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1/07 11:21:36
Name 탄야
Subject [질문] 바둑을 계속 하는게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예전에 6살아이 바둑을 시켜도 될지 질문을 했었는데요
(https://pgr21.com/?b=26&n=81988)

이놈이 벌써 내년에 초등학교 들어가네요
제가 문외한이라 잘하는지는 모르겠고 많이 좋아합니다.

주 2일 보내는데 6개월전부터 하루 더 하고 싶다고 졸라서 3일을 보내고 있습니다.
몇일 전에 원장선생님이 연락와서 요즘 실력이 늘고 있으니
30분씩 더 하자고 설득 당해서 아들한테 물어보니 또 더하고 싶다 해서(...) 시간을 늘렸습니다.

얼마전 유치원에서 상담을 했는데 율동같이 몸으로 하는 운동이 약하니 약하니
체력을 키울 수 있는걸 해주면 좋겠다고 하네요

일단 제 월급에 학원을 2개를 보낼 수는 없고 ㅠ.ㅠ
7살을 일주일내내 학원보내는 것도 싫습니다.

그러면 바둑을 그만두고 운동을 보내야 싶기도 한데
아이는 싫어할 것 같구요

현재로써는 지방출장중이라..
주말마다 운동장가서 축구같이 해주는거 말곤 없네요

둘째가 있어서 아내가 해주긴 버겁구요..
바둑을 그만하고 운동(축구나 합기도?)를 보내는게 나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동네형
17/11/07 11:28
수정 아이콘
바둑이 이게 재능빨이 심해서 나이에 비해 기력이 어느정도인지 모르겠습니다. 기초적인 사활풀이가 아니라 프로를 노리는거면 이건 계속 보낼수 밖에 없구요. 유아체육같은경우는 음.. 관련서적 읽어보시면 어느정도 집에서 부모님이 소화가 가능할꺼라고 생각합니다만 맞벌이라면 이거도 어렵긴 합니다. 유아체육은 놀이에가까워서..
17/11/07 11:45
수정 아이콘
프로를 노릴 재능은 절대 아니구요 사활풀이 정도 하고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집에서 하는건 아내가 힘들어해서 못할 거 같네요 ㅠㅠ
동네형
17/11/07 12:35
수정 아이콘
맞벌이 아니시면 유아체육은 짬내서 공부한거로 아이를 도울 수 있는 수준이에요..
17/11/07 19:28
수정 아이콘
집에서 유아체육 시키면 아랫집에서 올라와요.
동네형
17/11/07 23:03
수정 아이콘
유아체육이란게 꼭 뛰어다니는거만 있진 않죠... 가정주부시라면 한시간정도 아이랑 밖에서 할수도 있구요
MirrorShield
17/11/07 11:28
수정 아이콘
아이와 얘기를 해 보는것이 먼저 아닐까요?
17/11/07 11:46
수정 아이콘
아이는 바둑도 하고 싶고.. 운동(검도)도 하고 싶어합니다.
17/11/07 11:30
수정 아이콘
음 굳이 어릴때 학원 같은거 안보내도 보통 체력은 큰 문제 없지 않나요?

