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4/18 15:22
그냥 웹하드 같은곳에서 다운 받을수 있더군요.
보통은 usb에 넣어가지고 다니면서 필요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컴퓨터에서 쓰는 용도로 사용하구요. 프로그램 설치하면서 레지스트리 등록하고 복잡해지게 되면 컴퓨터가 느려진다고 그냥 하드에 복사해놓고 포터블 버전을 쓰는 경우도 있더군요. 제 생각엔 별 차이 없을것 같구요. 그냥 usb 용량 남으면 거기에 넣어놓으면 가끔 쓸모가 있겠죠. 게임에 빗대서 생각해보면 뭐 일종의 립버전이라고 생각하시면 될듯하네요. 정식으로 무설치판이 나오지는 않습니다.
10/04/18 15:38
보통 동영상 플레이어를 쓴적있습니다.
학교 PPT발표할떄 강의실내 "피씨가 적응안될때"를 대비해서 usb에 몇개 그런류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있습니다 kmp플레이어나 곰플 알집 PPT 정도를 유에스비에 넣고 다닙니다.
10/04/18 15:47
저도 정확히는 모르지만 기본적으로는 설치 전과 후의 registry 정보를 모아서 해당 디렉토리에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형식으로 동작합니다.
제 경우는 대부분 프로그램을 무설치 버전으로 d에 설치하고 사용하는데, 좋은 점은 window 재설치가 줄어들고, 재설치를 해도 프로그램을 따로 관리해줄 필요가 없고, 또 같은 환경을 어느 컴퓨터에서나 사용할 수 있다는 점 정도입니다. 단점은 설치하는 것보다 속도가 느릴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컴퓨터 환경과 충돌을 일으켜 설치판과 달리 버그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는 곰플레이어를 무설치판을 사용하면, 플래시 음성이 들리지 않는 버그를 자주 겪어 봐서 그 뒤로는 곰플 무설치 판은 쓰지 않습니다. shpv님// 요즘은 제작사에 따라서는 무설치판을 정식으로 제공하는 경우도 꽤 됩니다.
10/04/18 16:21
무설치를 기본적으로 제공해주기도 하고 일반 설치본을 그냥 폴더 째 들어내도 무설치 프로그램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도 있습니다. 이 두가지 경우가 아니라면 설치된 프로그램을 무설치로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thinstall이 있죠.
|