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7/13 17:28:47
Name 삼동이
Subject [질문] 행시 생각하고 있는데, 경제학 법학 독학 질문이요
입대 앞둔 사람이고요

아직 수험생으로서 공부할 시기는 아니고, 내가 행시랑 맞는 사람일까 고민중인 사람입니다

행정학은 교양과목으로 들어서 어떤 과목인지 대충 알고, 경영학과라 그나마 겹치는 부분 있다고 생각해서 부담은 없는데요

경제는 고등학교때 배운게 끝이었고, 법은 담쌓고 살던 사람입니다

앞서 말씀드린대로 수험용으로 공부하기보다는, 입대 앞두고 남은 기간에 가볍게 내용들 접해보고 싶은데요

경제학은 snuon이라는 사이트에서 이준구 교수님의 경제학원론 강의를 생각하고 있고요 (서울대생은 아니지만 가족이 서울대생이라...)

이런저런 자료 찾으면서 본게 행정법 강사로 유명한 류준세 강사님이 법학을 접해보지 않은 사람들이 법학의 맥락을 모르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다, 법학 개론 같은걸 공부해보는걸 추천한다 하시더군요.

찾아보면 있는게 ocw로 현대의 법과 법학 교재로 하는 강의 있던데 그런거 보면 될까요?


요약하자면 행시 입문할지 결정하고자 가벼운 '무료'강의 한 번 들어보고 싶은데 경제학, 행정법 추천좀 ㅜ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유스티스
17/07/13 17:37
수정 아이콘
행정법을 위해 법학개론을 들어야하는지는 의문이긴하지만 어차피 1차에서 헌법도 있으니 그 과정중에 개론공부도 될듯하고 글에서 언급한 강의도 괜찮을거같네요.

경제학이나 행정법도 중요하지만 일단 psat이 안정적인지부터 테스트를 하시는게 수험기간설정이나 인생계획에 더 기여를 할겁니다.
17/07/13 17:38
수정 아이콘
돈이 들더라도 예비순환 들어보시길 바래요. 법학이나 경제학은 기초가 없으신 상태에서 고시 합격수준까지 가기에는 독학이 불가능해요. 무료 강의는 제가 아는 바로는 적당한게 있나 싶네요
Soul of Cinder
17/07/13 18:02
수정 아이콘
굳이 강의를 들을 필요가 있는지요. 고시급 시험에 입문할 지 말지 정도의 느낌을 줄 정도의 무료 강의는 없지 않나 싶습니다만... (굳이 있다고 한다면 고시학원 동강 사이트에서 샘플이나 무료특강 정도) 일반인 대상 무료 강의 수준이라면 뭘 들어도 어 이거 쉽네~ 같은 생각이 들지 않을까요.
제 생각엔 고시급 시험은 주관식 답안을 서술해야 되기 때문에 단순히 뭘 읽어서 알겠다는 것보다는 고시에서 요구하는 답안을 써낼 수 있을까가 더 중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특히 법학 시험은 답안지 작성부터 특유의 형식이랄지가 있다보니... 무료 강의보다는 흔히 많이들 보는 고시용 기본서를 진득하니 읽어보시는 게 더 낫지 않나 생각합니다.
초아야
17/07/13 18:04
수정 아이콘
1. 행시랑 맞는지는 2차 과목도 중요하지만 일단 1차가 잘맞는지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PSAT 기출 풀어보시고 결정하세요.

