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12/16 22:40:36
Name 쿨 그레이
File #1 1387181952054.jpg (127.6 KB), Download : 44
Subject [일반] 저 역시, 자보 대열에 함께했습니다...만.


어, 먼저 관련글 댓글화 규정에 어긋날지에 대한 이야기를 운영진 중 한 분에게 쪽지로 물어봤습니다. 가급적 댓글화를 해 주셨으면 한다는 답장을 받았구요. 다만 관련 글이 적어진 상태라면 새로 글을 적어도 괜찮으며, 따라서 기준은 모호하다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자보에 대한 이야기도 좋습니다만, 제 자보는 다분히 원론적인 이야기고, 더구나 하필 제가 자보를 쓸 때는 뭔가 끓어오르는 그런 게 없었기 때문에 - 글 쓰다 보면 아시잖습니까 - 뭐랄까, 좀 맥이 빠진 듯한 글이 되어버렸죠. 어쨌든 자보를 썼습니다. 썼는데.

오늘 제가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자보에 대한 것이 아닌, 다른 이야기입니다. 그게 제가 가급적 댓글화를 해 주셨으면 한다는 쪽지를 받고서도 굳이 새 글을 쓰는 이유입니다.

자보 전문은 글 마지막에 첨부하겠습니다.



저는 포항공대에 다니고 있습니다. 화학과 대학원 재학중이죠. 곧 있으면 3학기가 끝납니다. 11월 한 달을 철저하게 멘탈이 박살난 상태로 - 대부분은 그 중독법에 대한 걱정 때문이었습니다 - 학교를 다녔습니다. 그런데 울고 싶던 차에 뺨을 때려준 격이라고 해야 하나, 용기있는 한 분이 자보를 써서 붙이셨더군요. 그 용기, 참으로 놀랍고 또 존경스러웠죠.

저 역시 같은 학번이고, 저 또한 같은 학생이기에, 저도 함께하고자 했습니다. 자보를 어떻게 쓸까, 어디에 붙일까, 여기 붙일 만한 데가 있나. 근데 문득 한 가지 생각이 드는 거에요. 여기는... 정치활동이 금지되어 있다는 것.

초대 김호길 총장님의 의견이었던 걸로 압니다. 면밀하게 관련 규정을 찾아본 결과, 포항공대 내의 정치활동을 금지하고, 교내에서 정치활동을 할 경우 징계위원회에 회부되어 근신, 정학, 퇴학 등의 징계처분을 받을 수 있다는 해석이 나왔습니다. 그 순간만큼은 정말로 카이스트가 부럽더군요. 저들은 저렇게 자보도 쓰고 반박자보도 올라오고 하는데 나는 왜 목소리를 낼 수 없는 걸까. 그토록 내가 목소리를 내는 게 겁이 났던 걸까.

징계가 두렵지 않다면 거짓말입니다. 다른 것보다도 징계를 받은 학생은 다음 학기 또는 그 이상 장학금 수혜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상당히 괴로운 조항이 끼어 있기 때문이죠. 학비... 의외로 비싸더군요. 기숙사비까지 포함해서 한 학기에 450만원 가까이 냅니다. 장학금 명목으로 교수님께 돈을 받아 - 물론 받을 때마다 주님 오늘도 정의로운 도둑이 되는 걸 허락해 주세요 하고 자동으로 기도하게 됩니다만 - 생활비에 보태고 남는 돈 저금하고 서울에도 가끔 갔다오고 했던 그 모든 걸 날리는 게 솔직히 겁났습니다. 부모님 얼굴 보기 참 괴로울 것 같았습니다. 두 분 모두 민주당을 지지하고 계시는 분이지만 저에게는 가급적 정치 활동은 하지 말라는 메시지를 어렸을 때 많이 날리시던 분이라...

