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1/02 13:09
각 브라우져에서 지원하는 api를 쓰는 것으로 알 고 있습니다.
참고 크롬 api : https://developer.chrome.com/extensions/api_index 개발언어는 파이썬? 인가로 알고 있고요
17/11/02 13:10
pgr의 푸쉬알람이 어떤걸 이용했는지까지는 알지 못하지만 웹에서 푸쉬기능을 쓰려면 웹소켓이란걸 이용하면 됩니다.
html5 스펙중 하나인데 많이 쓰이는 PC용 브라우저에선 거의 지원됩니다..
17/11/02 13:37
PGR은 백앤드로는 PHP를 사용하고, 프론트앤드에선 당연히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해서 해당 기능을 구현합니다.
그리고 PGR이 구현하는 방식은 서비스 워커(Service Worker)를 이용하는 것인데, 웹페이지 상에서가 아니라 브라우저의 백그라운드에서 서비스 워커가 자바스크립트를 구현하게 됩니다. 서비스 워커를 쓰게 되면 웹브라우저를 닫아놓고 있어도 알람이 뜨게 됩니다. 서비스 워커 설명 : https://developers.google.com/web/fundamentals/primers/service-workers/ PGR의 해당 소스 : https://pgr21.com/js/pgr21_sw.js 웹소켓이나 SSE, 혹은 심지어 (이제는 옛날 방식이지만) 롱 풀링 같은 것으로도 비슷하게 구현할 수는 있지만 이 방식들은 모두 해당 웹사이트에 웹브라우저가 접속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것이 큰 차이점입니다. 사실 웹소켓이나 SSE, 롱 풀링 방식은 단지 서버와 웹브라우저가 지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엄밀하게 말해서 (서비스 워커를 이용해서 푸쉬 메시지가 클라이언트로 전달되는) 웹 Push API를 구현한 것은 아니죠. 따지고 보면 다른 개념입니다. 웹 Push API : https://w3c.github.io/push-ap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