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6/12 16:18:59
Name 수타군
Subject [질문] 직장 이직 관련 장,단점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직장 이직 관련해서 문의 드립니다.


이직시 장, 단점

장점

1. 연봉 1500이상 인상 예정
2. 건실한 중견기업
3. 다양한 복지

단점

1. 출퇴근시간이 (30~40 *2) 분정도 늘어남
2. 현재 연구직인데 기술영업쪽(첫입사를 연구소 기획개발,기술영업을 5년 정도 했었음)으로 변경
3. 그 자리 공지가 작년 말에도 났는데 이번에 또 난것으로 보아 일이 힘들던지 상사가 꼽창이던지 단순히 호황이라 사람을
    더 뽑는지 알 수 없음
4. 현재는 굉장히 여유로운 사무실 환경인데 여기서는 어떨지 모름



일단 연봉의 상승 및 회사의 건실함이냐 현재 생활의 쾌적함이냐 이렇게 갈리는 것 같습니다.

현재 회사가 벤쳐 같은건데 꾸준하게 노력해서 한번 키워 보는게 좋을지 아니면
건실한 곳에 가서 자리를 잡아야 하는지 고민 중 입니다.

사회생활 더 많이 하신 분들의 의견을 물어 보고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나가사끼 짬뽕
17/06/12 16:21
수정 아이콘
연봉 1500이상이 너무 큰데요;;;
수타군
17/06/12 16:27
수정 아이콘
예 저도 그것 때문에... 아 진짜 고민중 입니다
17/06/12 16:30
수정 아이콘
지금연봉으로 먹고살만한지 판단해보면 되겠네요.
수타군
17/06/12 16:46
수정 아이콘
먹고는 살지만 집을 사려면 더 많은 저금을 해야 해서... 그렇다면 움직이는게 답이겠네요.
타츠야
17/06/12 17:03
수정 아이콘
이직은 아내분과 상의하시는 게 좋습니다.
저는 이직할 때 늘 아내와 상의를 했는데 그 이유는 가족의 생활을 어디에 맞추고 살 것인지 달라지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1. 근무 시간 및 업무 강도가 달라지는데 이에 따라 아내분의 노동 강도 및 육아 부담이 늘고 가족고 보내는 시간이 줄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서로 충분히 이해가 되어야 합니다.
2. 연봉 인상이 크고 각종 복지가 있지만 사람이 연봉이 오르면 저축이 늘긴 하지만 그에 맞춰 지출도 늘어서 생각보다 저축이 안 늡니다. 1번으로 인해 생기는 변화를 감내할 수준의 연봉 차이인지 생각하셔야 합니다.
3. 업무 자체가 달라지는데 이 부분에 있어서 본인이 얼마나 잘 하실 수 있는지 생각해 보셔야 합니다. 기술 영업을 이전에도 해보셨지만 본격적으로 그것만 하면 아무래도 외향적인 성격이 좋고 고객을 만나는 업무도 잦은데 이에 대한 스트레스가 만만치 않습니다.

아내분과 아이 재우고 대화를 많이 하시고 결정해보세요.
수타군
17/06/12 17:16
수정 아이콘
따뜻한 답변 감사 드립니다.

업무가 좀 고민 스러운게 저는 연구개발쪽을 하고 싶어 하는데전의 회사에서 기술영업을 잘한다고 해서 영업쪽에서 본격적으로 이쪽으로 하지 않겠냐고 그렇게도 이야기 했습니다. 근데 끝까지 하고 싶은건 연구개발인데 좀 이것도 고민 되는 부분의 하나 입니다.

