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1/27 21:55:56
Name 잘가라장동건
Subject [질문] 공산당(사회주의)가 내건 다같이 잘먹고 잘사는 세상을 만들자가 무슨이유때문에 모순이란 말을 듣는건가요??
제가 인터넷에서 검색중에...

공산당이 내건 평등이 겉으로 보기엔

그럴듯한 이유일꺼 같은데 하면서 생각을 하다가...

그걸 들은 저 아는분이 저한테...

승용아... 그거 너가 말한 공산당이 내건 평등

(다같이 잘 먹고 잘사는 세상) 이거는...

모순이라는것만 알고 있어라라고 저한테 말하고

이유는 안 알려줬는데...

겉으로 보기엔 그럴듯한 명분이 무슨 이유때문에

모순이 되는건지 알고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WhenyouinRome...
17/11/27 22:01
수정 아이콘
모두가 똑같이 열심히 해도 효율과 능률이 다른데 공평하게 분배하면 잘하는 사람만 손해니까요.그럼 잘하는 사람도 대충대충 하게되고 그러다보면 다들 대충대충 하게되고 효율이 안오니 다같이 못살게 되는거죠
피식인
17/11/27 22:03
수정 아이콘
언젠가는 공산주의에서 꿈꾸는 다같이 잘 먹고 잘사는 세상이 가능할 수도 있겠죠. 기계가 모든 노동을 대신하고 인간이 더 이상 노동을 할 필요가 없는 세상이 오면은요. 근데 결과적으로 20세기에 휘몰아친 공산주의는 [다같이 못 사는 세상]을 만들었죠. 그냥 자본주의로 남는 것만 못한 세상을 만들어 버렸어요.
마제카이
17/11/27 22:06
수정 아이콘
뭐 애초에 이론으로서 공산주의는 자본주의가 끝까지 치달은 후 와야할 단계였죠.. 20세기에 어설프게 구호로 소모될 것이 아니었죠..
17/11/27 22:21
수정 아이콘
일해서 남주자~
회전목마
17/11/27 22:25
수정 아이콘
똑같은 생산성이 아닌데 똑같이 배분하니 문제죠
열혈둥이
17/11/27 22:26
수정 아이콘
크게 두가지가 생각나네요.
첫번째는 윗분들이 말씀해주신것 처럼 재화창출을 위한 경쟁을 거세한 사회가 발전할리가 없죠. 인간이 노동을 하는 한은 현실성이 없는 사상입니다.
두번째는 모든 사람에게 평등하게 재화를 분배하기 위해서는 어마어마하게 강력한 정부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강력한 정부가 영원히 만민을 위한 정책을 완벽하게 펼칠 수가 없을 뿐더러 한번 삽질을 했을때 어떠한 결과를 가져왔는지는 마오쩌둥이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17/11/27 22:34
수정 아이콘
잘 산다는건 남보다 잘산다는건데 모두가 되나요
브론즈 없고 챌린저만 있는 Lol세상 같은건데
애초에 남보다 더 잘살고싶어서 저 슬로건을 세우는 사람이 있는거죠
아저게안죽네
17/11/27 22:36
수정 아이콘
다 같이 먹고 다 같이 사는 건 되는데 잘은 안 되니 모순이죠.
미카엘
17/11/27 22:46
수정 아이콘
100만큼 일하는 사람과 10만큼 일하는 사람이 똑같이 55 받아가면 100의 능률을 가진 사람이 계속 열심히 일을 할까요?
엔조 골로미
17/11/27 22:54
수정 아이콘
다같이 잘먹고 잘살수있는 생산력이 부족했으니까요.
무한방법
17/11/27 22:58
수정 아이콘
다같이 못먹고 못사니까요
새강이
17/11/27 23:00
수정 아이콘
대학교 조별과제에서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free rider를 막을 수 없어요
작별의온도
17/11/27 23:00
수정 아이콘
생산성 하락을 막을 방법이 없어요. 위에 분 댓글마냥 조별과제같은 느낌.
17/11/27 23:08
수정 아이콘
윗분들이 말한 이유에 추가해서
재화의 평등이 권력의 평등도 가져다 줄거라고 마르크스는 순진하게 믿었다 라고 교수님이 설명해줬던 기억이 나네요.
현실은 독재자, 정권이 탄생했죠.
17/11/27 23:28
수정 아이콘
경제적인 면에 추가해서 저도 정치적인 면에서는 이걸 가장 크게 봅니다.
동독같은 사회주의 국가를 그린 영화를 보면 이게 뼈저리게 느껴집니다. (일부러 그렇게 만들긴 했겠지만, 어쨌든 실제로도 비슷하게 돌아갔으니까요)
남광주보라
17/11/27 23:10
수정 아이콘
인간의 욕망을 배제했습니다. 인간은 모두 다 평등한 걸 원하지 않아요. 나는 타인들보다 높은 자리에서 많은 부와 권력을 누리고 싶다 - 이게 본성인데. . . .
카서스
17/11/27 23:11
수정 아이콘
사실 마르크스 이론은 허점이 많습니다.
마르크스 이전의 사회주의자들을 공상적 사회주의자라고 까내리고
자기들은 과학적 사회주의라고 하면서 단계를 제시하는데 정작 공산주의 사회를 이룩하기 위한 자세한 설명은 없고 막연히 이렇지 않을까~ 하는 정도죠.
근데 웃긴건 마르크스의 막연한 이론조차도 실행된적이 없죠. 레닌주의와 막시즘은 다른거라...
강미나
17/11/27 23:24
수정 아이콘
인간에 대한 이해가 너무나도 부족했습니다.
다같이 잘사는거야 현실이 여의치 않아서라는 핑계라도 댈 수 있지 다같이 못사는 나라조차도 없었다는 게 사회주의의 비극이죠.
17/11/27 23:28
수정 아이콘
공산주의는 생산력의 비약적인 증대를 전제로 합니다. 마르크스가 살던 시대를 생각해보세요. 가내수공업으로 옷 한땀 한땀 짜다가, 기계가 등장하니 옷이 쏟아져 나옵니다. 이런 현실을 보면서 어찌 놀라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그래서 공산주의자들은 이 생산력이 계속 늘어날거라 생각했습니다.