재능있어서 선수 시킬거 아니면 뭐 아이가 너무 집에만 있고 아무것도 안하면 모를까 애들하고 같이 뛰어놀고 그런 정도면 충분할거 같은데 요즘은 그러고 안노나..
17/11/07 11:48
수정 아이콘
요즘은 친구끼리 알아서 노는 분위기가 아니네요
전부 아는 엄마끼리 약속잡고 대동해서 놀이터 가는게 일반적입니다.
일단 놀이터에 애들이 별로 없어요
동네형
17/11/07 12:34
수정 아이콘
유아체육은 뇌발달, 인지능력발달, 신체발달, 사회성 등 매우 다양한방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이득] 입니다. 투자대비 얻는게 가장클거에요.
17/11/07 11:31
수정 아이콘
저도 일단 아이와 대화를 해보시는게 제일 우선일거 같습니다.
뭔가에 푹 빠져있는 아이한테 그걸 뺏고 다른걸 준다고 좋아할거 같지 않아서...
나중에 바둑이 시들해질때 바꿔줄수도 있을수도 있죠.
무작정 학원을 바꿔버리고 "다 니생각해서 그러는거야." 라는 말을 하신다고 애가 받아들이지도 않을거구요.
17/11/07 11:5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또래에 비해 체력이 약해서 좀 걱정이네요
저도 그렇게 컷던지라 더 걱정되는면도 있구요
17/11/07 11:35
수정 아이콘
승승장구하다가 슬슬 실력 비슷한 원생들이랑 매칭되면서 승률이 50프로에 수렴하게 되면 재미없어서 다른데로 눈이 돌아가게 되더라구요. 그때까지는 억지로 못하게 하시진 않는 게 좋지 않을까요?
17/11/07 11:53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말씀대로 절대 억지로 못하게 하거나 그렇게 하진 않으려고요
애는 사실 둘다 하고 싶어하는데 제가 돈이 없어서 ...
바둑은 속칭 일년간 죽쓰다가(...) 요즘 나름 포텐(?)이 터지는거 같더군요
17/11/07 11:36
수정 아이콘
그 나이대 아이에게 자기가 좋아하는 거 시켜주는 건 좋은 일이죠.
굳이 좋아하는 걸 빼앗고 관심없는 걸 시켜야 할 이유가 있을까요? 아이가 운동을 하지 않으면 큰일날 몸상태라면 모를까...
17/11/07 17:01
수정 아이콘
체력이 약해서 노파심에 이런저런 생각을 했습니다. ^^
RedDragon
17/11/07 11:38
수정 아이콘
나이 30대인 제가 어렸을 때 일 중 가장 후회하는게 바둑을 배우다가 그만둔 일 입니다.
어린 나이에 바둑은 정말 두뇌활동에 도움이 많이 되어 학원에서 재미없는 지식을 얻는 것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보며, 더군다나 아이가 좋아한다면, 그 일을 시켜주는게 가장 좋은 행동이라고 생각합니다.
17/11/07 23:00
수정 아이콘
그정도인가요? 저도 바둑을 좀 해봐야겠다고 마음만 일년넘게 먹고 있네요.. 나이먹고 뭔가를 새로 익히려니 힘드네요 하하
위원장
17/11/07 11:39
수정 아이콘
좋아하는거 시켜주시고 체력은 걷기 같은걸로 챙겨주시는게 좋을 거 같은데요
세츠나
17/11/07 11:40
수정 아이콘
저는 하고 싶은거 하는게 젤 낫다고 생각하는데...하고 싶은거 딱히 없는 아이들도 많은데 있는 것 자체가 이미 좋은 일이죠.
절름발이이리
17/11/07 11:40
수정 아이콘
아이가 좋아하는 걸 시켜주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17/11/07 11:40
수정 아이콘
저는 작성자님 대단하다고 느껴지네요.
솔직히 직장 생활하는 남자가 이렇게 아이를 생각하기가 쉽지 않죠.. 게다가 주말에 잠을 포기하고 아이와 축구라니....
17/11/07 12:00
수정 아이콘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대단하십니다!!
17/11/07 23:0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하지만 생각만하고 실천은 하지 않는 게으른 아빠입니다.
요즘엔 운동을 했더니 체력이 좋아져서 아이들하고 잘 놀아주게 되네요
의지가 아니라 체력이 문제였다는걸 실감하고 있습니다.
스타본지7년
17/11/07 11:40
수정 아이콘
아직까진 그냥 시키셔도 될 것 같습니다만. 너무 이것저것 시키려고만 하지 마세요. 부모의 강박관념일 수 있으니.