가장 고민 되는게 업무 강도 입니다. 여긴 오래도 다녔고 나름 제 스스로 업무 컨트롤이 되는데 새로 간 곳에서는 그게 안되어서 그냥 회사에 올인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되면 그것도 힘들고... 그 회사 다니는 분이 있으면 물어 볼텐데 그러지 못해 많이 고민하고 있습니다.
타츠야
17/06/12 17:25
수정 아이콘
제가 이직을 5번 해봤는데 회사에서 스트레스가 커지면 가정에서도 힘들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잘 선택하셔야 합니다. 대상 회사가 그래도 나름 중견 기업이라고 하니 바로는 아니더라도 한 두 다리 건너면 아는 분이 있을 것 같으니 가시기 전에 크로스 체크 꼭 해보세요. 그리고 아내분과 많은 대화를 하시구요.
수타군
17/06/12 17:55
수정 아이콘
아시는 분들이 다들 임원 분들이라 ㅠ 그분들 입장에선 그런건 별로 의미가 없어서 다들 좋다고 하시니 .. 그래도 어떻게든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밤식빵
17/06/12 18:14
수정 아이콘
저라면 그냥 지금있는 연구직할것 같아요. 기술영업쪽은 어느분야던 자리가 많지 않나요. 연구직은 들어가기도 어렵고요.
이사를 갈수 있으면 모를까 저는 이동시간 30분에서 1시간늘어나니 너무 힘들었네요.
기술영업을 잘하신다니 고민이 되시는거겠지만 저같은사람은 몸과 마음이 편해야한다는 입장이라....
수타군
17/06/12 19:23
수정 아이콘
출퇴근 무시 못하죠 ㅠ 맞습니다.
아 첫플에서 묵직한 훅으로 설득이 되려다가 다른 분들의 잽으로 다시 원점으로 돌아오고 있는 느낌 입니다 ㅠ
17/06/12 21:25
수정 아이콘
고민이 되면 안 움직이는게 맞다고 배웠습니다.
수타군
17/06/13 09:51
수정 아이콘
우문에 현답 이네요.
지니팅커벨여행
17/06/12 21:40
수정 아이콘
연봉 차이가 너무 크네요.
저녁이 없는 삶이라거나 월화수목금금일 같은 형태만 아니면 옮겨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수타군
17/06/13 09:52
수정 아이콘
연봉만 따지면 저것보다 더 될 수 도 있다는게 함정이죠 ㅠ
일은 어케 댈지 모르겠습니다. 출퇴근이 정확이 2~2.5배가 되는 것과 더불어 워크앤라이프 밸러스가 어찌 될지 모른다느 것도 고민을 하고 있는 이유중에 하나이구요.
지니팅커벨여행
17/06/13 10:01
수정 아이콘
저도 이직을 해 봤는데 500정도 더 받는 수준이면 사실 별 느낌 못 받습니다.
그런데 1000 단위 이상 증가하게 되면 심리적 안정감 + 소비 욕구 증가 + 가족들 앞에서의 자신감 뭐 이런 것들이 딸려 오면서 그동안의 경제관념이 바뀌고 사고방식이 더 유연해지더라고요.
수타군
17/06/13 10:06
수정 아이콘
지금 회사 사장님과 제가 중학생 때부터 알던 인연이라 다른데서 일하다가 같이 일해보자고 왔는데 기술력은 좋은데 영업이나 회사관리 쪽에서 많이 실망을 한 상태 입니다. 여기에서는 진짜 제가 배울 수 있는 것 외에는 메리트가 없는 상황이고 이직을 하게 되면 어찌 될지 모르나 금전적 보상은 확실한 상황 입니다.
17/06/13 00:31
수정 아이콘
아이가 학교 들어갈 나이면 옮길것 같고 아니면 아이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 위해 리스크 보다는 당장의 안정을 택할 것 같네요. 혹시 둘째 준비중이어도 안정을 택할 것 같습니다.
수타군
17/06/13 09:53
수정 아이콘
지금도 아이는 주말밖에 보지를 못하긴 하는데... 그래서 더 고민 입니다. 따뜻한 조언 감사 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4078 [질문] 결혼 하신 부부들에게 질문 드립니다. [35] 삭제됨4301 17/06/12 4301
104077 [질문] 직장 이직 관련 장,단점 문의 드립니다. [18] 수타군2693 17/06/12 2693
104076 [질문] 이거 slap인가요 회전근개 파열인가요? [5] ReSEt2638 17/06/12 2638
104075 [질문] [해외축구] 마라도나가 고평가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20] 톰가죽침대5036 17/06/12 5036
104074 [질문] 직장다니면서 학위취득 문제.. 방통대와 디지털대학 고민입니다. [1] 냉면과열무2979 17/06/12 2979
104073 [질문] PC기증할만한 곳이 있을까요? [9] 2314 17/06/12 2314
104072 [질문] 한 건물에 두 개의 업소가 들어갈 경우인데, 분쟁이 생겼습니다. [2] 개떵이다2521 17/06/12 2521
104071 [질문] [LOL] AP탱커가 3도란반지 테크를 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7] BitSae3451 17/06/12 3451
104070 [질문] 유럽의 평균적인 인종차별은 우리나라와 비교시에.. [22] 마르키아르6279 17/06/12 6279
104069 [질문] 오버워치 스킨은 돈으로 못사는건가요? [4] 챙이2681 17/06/12 2681
104068 [질문] 지나간 사랑을 잊지 못하겠습니다. [5] 실버벨3179 17/06/12 3179
104067 [질문] 서울 치과 추천 부탁 드립니다. [5] 칼퇴추구자2793 17/06/12 2793
104066 [질문] 야구 유니폼에 사인받기(feat.아들 선물) [13] 서윤아범4560 17/06/12 4560
104065 [질문] 허리디스크 질문좀요 [15] 북두가슴곰2451 17/06/12 2451
104064 [질문] 패키지 여행 장가계 vs 태국 어디가 좋을까요? [10] 네파리안2827 17/06/12 2827
104063 [질문] 데스크탑 램 추가 질문입니다 [5] 비상3199 17/06/12 3199
104062 [질문] 콘서트 관련 잠실실내체육관 vs 올림픽체조경기장 [3] spike666072 17/06/12 6072
104061 [질문] (연애) 헤어진 후 질문입니다 [54] nekorean6066 17/06/12 6066
104060 [질문] 펜션 홈페이지중 가장 멋지다고 생각한 홈페이지가 있으신가요? [12] 고통은없나2644 17/06/12 2644
104059 [질문] [천안] 같이 운동하실 분 계세요? [2] 함락신2678 17/06/12 2678
104058 [질문] 치과 치료받던 도중에 생긴일입니다. [2] 물리쟁이2616 17/06/12 2616
104057 [질문] 히오스 특성같은거 어디서봐야되나요? [7] 배고픕니다2517 17/06/12 2517
104056 [질문] 3ds 구매 질문 [5] 코우사카 호노카2334 17/06/12 233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