만약 공급이 무한하다면(생산력이 매우 뛰어나다면) 인간은 욕심을 부리지 않게 될겁니다. 예를 들어보죠. 10명이 사는 마을에, 물 10병을 두고 마음대로 가져가보라고 합시다. 그럼 1등으로 온 사람은 10병을 모두 챙겨갈겁니다. 내일 물이 다시 있을지 모르니까 욕심을 부려놔야 합니다.
그런데 조건을 바꿔볼까요. 만약 물이 한시간마다 10개가 계속해서 리필된다면요? 굳이 열개를 힘들게 들고갈 필요가 있을까요? 오늘 한개만 가져가도, 이따 오면 또 있을 텐데요. 그래서 생산력이 매우 뛰어난 사회에서 인간은 욕심을 부릴 필요가 없습니다. 이와 비슷한 예로, 모든 지하철의 배차간격이 1분이라면, 여러분은 굳이 문이 닫히고 있는 지하철에 뛰어들지 않고 넉넉하게 다음 열차를 기다릴겁니다.

아마 모순이라고 한 점은 이점일겁니다. 사회의 생산력은 공산주의자들의 기대만큼 늘어나지 않았죠. 공산주의는 “기술의 발달로 인한 생산력의 비약적 증대”를 전제로 하는데, 그것이 불가능하고, 그 불가능한 전제 위에 세워진 사상누각이라는 것입니다.
17/11/27 23:40
수정 아이콘
대학교 조별과제 몇번 해보면 공산주의가 왜 망했는지 몸으로 느끼지 않나요?
Cazellnu
17/11/28 04:58
수정 아이콘
사람들이 영악합니다
당장 내옆의 인간보다 내가 더 잘먹고 잘입고 많이알고 잘하고 돈이많고 ...
나의 아래를 두고싶어합니다
스카야
17/11/28 08:50
수정 아이콘
윗분이 말씀하셨듯이 마르크스는 자본주의의 생산력이 극에 달했을 때 공산주의로 넘어갈 수 있다고 봤습니다. 맑스가 바보도 아니고 인간의 이기심은 고대부터 있었든데 설마 그걸 고려하지 않았겠습니까?