17/11/07 11:44
수정 아이콘
어쩌면 평생의 취미를 발견하는 중일지도 모릅니다.
힘든일상
17/11/07 11:51
수정 아이콘
좋아하는 것 못하게 하고 그 시간에 다른 일을 강제로 시키면 그 시간이 고문이겠는데요.
일주일 내내 학원 가는 것만도 못하겠네요.
일주일 내내 가면 차라리 반은 즐겁기라도 할텐데...
낙일방
17/11/07 11:54
수정 아이콘
애가 하고싶어서 검도도 다니고 바둑도 다니고 싶어하는거라면
일주일 내내 학원가도 괜찮을거 같은데요......... 지갑이 안괜찮겠지만..
검도나 바둑이나 공부하는 학원은 아니니까 아이도 하고싶어서 다니는거면 즐겁게 다닐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17/11/07 23:03
수정 아이콘
애둘 외벌이라 한달 10만원 정도 추가 지출도 많이 버겁네요
대출인생은 끝이 없어서...
17/11/07 11:56
수정 아이콘
그냥 하고싶은거 하게 해주는게 좋죠
By Your Side
17/11/07 11:58
수정 아이콘
제 경험상 자기가 하고 싶은거 배우게 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17/11/07 12:00
수정 아이콘
저도 아이가 하는걸 가르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만
이렇게 아이를 위해 고민하는 아버지시니 아이랑 이야기도 한번 나눠보세요.
염력 천만
17/11/07 12:34
수정 아이콘
주말마다 아이랑 축구해주고
아이가 원하는것이 뭘지 고민하시고 챙기시는게 참 좋은 아빠이시네요
가장 좋은건 바둑도 하고싶어하고 검도도 하고싶어하니 둘다 시켜보는게 가장 좋긴한데
지갑사정이 여의치 않으시면 바둑을..
StayAway
17/11/07 12:36
수정 아이콘
솔직히 어지간한 취미생활이나 학원보다는 나중에 도움될지도 모릅니다.
어른들 상대할때 골프, 바둑만한게 없거든요.
유열빠
17/11/07 13:34
수정 아이콘
저 나이에 하고 싶은게 있는것도 대단한겁니다.
팍팍 밀어주세요.
17/11/07 13:56
수정 아이콘
현재 바둑은 아이한테 가장 가성비 좋은 프로그램일거라 생각해요. 본인이 즐기다보니 다른 아이들보다 흡수력이 좋죠
운동학원도 좋다고는 했다지만 그건 체험해보진 않고 아이의 상상에서 결정된 사안이므로 현재 진행형인 바둑에 한표를 겁니다
운동은 학교 다니면 친구들 사귀게 되면서 일정부분 해소되는 면도 있을거에요
혹시 운동중에 수영 생각해보셨는지 모르겠네요
수영이 비용적인 면에서 비교적 싸기도 하고 저희 동네는 토요일 2시간 강습하는 프로그램들도 있더라구요
17/11/07 14:31
수정 아이콘
그래도 뭔가 행복한 고민일 수 있다고도 생각됩니다.
분명히 뭔가 배우려는 것 자체에 대한 의욕을 상실해서 어디에를 나가려 하지 않고 학원 가는 것 자체를 싫어하는 아이들도 분명 많을 겁니다.
그 뿐만 아니라 아예 친구랑 놀지도 않고 집안에서만 짱박히려는 애들도 더러 있을거구요
학원 보냄으로써 자연스레 같이 다니는 친구들이랑 놀면서 사회성도 기를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프로 노리는건 아니지만 간단하게 배우는 것 만으로 어릴 때 두뇌회전 풀가동 시켜주기 좋다고도 생각됩니다.
어릴 때 머리 좀 많이 굴려놓게 놔두면 추후에 학업할 때 암기력이나 계산력 등에도 도움 많이 될 것 같다고 생각됩니다
어릴 때 운동 시켜놓는 것도 중요하니 둘 다 포기하기 힘들 것 같은데
둘 다 가볍게 시켜보는게 어떨까 싶네요~ 둘다 각 주2~3회 정도만 배울 수 있는 방도 없는가요
아이에게 지덕체 다 배울수 있는 방향으로 가면서도 현실적 경제적 타협점도 잘 찾을 수 있길 바랍니다 :)
사악군
17/11/07 14:58
수정 아이콘
하고싶어하는거 시키는게 제일이죠.
미나리를사나마나
17/11/07 15:27
수정 아이콘
저도 윗 분 의견에 동조하는게, 바둑이랑 운동을 주2, 3회로 나눠서 보내는 건 어떨까요? 바둑은 전체적인 형세나 '상대방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를 키워주는데 좋다고 생각하고, 요새 어린이 대상으로 운동을 가르치는 곳은 공으로 된 풀장? 등 운동을 제외하더라도 친구들이랑 뛰어놀게 잘 되어 있는 곳들도 많더라구요.