그래서 제가 선택한 건 우회루트였습니다. 이렇게 될 바에는 차라리 졸업생 명의로 내자. 그래서 연대에 다니는, 그리고 앞서 자보를 썼던 제 학우 한 명에게 부탁해서 게시했습니다. 물론 내용은 제가 이메일로 먼저 보냈구요.



고민은 여기서부터 시작됩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제가 직접 게시한 자보가 아닙니다. 제 손으로 붙인 자보가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부탁해서 붙인 자보입니다. 그건 제 자보일까요? 진정으로 제가 쓴 자보라고 할 수 있었을까요? 제 이름이 들어가고 제 명의로 쓴 자보이지만 꼼수를 써서 붙인 건 아닐까요?

서울 올라가서 직접 제가 붙일 수 있었으면 베스트였겠죠. 하지만 금전적인 여유가 별로 없었습니다. 지금도 서울 올라가는 데 돈을 내고자 하루에 한 끼, 아니 요즘은 이틀에 한 끼로 버텨 가면서(그래서 학교 근처 인재개발원 같은 곳을 애용합니다. 한 번에 최대한 많이 먹으려고) 돈을 모아도 남는 게 별로 없는데, 한 번 왔다갔다할 때마다 물경 10만원이 족히 들어가는(교통카드 충전해야죠, 왕복에 무궁화호 같은 걸 타도 6만원은 깨지죠, 밥은 또 공짜인가요...) 그런 상황이라, 제가 직접 게시하기 몹시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대리로 게시를 했습니다. 그건 제 자보인 걸까요? 저는 다른 사람들 앞에 당당히 "내 자보를 붙였다"라고 말할 수 있는 걸까요?



어쨌든 자보는 붙었습니다. 친구 말로는 학관 정면에, 백양로 한복판에 붙였다고 하더군요. 명당이 따로 없습니다만, 저는 솔직히 이 글을 쓰는 지금도 고민하고 있습니다. 차라리 당당하게 징계를 받고 포항공대 재학생의 명의로 포항공대 내에 붙이고 징계를 받는 게 옳았을까요? 분명히 저는 연세대학교를 졸업한 졸업생이고, 따라서 '내용상으로는' 하등의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제 행동은... 잘 했다고 할 수 있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그렇게 해서라도 대열에 같이 참여하고 싶었습니다만, 그렇기 때문에 저는 지금도 고민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이라면... 여러분들이 제 입장이라면, 또 저를 바라보는 여러분의 시선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어떠한 비판도, 그게 저에게 용감하지 못하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되더라도, 달게 받고자 합니다.



저는 정당했을까요?





PS. 이하, 자보 전문입니다.


들어가면서

날씨가 참 추운 요즘입니다. 기말고사를 앞둔 학우들도 계실 것이고 한 학기를 다 끝마치고 일 년을 마무리하는 학우들도 계실 겁니다. 그래, 그간 다들 안녕들 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추운 바람에 건강들 하신지, 학업에 스트레스를 많이들 받고 계실 텐데 다들 안녕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근 며칠간 참으로 얼마나 놀라운 일입니까? 전국에서 수많은 학우들께서 대자보를 써붙이고 또 다같이 공감하는 놀라운 일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간 얼마나 속으로 화를 참아왔던 나날들이었는지 모릅니다. 또 그간 얼마나 사회에 분노해 왔는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어떻습니까? 우리는 그간 두려움에 말을 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누군가는 어떤 식으로 불이익을 받을지 몰라서, 누군가는 가족들의 눈이 무서워서, 또 누군가는 토론하는 것 자체를 두려워해서 두려움에 말을 못 하던 시간들이었습니다. 참으로 안녕하지 못했던 시간이었습니다.

