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1/02 10:12
애초에 기업에서 개발자직군은 코딩테스트를 대부분 보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알고리즘 능력은 필수입니다. 프로젝트 경험도 중요하긴 하지만 신입채용이니 경력자보다는 프로젝트쪽을 중요시하지는 않겠지만 학부수준에서의 꾸준한 개발은 필수입니다. 도움이 되셨을지는 모르겠네요.
https://pgr21.com/pb/pb.php?id=freedom&no=74243&divpage=15&ss=on&sc=on&keyword=%ED%94%84%EB%A1%9C%EA%B7%B8%EB%9E%98%EB%B0%8D 이전에 이런글도 있어서 한번 읽어보시면 도움될거같아요.
17/11/02 10:41
저희 부서의 경우 신입이면 알고리즘/프로젝트 구분은 별 의미가 없습니다. 프로젝트에서 뭘 어떻게 구현했는지를 묻다보면 어차피 연결이 되거든요. 신입 수준에서 하는 프로젝트가 실무에 바로 적용할 정도인 경우는 사실상 없어서요(그 정도 능력자들은 못 만나봤습니다 ^^;)
17/11/02 12:16
알고리즘은 어지간하면 그냥 기본으로 있어야 하고요, 프로젝트 경험은 무엇을 했느냐보다는 어떻게 꾸며서 잘 이야기하느냐가 중요하죠.
17/11/02 14:59
뭘 해봤냐가 제일 중요합니다. 꼭 프로젝트 같은 거창한 게 아니더라도, 포트폴리오로 보여줄 수 있는 뭔가가 있다면 말이죠.
그리고, 만들어진 결과물을 보면, 이 사람의 알고리즘 이해도도 대략 보이게 마련입니다.
17/11/02 22:43
개발에 무지한 면접관 까지 알 수 있을정도로 유명한 프로젝트의 핵심 개발자가 아니면 무조건 알고리즘이 우선시 됩니다.
보통 실무와 백만광년정도 떨어진 부장급들 이상이 질문자님의 서류와 면접을 볼텐데 알고리즘 능력은 정형화된 시험등으로 정량 측정이 가능한데 비해 프로젝트의 성과는 정량 측정이 어렵고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7/11/02 23:40
신입이 프로젝트 해봤자 얼마나 했다구...
요새 그리고 왠만 기업 유행 불어서 죄다 알고리즘 시험 봅니다 예를 들어 카카오 네이버 배민 쿠팡 등등등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