그래도 주말에 축구라니.. 좋은 아버지시네요.
고분자
17/11/07 17:03
수정 아이콘
아들이 부럽습니다 바둑 잘하면 머리 좋던데요 재능이 있나보네요~~
김태동 No.1
17/11/07 17:37
수정 아이콘
아이가 원하면 해주세요. 그 시기엔 다 피가 되고 살이 되겠죠. 멍하니 tv 나 게임하는 것보다는 훨 낫겠죠
17/11/07 23:03
수정 아이콘
아내는 반대하지만 전 프로게이머를 시킬 생각입니다.
재능만 있으면...
17/11/08 05:36
수정 아이콘
지금 결정하라고 해서 하나를 아이한테 결정하게 한 다음에, 아이를 시키다보면 어느 정도 더 높은 경지에 이르기 위해서 더 연습과 공부가 필요할텐데 그때에 지겹다고 할 수 있어요. 그 때 너가 한 결정이니 조금만 더 참고 해보자고 하고, 한두달 뒤에도 지겨워하면 바꾸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지겹다고 바로 바꾸면 인내심이 부족하게 될 수 있으니 적절한 타이밍에 바꿔서 보내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1508 [질문] 리마스터 udp 반응속도 Love.of.Tears.2813 17/11/07 2813
111507 [질문] 한국의 소도시, 혹은 외국의 거대도시에 거주하는분들께 질문입니다. [14] 삭제됨2514 17/11/07 2514
111506 [질문] 휴대폰 구매 알아보다 겪은 두가지 상황. 어떻게 보는게 맞나요? [10] 우리는 하나의 빛2965 17/11/07 2965
111505 [질문] 50대 아버지, 30대 초반 저 최대한 저렴한 정장 어디서 사야 할까요? [4] iloveus3430 17/11/07 3430
111504 [질문] 노이즈캔슬링 무선 이어폰 보스 vs 소니 [10] 샨티4396 17/11/07 4396
111502 [질문] 이직 고민 [25] 이쥴레이3256 17/11/07 3256
111501 [질문] 스마일 라식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9] 제논2553 17/11/07 2553
111500 [질문] 3~5만원대 블루투스 코드리스 이어폰 추천 부탁 드립니다. [2] 덱스터모건2716 17/11/07 2716
111499 [질문] 벌금형 관련해서 질문입니다. [6] sand2676 17/11/07 2676
111498 [질문] 아이폰x의 페이스id에 관심이 많습니다. [3] 우주견공1468 17/11/07 1468
111497 [질문] ps4 pro 용 4k 티비 구입할려고 합니다. lifewillchange1987 17/11/07 1987
111496 [질문] [콘서트] 팬클럽 선예매 해보신분 계시나요? [5] 낙원1727 17/11/07 1727
111495 [질문] 바둑을 계속 하는게 나을까요? [43] 탄야4393 17/11/07 4393
111494 [질문] 지나간 영화 괜찮은 시설에서 보는 방법 [8] 세츠나2899 17/11/07 2899
111493 [질문] 무릎 수술 잘하는 병원? [8] 로켓3831 17/11/07 3831
111492 [질문] 광고음악 하나를 찾고 있습니다. [7] ShuRA2580 17/11/07 2580
111491 [질문] 입문자용 원투 가성비 낚싯대 or 셋트 추천 해주실수 있으신가요?? [6] 원스5404 17/11/07 5404
111490 [질문] 가상 LAN을 구축하고 싶습니다. [8] 전크리넥스만써요2263 17/11/07 2263
111489 [질문] 헤드헌터 문의 및 이직 관련 [7] 콧등2551 17/11/07 2551
111488 [질문] 시크릿 화장품 아시는 분 있으신가요? (다단계) [6] 드림3654 17/11/07 3654
111487 [질문] 소개팅 후 카톡? [38] 다크나이트20115 17/11/07 20115
111485 [질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갈까요? [10] 다크나이트111628 17/11/07 11628
111484 [질문] [워크3] 터락 오나전 위치유불리 질문 [3] 라라 안티포바1781 17/11/07 178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