그간 얼마나 하고 싶은 말이 많았습니까? 얼마나 많은 말들을 머릿속에서 지우고 또 지우고 했는지 모릅니다. 이런 말을 하면 또 선동으로 여기지나 않을까, 그리고 이런 말을 하면 나를 종북주의자로 몰아가고 비난하지나 않을까 해서 얼마나 많은 말들을 머릿속에서 지워 갔는지 우리는 모릅니다. 저는 개인적인 일로 올해 초에 모욕을 당한 후에야 제 목소리를 조금씩 내기 시작했습니다. 정당하게 목소리를 내는 것조차 조롱받는다면 차라리 할 말은 다 하자는 마인드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얼마나 슬픈 세상입니까? 이렇게 모욕을 받아야만 목소리를 내는, 그나마도 누군가가 용기를 발휘해서 낸 목소리를 손쉽게 짓밟아 버리는 세상입니다. 얼마나 안타깝고 답답한 세상입니까? 얼마나 자기 검열을 하고 또 해야 하는 세상입니까? 우리는 언제까지 그렇게 자기가 받을 불이익을, 심적인 부담을, 또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두려워하면서 현안을 보고 자기 의견조차 제대로 못 내는 세상에서 살아야 했던 걸까요?


파업에 관련하여

어려서부터 열차를 타는 것을 좋아해 왔고, 철도와 관련된 자료에 매우 관심이 많아 여러 관련 자료 및 위성 사진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결과를 공유하는 데 몰두했고, 또 어딘가로 멀리 이동할 때는 반드시 열차를 타 왔던 사람으로써, 이번 코레일의 파업은 저에게는 또 다른 걱정으로 다가왔습니다. 저는 당장 12월 26일 되면 포항으로 내려갑니다. 학기도 끝나고 간만에 눈요기 여행이나 할까 하여 서울역에서 오전 7시 45분에 출발해서 오후 3시쯤 되어야 제천역으로 돌아오는 O-train 열차표를 구입했고, 거기서 내리자마자 바로 포항으로 내려가도록 그렇게 동선을 짰습니다. 그런데 파업 소식이 들려왔고, 자칫 잘못하면 저는 서울에 발이 묶일지도 모르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물론 대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저로서는 솔직한 심정으로 말씀드리건대, 때때로 파업이 빨리 끝나는 게 좋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런 개인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가 이번 파업을 지지하는 이유는, 저는 이번 코레일의 파업은 정부에서 민영화의 단초를 제공하는 것을 차단하고자, 시민들의 발을 지키고자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파업에 참여하고 계시는 여러 직원분들을 응원하고 있습니다. 역대 최장기간의 파업이 될 것은 자명하며, 정당한 파업을 불법으로 취급하고, 또 완전히 불통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정부와 회사 측의 모습에 분노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많은 분들이 공감하고 계실 것이라고 믿습니다. 많은 분들이 또 다른 자보를 통해 설명하고 계신 것으로 압니다.


목소리를 내는 이유

우리는 왜 목소리를 내는 걸까요? 읽은 지 워낙 오래 된 소설이라 정확하게 기억은 안 납니다만 대략적인 표현을 빌리자면 아마도 이런 것이 아닐까요? 먼 훗날의 역사는 우리를 어떻게 기억할지 모르지만, 그 역사책에 쓰여질 한 획을 긋고자 우리는 목소리를 내는 것일 겁니다. 그 역사책을 읽는 사람들이 지금보다 좀더 나은 환경에서, 지금보다 좀더 자유로운 세상에서 마음껏 우리를 이야기할 수 있게 하고자 우리는 그렇게 한 획을 긋고자 많은 시도를 하는 것일 겁니다. 어쩌면 그 시도가 무위로 돌아갈 수도 있다는, 간략하게 서술된 한 문장의 마침표를 찍는 잉크 속으로 빨려들어가는 것으로 끝나 버릴지도 모른다는 그런 두려움을 감내해 가면서 말입니다.

