사례는 안타깝습니다만..
아무래도 악성유저들이 시스템을 악용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해당 조치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건 게임 유저로써 반가운 일이네요. 다만 작성자님처럼 정당한 사유로 다시 게임 복귀를 원하시는 분은 내역확인해서 게임사에서 빨리 처리를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18/07/24 18:57
납득할 수 없는 이유가 아닌 것 같은데요?
계정 블록은 애플/구글측에서 진행하는 것이고, 게임사측에서는 작성자님께서 말씀하신 부분에 대해 내부 확인 및 구글 스토어와 확인, 확인된 후 계정 블록 정지 해제 요청을 할테고, 해제 요청 접수 후 구글 플레이에서 블록 계정 해제를 시킬 것 같은데요. 상기 프로세스가 2달, 3달씩 걸린다면 당연히 문제가 되겠지만, 몇일, 때에 따라서는 구글 스토어/해당 게임사 유관부서 업무량에 따라 일주일이 넘게도 시간이 소요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직까지도 계정 정지 상태"라 말씀하셨는데, 현재까지 계정 정지 후 지체, 소요된 시간이 얼마나 되시나요?
18/07/24 21:46
그러니까 환불 자체가 불법이면 아예 구글 스토어 자체에서 환불을 허용하지를 말던가 해야지 합법적으로 환불경로를 제공해놓고 그 경로를 통해 환불을 진행하면 블락시키는게 대체 뭐하자는 짓이냐는 이야기인거죠.
유저가 구글 스토어에서 자체환불 받는게 애초에 불법이면 그 불법 환불경로를 제공하는 구글 스토어를 모바일 게임들이 결제수단으로 삼는것 자체가 코미디같은 일이구요. 대체 어떤 정상적인 회사가 불법을 용인하는 회사를 자신들의 결제수단으로 사용합니까? 공식적으로 불법이 아닌 경로로 빠르게 환불처리를 할수있는 수단이 있다면 유저 입장에선 당연히 그쪽을 선호해서 일처리를 하는건 자연스러운 현상이고 해당 유저가 구입한 재화를 반환하고 돈을 돌려받을 목적인지, 구입한 재화를 소비하고 악의적으로 돈을 삥뜯을 목적인지는 데이터베이스를 보고 판단해서 합법적으로 처리할 문제를 죄다 환불받은 유저들을 잠재적 사기꾼 취급하고 무조건 블락부터 먹이는게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계정 정지후 소요된 시간이 왜 궁금하신지는 모르겠는데 그 블락먹은 시간이 불과 10분이어도 바로 블락 먹이는 대처는 전혀 합리적이지 않습니다. 시간의 길고 짧음의 문제가 아니라 왜 처음부터 유저를 사기꾼 취급하고 제재를 가해서 유저에게 인게임상의 피해를 입히냐는게 요지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