2. 수험 경제학, 행정법을 위해서라면 본문에서 언급하신 이준구 교수님 강의나 현대의 법 강의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차라리 예비순환 샘플강의 들어보시고, 사이버고시센터에서 2차 기출문제를 뽑아보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여왕의심복
17/07/13 18:07
수정 아이콘
일단 PSAT나 LEET 류의 시험을 한번 풀어보시고 성적이 어느정도 나오는지 확인해보세요. 이런 1차류 시험 점수는 잘안나오는 사람은 공부해도 안나옵니다. 1차 합격이 힘든데, 2차 공부시작하는건 좀 무리겠지요.
삼동이
17/07/13 18:21
수정 아이콘
1차에 대해 고민을 먼저 해봐야겠군요 조언 감사합니다
17/07/13 19:15
수정 아이콘
피셋 걱정이 우선이고 피셋 관련해서 절대 냉정하게 판단하셔야 합니다. 하다보면 오르겠지... 라는 마인드에 발목잡힐 수 있어요.
2차 공부를 암만 해도 피셋 한번이 안걸려서 우는 사람들도 많거든요.

그리고 돈 아낀다고 엉뚱한 강의 들을필요 절대 없고요. 결심을 하셨다면 철저하게 행시전문학원 수업 듣는게 제일 낫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5696 [질문] 가성비 노트북 구매하려고 합니다. [5] 마스쿼레이드2473 17/07/13 2473
105695 [질문] 모교 갑질(?)에 당하시는 분이 계신데 어떻게 도움이 될까요..? [4] 궁금해요궁금해2738 17/07/13 2738
105694 [질문] [히오스] 히린이의 소소한 질문입니다. [13] 저글링앞다리2195 17/07/13 2195
105693 [질문] 스타크래프트1의 전반적 역사기 정리된 글을 찾고 있습니다. [3] Tale1837 17/07/13 1837
105692 [질문] 태블릿 기기 첫 구매인데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2] 범일동1875 17/07/13 1875
105691 [질문] 하이얼 uhd 티비 사용하시거나 해보신분들 계신가요 opscar1759 17/07/13 1759
105690 [질문] 일드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9] 멀할까나3115 17/07/13 3115
105689 [질문] 한화 야구팬분 이글스파크 예약관련 질문드립니다. [3] 장모1839 17/07/13 1839
105688 [질문] [lol]게임 내 초보적인 간단한 질문입니다. (정글러) [13] 치토스2577 17/07/13 2577
105687 [질문] 행시 생각하고 있는데, 경제학 법학 독학 질문이요 [7] 삼동이3355 17/07/13 3355
105686 [질문] 디즈니 남자노래 [5] 따루라라랑3978 17/07/13 3978
105685 [질문] 남자인데 극심한 변비입니다. 죽겠네요. [20] K53403 17/07/13 3403
105684 [질문] 회사 사장이 되어 직원을 뽑으시는데, 롤 다이아라면.... [73] 마르키아르6371 17/07/13 6371
105683 [질문] 양면테이프 접착력 초강력으로 쎈 놈 없을까요 [4] 스컬로매니아2679 17/07/13 2679
105681 [질문] 전 회사 퇴직금이 정산이 안끝나고 있네요. [4] Haru2583 17/07/13 2583
105680 [질문] 하스 오리지날을 지를까요 운고로를 지를까요? [15] 허느2553 17/07/13 2553
105679 [질문] 스타강의를 돈주고 받을 수 있다면 도재욱vs강민 [27] 이슬먹고살죠5457 17/07/13 5457
105678 [질문] [엑셀] 물품 데이터 취합하는 방법 [19] 유포늄3117 17/07/13 3117
105677 [질문] 컴퓨터에 무선 헤드셋 사용하려고 할때 동글이 질문.. [2] 헝그르르2767 17/07/13 2767
105676 [질문] 미니카를 선물?받았어요 [5] car hartt1810 17/07/13 1810
105675 [질문] 에어컨 수리비용이 너무 많이 나온거 같은데 원래 이정도 할까요? [8] 정공법15025 17/07/13 15025
105674 [질문] 전세 2년계약시 도중 나가게 되면 중개수수료만 물어주면 되는건가요? [28] 건투를 빈다4989 17/07/13 4989
105672 [질문] 그랜드캐니언 당일 vs 1박2일(캠핑) 고민입니다. [13] 아끼자1826 17/07/13 18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