졸업한 지 조금 시간이 지났기 때문에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습니다만, 제가 연세대학교를 다니고 있을 때만 해도 6월 10일경에는 항상 이한열 열사가 최루탄을 머리에 맞아 피를 흘리는 현수막이 중앙도서관에 크게 걸리고는 했었습니다. 이한열 열사가 과연 유명한 사람이 되고자 목소리를 냈던 걸까요? 이한열 열사라고 학점이나 살림 같은 자신의 개인적인 문제에 대한 고민이 없었을까요? 이한열 열사가 시위에 참가함으로써 목소리를 냈던 것은, 그 역시 그 시대를 살아갈 때 그 시대에 안녕하지 못했던 한 젊은 청년이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요?

지금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이 결코 특별히 사회의 주목을 받고자 목소리를 낸 것이 아닐 것입니다. 우리 모두, 우리 스스로가 잘 알고 있다시피, 우리는 똑같은 사람입니다. 똑같이 학업을 어려워하고, 똑같이 취업 문제 때문에 고민하고, 오늘은 어디서 밥을 먹을까, 누구와 함께 밥을 먹을까, 기말고사 기간이 언제더라, 내일까지 조별모임이 있는데, 모레까지 실험 레포트 제출해야 하는데 등등 수많은 고민을 오늘도 감내하고 이겨내는 사람들인 것입니다. 이렇게 목소리를 내는 우리는 모두 같은 사람입니다. 우리는 어려움을 나누고자 이렇게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입니다. 작게는 힘들고 어려운 학업 생활에 대한 고민을 함께하고 크게는 여러 가지 일로 어려운 현안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이렇게 목소리를 내는 것입니다.

한때는 그렇게 여겼습니다. 내가 목소리를 내 봤자 달라질 것은 없다고 여겼습니다. 하지만 조금씩 회의가 들었습니다. 이건 아닌 것 같았습니다. 세상에 대해서 침묵하자니, 솔직한 심정으로 말씀드리건대 도저히 좀이 쑤셔서 견딜 수가 없었습니다. 아무런 목소리를 내지 않았더니 세상은 제가 원했던 방향인 소통과 화합이 공존하는 세상이 아니라 불통과 분열만이 남아 있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이제 목소리를 내고자 합니다. 비록 제 한 목소리는 작을지 모르나 그렇게 해서 조금이라도 더 나은 세상이 될 수 있다면 당당하게 제 목소리를 내고자 합니다. 같이 목소리를 내고 있는 여러 학우 여러분들과 함께하고자 합니다.

많은 분들이 저와는 또 다른 이유로 목소리를 내고 계실 것입니다. 저도 거기에 동참하고 싶습니다.


우리, 같이 앞으로 나아갈까요

꼭 제 생각에 동의하셔야만 앞으로 나아가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사람마다 여러 생각이 있고, 또 그것은 서로 다른 것입니다. 어느 생각이 절대적으로 옳고 어느 생각이 절대적으로 그르다고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이 자보를 보고 계시는 여러분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계실지 저는 모릅니다. 하지만 저는 이 자보를 통해서 이렇게 제안하고 싶습니다.

꼭 저와 같은 방향이 아니어도 좋습니다. 꼭 저와 생각이 일치하지 않아도 좋습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생각을 외부의 압력 때문에 표출하지 못하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생각 하나하나를, 물론 서로가 서로를 존중하고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인다는 전제 하에, 사회에, 세상에 표출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것이 제가 이 자보를 읽고 계시는 여러분께 바라는 일입니다.

서로가 서로를 존중하지 않고 때로는 인터넷을 통해, 때로는 오프라인에서 비난하고 싸우고 조롱하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자신의 의견과 반대된다고 무조건 꼴통이다 종북이다 하고 몰아붙이는 것이 아닌, 또 자신의 의견과 반대한다고 무조건 귀를 막는 불통의 모습을 보이는 사회를 저는 결코 원하지 않습니다. 서로가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를 이해하고 또 서로가 왜 그런 주장을 펼치는지를 받아들이는, 그런 포용력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그런 사회를 만들고자, 아니, 아주 조금이나마 기여해 보고자 저는 이렇게 자보를 쓰게 되었습니다.


