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4/21 20:10
저도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혈중 농도가 유지되고 있다는 건 인풋 아웃풋이 같다는 겁니다. 크레아티닌의 경우 생성량 = 여과량 = 배설량이 거의 상수인데 그렇기 때문에 혈중농도가 올라갔다는 건 GFR이 내려갔다는 것이고요. 최초에 GFR이 내려간 다음 일시적으로 배설률이 줄어 혈중농도를 높이는 단계를 거친 다음 다시 항정상태(혈중농도가 유지되는 상태)에 접어들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18/04/21 20:12
(수정됨) 일단 C는 단위시간당 생성량과 배설량이 같기 때문에 농도가 일정하다고 볼수 있기때문에 답이 아닐것으로 생각하고,
B는 애매한데 다른조건이 같다면 농도가 상승 후 '일정 수치 유지'라는 측면에서 답으로 볼수도 있을것 같지만 만약 답이 아니라고 했다면 농도가 유지된다고 했지 배설량이 어떻다는 근거는 없지않느냐고 할수...있지않을까 싶습니다. 근데 답이 AB여야 말이되는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