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7/15 16:31
(수정됨) 텔레비전들이요, 생각보다 패널 차이는 별로 없습니다.
중국 저가형 회사나, 최고급 럭셔리 브랜드나 LGD 패널 갖다 쓰거든요. 그런데 실제로 나란히 놓고 보면 비싼 제품들이 더 낫습니다. 왜냐면 내장하고 있는 이미지 프로세싱 IC의 성능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똑같은 패널을 가지고도 영상의 품질은 전혀 달라요. 좋은 이미지 프로세서를 쓰면 어떤 점이 장점이 되는가 하면... 1. 원본 소스가 HD, FHD이더라도 UHD 패널에 맞게 업스케일링해서 출력하는데, 이 때에 비어있는 픽셀을 어떻게 채우느냐에 따라서 더 자연스럽고 선명한 영상을 보여주게 됩니다. 2. 소스에 존재하지 않는 중간 프레임도 보간 알고리즘을 통해서 만들어주기 때문에 훨씬 부드러운 움직임을 보여주게 됩니다. 3. HDR 소스가 아닌 영상에서도 패널의 HDR 기능을 쓸 수 있도록 해 줍니다. 이 때문에 저가형 모니터가 아닌 이상에야 패널만 가지고 따지는 건 그렇게 의미가 없습니다. 패널 성능보다 내장된 하드웨어 이미지 프로세서가 체감되는 이미지 품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죠. 75인치 QLED면 아마 삼성 제품이겠네요. (사실 QLED는 마케팅 용어고 진짜 LED 패널은 아닙니다만) 삼성 2018년형 QLED 같은 경우 딥 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이미지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LG 최신형도 그럴 겁니다) 기존 제품에 비해서 업스케일링 품질이 크게 올라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굳이 필요없는 것 아닌가? 라고 하셨는데요. 일단 이미지 프로세서가 좋은 녀석이라 지금 사도 차이는 체감하실 수 있을 거고요. (일반 채널에서도요) 최근 텔레비전은 한 번 사면 거의 10년을 쓰는 제품입니다. 당장 UHD 채널이 3개밖에 없다고 하더라도 앞으로 3,4년 뒤에도 3개는 아니겠죠. 계속 늘어날 것입니다. 좋은 걸 사서 오래 쓰는 대신, 일단 싼 걸 사고 3,4년마다 바꾸는 것도 전략일 수는 있습니다. 어느 쪽이 좋을 거다라고는 말씀드리기 어렵네요. 앞으로 TV 발전속도가 얼마나 빠를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다만 가전업계도 속도조절을 하겠죠. 3,4년 후의 미드레인지가 현재의 하이엔드보다 성능이 낫다면 하이엔드급이 안 팔릴테니까요. 감안해서 선택하세요.
18/07/16 10:49
(수정됨) QLED 살 돈으로 OLED 사세요. 화질 차이가 넘.사.벽 입니다. 패널 태생이 달라서 정말로 넘을 수 없는 벽이 있어요. 위에 프로피씨아 님 말씀하시는 패널 차이 별로 없다는 건 일반 LED 패널 이내에서 이야기이고, 맞는 이야기입니다. OLED 는 다른 패널이고요. 삼성 QLED 가 프리미엄 이미지 포기 못 해서 LG OLED 와 가격대를 비슷하게 맞춰놓은 거고, 화질 차이, 특히 어두울 때 어두운 화면 볼 때는 도저히 비교할 수 없는 차이가 있습니다. 위에도 말씀드렸지만 패널 태생적인 차이를 어쩔 수가 없어요.
18/07/17 09:16
지금 qled는 돈낭비에요
75인치 uhd가 가성비상 제일 좋구요, 화질을 위해서라면 돈 조금 더 들여서 75인치 LG OLED 사세요. QLED는 LED와 화질로 그닥 다르지 않아요. 다만 실제로는 QLED가 좀더 좋아보이는데, 그건 QLED라서 좋은게 아니라 이미지 프로세서가 좋아서 좋아보이는거에 가까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