두서없는 자보,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세상의 모든 안녕하지 못한 사람들께 이 자보를 바치고자 합니다.

Geo&III 그리고 화학과 08학번, 은빛


(아, 오해하실 것 같아서 덧붙이는데, 이 이름, 실명이에요. 정말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절름발이이리
13/12/16 22:42
수정 아이콘
뭐 별로 문제될건 없다고 봅니다.
13/12/16 22:44
수정 아이콘
자보중에서도 실명 거론 안하고 올린 자보도 많죠. 사실 떳떳하다 아니다는 자신이 아는거지 이름을 표기한다는 드러나는 행위가 중요한게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jjohny=쿠마
13/12/16 22:48
수정 아이콘
부끄러우실 일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수고하셨고, 잘하셨습니다.
삼공파일
13/12/16 22:50
수정 아이콘
학교 안에 붙여도 별 일 안 생겨요 ;; 규정 때문에 걱정되셔서 다른 곳에 붙인 것도 고민할 만큼 잘못된 일 아니고요 ;;
王天君
13/12/16 22:52
수정 아이콘
행동하는 것이 어찌 망설일 일이겠습니까. 응원합니다
Neandertal
13/12/16 22:56
수정 아이콘
수고하셨습니다...용기에 경의를 표합니다...
스즈키 코하루
13/12/16 22:59
수정 아이콘
어떤 방식으로든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다는걸로 일단 충분하지 않을까요..
키니나리마스
13/12/16 23:00
수정 아이콘
현실적인 고민과 절충해서 본인의 자보를 올린 것이겠지요.

방식이야 어쨌든 본인의 글임이 분명한데 정당하지 않다 할 수 있겠습니까.
13/12/16 23:01
수정 아이콘
이름은 그냥 평범하지 않나요. 왕변태 석을년 신호등 이런 이름도 아니고 약간 여성스러운 느낌이네 정도 외에는 별 생각이 안 드는데..
쿨 그레이
13/12/16 23:03
수정 아이콘
혹 제가 익명으로 글을 썼나 하실 것 같아서 말입니다. 하하. 보통은 잘 안 믿더라구요.
늘푸른솔솔솔솔솔
13/12/16 23:01
수정 아이콘
학교의 흑역사를 또 한 번 만들고 싶지 않은 이상에야 걱정하시는 그런 일은 일으키지 않을겁니다.
그 때랑 다르게 이 시대에는 정보를 숨길래야 숨길 수도 없으니까요
학교 초기에야 뜻이 있어서 그랬다고 이해를 해도 20여년이 흐른 지금의 포항공대는 선장도 동력원도 없이 조류에 이리저리 쓸려다니는 모습이네요...
쿨 그레이
13/12/16 23:04
수정 아이콘
그렇겠네요. 헌데 나름대로 기사화도 되고 2009년부터, 아니 그 이전부터 꾸준히 있어 왔던 논의였던 것으로 아는데 왜 아직 개정이 되지 않았는가는 잘 모르겠네요. 아무래도 참여가 저조해서 그런 걸까요?
늘푸른솔솔솔솔솔
13/12/16 23:16
수정 아이콘
그런 조항이 있으나 없으나 상관 없는 시대면 좋겠습니다만.... 글쎄요...왜일까요? 바꿀 힘이 있는 구성원들에게 바꾸고 싶은 마음이나 의지가 없나보네요..
아 그리고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대자보 써서 붙이는 정도는 걱정 안하셔도 될겁니다. 노무현 대통령 탄핵 당시에 78계단에 탄핵 근조(근조는 한자였던 걸로 기억나네요) 그리고 조 밑에 시옷을 붙인 공고가 붙었었는데 (저는 그 78 공지에 반대했습니다만) 학교의 대응은 '비속어는 아니지 않냐...시옷만 좀 떼자' 였습니다(물론 처음에는 다 떼려고 했었지만).
시대에 맞는, 사안의 경중을 따질 정도의 눈치들은 가지고 있는 모양입니다
아이유라
13/12/16 23:31
수정 아이콘
학생들 여론을 모을 수 있는 통로가 없어서 그러지 싶어요. 아무리 학생회에서 발벗고 뛰어도 현실적으로 여론을 모을수 있는 방법이 마땅치 않죠. 포스비가 페이스북의 등장 + 몇몇 유저들의 난동 등의 이유로 시들시들해진게 큰 것 같아요. 안 그래도 숫자도 적은데 파편화까지 진행되어 버리니 여론 모으기가 더 힘들어지지 않았나... 학교가 좁다보니 다른 방법으로는 시선이 부담스러운게 사실이죠. 라고 합리화하면서 조용히 있는 저 역시 부끄....ㅠㅠ
쿨 그레이
13/12/16 23:02
수정 아이콘
짧은 시간 내에 댓글 달아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제가 좀 사람이 소심한지라, 보기에는 별 걸 다 걱정하네 싶으시겠지만 저에게는 떠나지 않는 물음이었거든요. 여러 댓글이 그런 마음 속의 물음에 대한 답이 되었고, 또 덕분에 좀더 용기를 얻게 되었습니다. 다시 한 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자유형다람쥐
13/12/16 23:06
수정 아이콘
같은 학번인데 저는 아직도 4학년이군요...흑흑
날 밝으면 읽으러 가보겠습니다. 용기 응원합니다!
김기만
13/12/16 23:11
수정 아이콘
참, 대학교 학칙이라는게, 80년대 90년대에는 참 하찮은 취급을 받았을텐데, 이제는 나름 권위있는 기관이라 학생들이 눈치보는걸 보고 있자니 권력의 막강함을 다시한번 느낌니다. 물론 저도 마찬가지구요.

