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5/08 19:57
자격증 같은건 서류전형에는 영향을 줄순 있으나,
서류 전형 통과 이후에는 아무런 영향도 없습니다. 서류통과 -> SSAT 통과 -> 면접통과 각각 독립입니다.
10/05/08 19:58
완전 방향을 잘못잡으신거 같습니다. 학점은 3.0 opic은 문과 im 이공계 il 이거 두개만 있으면 됩니다.
한자 가산점은 사라질꺼라는데 모르겠네요. 학점/토익은 상관없어요. 공학인증은 가산점있다는데 몇점인지 역시 모르겠습니다.
10/05/08 21:28
이번에 들어간 사람으로써 조언을 드리자면
학점은 진짜 영향을 안줍니다 물론 같은 값이면 학점 높은 사람을 뽑겠지만 일단은 학점 3.0과 영어 점수 두개면 됩니다 사트보는날 컨디션 조절 잘하시는거랑 솔직하게 하시는 걸로 전략을 잡으세요 저도 사트는 잘보는 편이였는데 저번에 인성에서 거짓말하니 떨어지더군요 면접은 토론은 시사적인 부분을 많이 공부해 가세요 상대방과 토론시 그런 배경들을 설명하는게 아무래도 좋겠죠 인성은 자신감있게 짜간 전략대로 미시고 전공은 공학인증을 안하셨다면 아마 주제 3개 주고 그중 하나 고르면 거기에 따른 문제가 약5개 정도 나오는것일텐데 전공 공부를 1학년때꺼 부터 넓게 공부해 가세요 아주 자세히는 안물어보니깐요 그리고 부서 선택을 잘하셔야 될꺼에요 그런건 선배님들한테 물어보면 아실겁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라겠습니다
10/05/08 23:26
저는 지난 겨울에 삼성전자동계인턴십을 수행해서 최근에 입사 확정을 지었는데요
학교하고 학점은 영향이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고 보고요 오로지 싸트 통과와 이후 면접만이 전부라고 생각해요 3학년 2학기 시라면 인턴십을 지원해보시는게 삼성전자 가기에는 최상인듯 싶네요 이번에 인턴 수행했던 사람들 중에서 93%가 입사를 하였으니 최적의 기회라고 보네요
10/05/09 08:16
과거, S사에 근무했던 경험자로서, S전자에 E직군(엔지니어)로서 취업은 별로 권하고 싶지 않네요.
신입사원(E3)으로 I대, S대(SNU 아님), H대 출신들이 우르르 들어온 적이 있는데, 다들 하는 말이, 선배들이 가뭄에 콩나듯 붙었던 S전자에 동기들이 왕창 붙어서 좋아했었는데, 막상 들어와보니 왜 뽑았는 줄 알겠다고 했습니다.(부정적인 의미). GWP라고 사내 만족도 설문 조사가 있는데, 최하위 만족도가 E직군이고, 그 중에서도 과장급(E5), 대리급(E4)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습니다. 연구 개발의 핵심 인력이 대리, 과장인데, 이 사람들은 아주 죽을 맛이라는 거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