하지만 현실에서 공산주의 국가는 테크트리를 바로 올려버렸고 망해버렸죠. 어쩌면 맑스 이론에 맞는 공산주의 국가는 한번도 등장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그게 가능할지는.. 뭐 모르죠
17/11/28 08:58
수정 아이콘
맑스가 인간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니.... 사회학도로서 인정하기 어려운 전제인데요....
맑스가 말했던 건 오히려 인간의 이기심 때문에 생산수단과 생산력 간의 격차, 즉 모순이 생기게 되고 그 결과 필연적으로 자본주의 사회가 붕괴된다는 게 핵심입니다. 맑스는 절대 순진한 학자가 아니에요. 오히려 인간 본성에 대한 처절하리만큼 냉정한 분석을 한 사람입니다.
파란아게하
17/11/28 09:00
수정 아이콘
사람은 자기 하고 싶은대로 하고 싶어합니다.
세종머앟괴꺼솟
17/11/28 10:18
수정 아이콘
공산주의는 공정하지 않습니다. 그러면 동기부여가 안돼요.
지구사랑
17/11/28 15:43
수정 아이콘
모순이라는 단어에 집중해서 생각해 보면,
1. 모든 생물은 근본적으로 서로 경쟁하게 되어 있습니다. 열심히 공부하면 누구든지 1 등이 될 수도 있겠지만 모두 1 등이 될 수는 없습니다. 다 같이 행복하게 잘 사는 사회 라는 것은 애당초 가능하지 않습니다. 절대적인 빈곤이야 모두 벗어날 수도 있겠지만 상대적인 빈부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어떤 의미에서건 다른 사람과 비교하고 조금이라도 앞서 나가려고 하는 것은 인간으로서의 아니 생물로서의 본능 그 자체입니다.
2. 모두를 평등하게 만들려면 절대적인 권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절대적인 권력을 쥔 자가 자신도 남들과 마찬가지로 평등하게 대접받기를 원할까요?
3. 어떤 사회가 절대적인 평등을 달성했다면, 내부원들의 경쟁 본능을 억제하고 있다는 의미일 것입니다. 그런 사회가 설사 가능하다고 해도 경쟁을 통해 발전하는 다른 사회와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2504 [질문] 카툰 제목을 찾습니다. [2] 갓파고1614 17/11/28 1614
112503 [질문] 신혼부부 약간 무리한 대출로 아파트 구매(청약으로)에 대해 질문 [23] 공노비5415 17/11/28 5415
112502 [질문] [기타] 페르소나5 난이도를 모르고 세이프티로 변경해버렸는데 어떻게 하죠? [18] hk11616052 17/11/28 6052
112501 [질문] 여자와 대화를 잘 하고 싶습니다 [40] 송탄쾌남7561 17/11/28 7561
112500 [질문] 일렉기타를 구매하려 합니다. [9] 챙이아빠1867 17/11/28 1867
112499 [질문] 아이폰8이 왜 더 게임이 안돌아가는걸까요 feat.소녀전선 [3] NㅏRㅏ3474 17/11/28 3474
112498 [질문] 보험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4] 두지모2248 17/11/28 2248
112496 [질문] 페르소나5 난이도를 모르고 세이프티로 변경해버렸는데 어떻게 하죠? [6] hk11616893 17/11/28 6893
112495 [질문] 비트코인 거래소 중에 sell limit있는 거래소있나요? [2] cs1960 17/11/28 1960
112494 [질문] usb 슬롯 인식 문제 TheLasid1967 17/11/28 1967
112493 [질문] 트레이닝바지 추천해주세요. 하카세1460 17/11/28 1460
112492 [질문] 인강용 태블릿 추천 부탁드립니다. [7] Jecht5122 17/11/28 5122
112491 [질문] 보통 사람들의 중산층?은 어느정도를 이야기하나요? [15] pppppppppp3175 17/11/28 3175
112490 [질문] 이사한 후 전에 살던 집 수리비 관련해서 질문드려요 [8] 0013241 17/11/28 3241
112489 [질문] 스트레스 어떻게 푸시나요? [14] 세이프존3301 17/11/28 3301
112488 [질문] 오사카 교통편 문의드립니다 [8] 맛있는우유2619 17/11/27 2619
112487 [질문] 인천공항공사 정규직 전환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6] SaiNT2224 17/11/27 2224
112486 [질문] 내가 만약 이재용이라면 어떻게 행동했을까요...? [14] nexon2797 17/11/27 2797
112485 [질문] 같은 사무실 여자분이 그만두시는데 무슨 선물이 좋을까요? [8] will4897 17/11/27 4897
112484 [질문] 공산당(사회주의)가 내건 다같이 잘먹고 잘사는 세상을 만들자가 무슨이유때문에 모순이란 말을 듣는건가요?? [26] 잘가라장동건2953 17/11/27 2953
112483 [질문] 종합 비타민은 만능인가요? [7] 텔레토비3272 17/11/27 3272
112482 [질문] 디아3용 컴퓨터 가격대 어느정도 일까요? [4] 비상의꿈2875 17/11/27 2875
112480 [질문] 윈도우 재설치시 ssd초기화 꼭 해야하나요? [3] 가을의전설4161 17/11/27 416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