철도 노동자들은 이런 무서운 권력을 앞에두고 파업을 하고 있습니다. 지킬게(직장,가족,인생,명예) 많은 분들이 이런 선택을 한거죠.

이기면 민영화는 막고 월급 조금 오르겠지만, 지면 거의 인생 끝장입니다.

한마디로, 제정신 박힌 계산적인 사람이라면 이런 손해보는 게임 참가조차 하지 않습니다.

만약 진다면 대부분 징계먹고 직장에서의 입지는 안습한 상황에
노조 때려잡기로 피해 보상액 문제 나오면 평생 못갚을 빚을 떠안아야 하구요.
요즘 돈없는 집안 어떤줄 아시죠? 내 자식들 내 와이프 남편들 두배로 고생시켜야 합니다.

저는 그래서 파업노동자들을 지지합니다. 이미 공평한 게임이 아니에요.

약자가 이기는걸 보고싶습니다.
쿨 그레이
13/12/16 23:20
수정 아이콘
참으로 그렇습니다. 눈치를 안 볼래야 안 볼 수가 없었네요.

저도 꼭 약자가 이기는 걸 보고 싶습니다.
13/12/16 23:30
수정 아이콘
자원봉사할 때 꼭 소말리아에 가서 총알 맞아가면서 해야만 의미있는 건 아니죠. 수고하셨습니다.
13/12/16 23:44
수정 아이콘
내일 가서 읽어보겠습니다. 근데 지리적 조건이 썩 좋지는 않아요.
시험기간이라 중도<->학관 다니는 사람이 많은데 붙은건 학관 바로 정면이라.. 학관에서 중도가는 통로가 좀 옆으로 떨어져 있거든요.
권유리
13/12/16 23:45
수정 아이콘
행동으로 옴기신것만으로도 큰 용기를 내신것이니 마땅히 박수받아도 되는일입니다 !
저 신경쓰여요
13/12/16 23:45
수정 아이콘
치열한 고민이 글에서 읽힙니다. 정말 고생 많으셨다고, 고개를 숙여 인사 드립니다. 고생 많으셨습니다.
지금뭐하고있니
13/12/17 01:23
수정 아이콘
네 본인의 자보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말을 해드리고 싶네요.
용기란,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행하는 것이다.
용기있으십니다.
강가의 물안개
13/12/17 01:52
수정 아이콘
그러한 고민에도 불구하고 용기내어 목소리를 내 신것에 박수를 드리고 싶습니다.
아무로나미에
13/12/17 02:06
수정 아이콘
박수를 드립니다!!
커트의가디건
13/12/17 13:17
수정 아이콘
추천 드립니다. 자보의 내용에도 공감하며 쿨 그레이님의 용기도 응원합니다.
쿨 그레이
13/12/17 14:45
수정 아이콘
응원해 주신 분들께 다시 한 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8749 [일반] 정규재 씨가 이야기하는 민영화 [268] 하이엨10196 13/12/21 10196 7
48654 [일반] 내일 서울시청광장 응답하라 1219 대규모 집회가 열립니다 [8] kurt5860 13/12/18 5860 8
48642 [일반] 코레일-국토부, 적자노선 민간매각 비밀리 추진 [50] 어강됴리8954 13/12/18 8954 1
48621 [일반] 민영화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접근 [65] 왜때문에그래5928 13/12/17 5928 23
48585 [일반] 저 역시, 자보 대열에 함께했습니다...만. [27] 쿨 그레이5730 13/12/16 5730 10
48545 [일반] 아직 전 안녕합니다. [224] 홍승식10349 13/12/15 10349 17
48538 [일반] 부산대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입니다. (파업 반대) [128] 낙하산10257 13/12/15 10257 18
48472 [일반] 철도파업 7,843명 직위해제...최연혜 사장 “어머니의 찢어지는 마음” [77] 당근매니아8177 13/12/13 8177 11
48448 [일반] 코레일, 860명 또 직위 해제…모두 7608명 [46] 당근매니아5793 13/12/12 5793 4
48445 [일반] 오늘 처음으로 이런 경험을 해봤습니다.(철도 민영화 관련) [74] SarAng_nAmoO6293 13/12/12 6293 0
48406 [일반] 코레일, 파업참가 조합원 807명 추가 직위해제 [89] 당근매니아5649 13/12/11 5649 0
48379 [일반] 오늘 코레일에서 추가로 더 직위해제시켰네요 [56] 삭제됨6905 13/12/10 6905 2
48367 [일반] 결국... 의결되었습니다. [162] 포포탄12664 13/12/10 12664 16
48346 [일반] 코레일, 파업 참가자 4,213명 전원 직위해제 [96] 똘이아버지7324 13/12/09 7324 8
48267 [일반] 9일 부터 철도노조가 파업을 시작한다면 열차운행 파행이 불가피하게 됬네요. [6] 삼성그룹4185 13/12/06 4185 1
48099 [일반] 여행을 가는 이유가 뭘까요? [25] 니킄네임6369 13/11/29 6369 9
47538 [일반] 어디든지 가고 싶을 때 - 8. 광주발 S-트레인 [15] ComeAgain6667 13/11/07 6667 9
47489 [일반] 어디든지 가고 싶을 때 - 2-1. 별밤열차 V-Train [32] ComeAgain6074 13/11/04 6074 15
46944 [일반] 어디든지 가고 싶을 때 - 7. S-트레인 패스 [2] ComeAgain9700 13/10/09 9700 5
46767 [일반] 어디든지 가고 싶을 때 - 6. 남도해양관광열차 [23] ComeAgain10755 13/10/01 10755 -10
46698 [일반] 코레일, 호남·전라선에 '노후 열차' 집중 배차했다 [108] 보고픈8513 13/09/27 8513 0
46388 [일반] 어디든지 가고 싶을 때 - 5. ITX-청춘 [21] ComeAgain12648 13/09/10 12648 13
46031 [일반] 어디든지 가고 싶을 때 - 3. 분천역에 내려서 걷다 [13] ComeAgain7673 13/08/23 7673 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